신미불요 (범민족 세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navbarcolor|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50%, #0047a0 50%)|btnhover=#e1414c}}
{{navbarcolor|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50%, #0047a0 50%)|btnhover=#e1414c}}
[[분류:범민족 세계]]
[[분류:범민족 세계]]
{| class="wikitable" style="width: 500px; font-size: 12pt; border: 2px solid #536349;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width: 500px; font-size: 12pt; border: 2px solid #536349;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color: #000;"
| colspan="2" style="height: 70px; background: #536349; color: #fff" | <span style="letter-spacing: 1.5px;">'''<big>신미불요</big>'''</span><br>辛未佛擾<nowiki> | </nowiki>Franco-Korean War
| colspan="2" style="height: 70px; background: #536349; color: #fff" | <span style="letter-spacing: 1.5px;">'''<big>신미불요</big>'''</span><br>辛未佛擾<nowiki> | </nowiki>Franco-Korean War
|-
|-
9번째 줄: 9번째 줄:
! colspan="2" width="20%"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기간  
! colspan="2" width="20%"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기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1871년 6월 1일 ~ 1872년 7월 3일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1871년 6월 1일 ~ 1872년 7월 3일
|-
|-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장소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장소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한반도, 대월 반도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한반도, 대월 반도
|-
|-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원인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원인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한국-프랑스 간 무역 분쟁<br>프랑스의 보불전쟁 패배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한국-프랑스 간 무역 분쟁<br>프랑스의 보불전쟁 패배
|-
|-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교전국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교전국
|-
|-
! width=50% style="background: #BFC4FF; color: #000; font-size: 13pt; vertical-align:top;" | {{국기나라 그림|대한제국 국기.png}} [[대한제국 (범민족 세계)|대한제국]]{{brbr}}<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blue; color: #fff; font-size: 1.2em;">승</div>
! width=50% style="background: #BFC4FF; font-size: 13pt; vertical-align:top;" | {{국기나라 그림|대한제국 국기.png}} [[대한제국 (범민족 세계)|대한제국]]{{brbr}}<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blue; color: #fff; font-size: 1.2em;">승</div>
! width=50% style="background: #FFBFD3; color: #000; font-size: 13pt; vertical-align:top;" | {{국기나라 그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3공화국 (범민족 세계)|프랑스 공화국]]{{brbr}}<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red; color: #fff; font-size: 1.2em;">패</div>
! width=50% style="background: #FFBFD3; font-size: 13pt; vertical-align:top;" | {{국기나라 그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제3공화국 (범민족 세계)|프랑스 공화국]]{{brbr}}<div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3px; margin-right: 3px; background: red; color: #fff; font-size: 1.2em;">패</div>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지휘관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지휘관
|-
|-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건양황제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건양황제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아돌프 티에르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아돌프 티에르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병력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병력
|-
|-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180,000명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180,000명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120,000명
| style="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120,000명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피해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피해
|-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vertical-align:top;" | 7,483명
| style="background: #fff; vertical-align:top;" | 7,483명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vertical-align:top;" | 15,183명
| style="background: #fff; vertical-align:top;" | 15,183명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결과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결과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대한제국의 승리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대한제국의 승리
|-
|-
! colspan="2" style="background:#536349;color:#fff;" | 영향
! colspan="2" style="background: #536349; color: #fff;" | 영향
|-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 대한제국의 인도차이나 확보<br>프랑스의 동인도 영향력 약화<br>한국의 태평양 확장 정책 수립<br>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대한제국의 인도차이나 확보<br>프랑스의 동인도 영향력 약화<br>한국의 태평양 확장 정책 수립<br>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
|-
|-
|}
|}

2025년 1월 28일 (화) 16:33 판

신미불요
辛未佛擾 | Franco-Korean War
기간
1871년 6월 1일 ~ 1872년 7월 3일
장소
한반도, 대월 반도
원인
한국-프랑스 간 무역 분쟁
프랑스의 보불전쟁 패배
교전국
대한제국
프랑스 공화국
지휘관
건양황제 아돌프 티에르
병력
180,000명 120,000명
피해
7,483명 15,183명
결과
대한제국의 승리
영향
대한제국의 인도차이나 확보
프랑스의 동인도 영향력 약화
한국의 태평양 확장 정책 수립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

개요

France's Great Humiliation in Asia!

프랑스의 아시아에 대한 대굴욕!


1872년 7월 3일 영국 더 타임즈 1면

1871년(건양 6년), 한국과 프랑스 간 남중국해 해상로를 두고 발생한 무역 분쟁을 배경으로 발생한 전쟁. 몽골 제국 이후 아시아 국가가 유럽 국가에 안긴 최악의 패배로 유럽이 충격에 빠진 전쟁이다.

배경

19세기 말, 대한제국은 19세기 초에 개항한 이후 급격한 성장을 이루어내 열강들에게 지역 강국의 평가를 받고 있었다. 그와 동시에 남중국해에서 다른 나라 상선들과 갈등을 빚는다. 특히 프랑스와의 갈등이 가장 극심했는데, 대월 반도의 통상권을 두고 한국과 프랑스의 갈등이 자주 표출됐다.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