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1938년 황하이북이 한국에 넘어간가운데,남경정부와 국민정부는 대립하였고,여타 군벌세력에대한 포섭이 진행되었고,사천군벌과 운남군벌은 국민당에 협력하게되며 남경정부는 위태로워지게되었고,국민당정권은 승기를 확실히 잡기위해 다음해인 1939년 북벌을 선언하며 남경군벌을 공격하기에 이른다. | 1938년 황하이북이 한국에 넘어간가운데,남경정부와 국민정부는 대립하였고,여타 군벌세력에대한 포섭이 진행되었고,사천군벌과 운남군벌은 국민당에 협력하게되며 남경정부는 위태로워지게되었고,국민당정권은 승기를 확실히 잡기위해 다음해인 1939년 북벌을 선언하며 남경군벌을 공격하기에 이른다. | ||
===제2차 북벌=== | ===제2차 북벌=== | ||
1939년 2월 남부의 군세가 장강을 향했고,호북성과 절강성에서 전면적인 전투가 벌어졌다.하지만 예상외로 남경군벌의 저항은 강했고,전선은 6달이 넘어가도록 장강에 당도하는데 실패하였고,마침 2차대전으로 유럽이 혼란에 빠진틈에 한국은 좀더 과감한 군사작전을 감행하기로 결정하며 11월,황하를 건넌다. | |||
===3차작전:광개토작전=== | ===3차작전:광개토작전=== | ||
===4차작전:이화작전=== | ===4차작전:이화작전=== |
2025년 3월 12일 (수) 19:07 판
|
개요
1936년 9월 10일부터 1947년 8월 15일까지 11년간 벌어진 일련의 전쟁을 일컫는 말로 한중전쟁으로도 불린다.
배경
대한제국
1932년 이승만 집권후,한국은 중국을 꺾을 작정을 하고있었다.1934년 몽골사변으로 몽골또한 괴뢰화했고 이제 칼날은 중원을 향해갔다.
반화교정책및 국민선동으로 국내에서 반중정서를 북돋우며 중국을 공격할준비를 하고있었다.
중국

국민당의 북벌실패 이후 북양군벌과 국민당은 분열되었다.
크게 우페이푸중심의 북양정부,장쭤린중심의 남경군사정부,된치루이 중심의 우한정부,장제스 중심의 국민당의 광주국민정부와 그 영향력하의 광서군벌,마오쩌둥 중심의 란저우공산정권,독립적세력을 구축한 사천군벌,운남군벌까지 7개의 세력들로 분열된상태로 한국이 침공하지않았더라도 통일은 어려웠을것이며 통일이 된다한들 최소한 냉전기에는 와서 통일될것이라는 의견이 다수이다.
하지만 통일된중국을 극도로 경계하던 한국이었고,결국 이승만 내각은 정권을 공고히한후,직접 한국의 영향력하에 두겠다는 강경책을 준비하기에 이르게되는것이다.
전개
1차작전:을지작전
1936년 6월부터 우한군벌과 북양정부간의 충돌이 가시화되며 북양군벌의 군세가 남쪽에 치우친틈에,한국정부는 9월 10일을 기해 성서도독부와 청도에 있던 한국군이 공격을 개시한다.북양정부군이 남부의 전선의 군대를 동부로 이동시켰지만 이미 산동반도 동부와 베이징 외곽이 함락당했고,결과적으로 다면의 전선을 감당하지못한 북양정부군은 1937년 2월경 붕괴하며 우한군벌은 섬서성과 산서성을,한국이 하북성과 산동성을 점령,대연국을 수립하였다.
1차휴전기
을지작전이후 우한군벌은 큰 영토를 확보한동시에 주변군벌들의 눈엣가시가 되었다.한국정부는 또다시 이러한 상황을 이용할계획을 세운다.
이때에는 남경정부는 물론 서북의 공산당정권에도 제의를 건네었고,한국은 이들에게 북경의 정부는 그저 또하나의 군벌세력일뿐임을 주장하며 협상을 이어갔다.
물론 이들이 그말을 곧이곧대로 믿을만큼 어리석진않았지만 서로에대한 경계에 눈이 멀어 제의를 수락하기에 이른다.
2차작전:금례작전
1938년 4월,각지의 군벌세력군과 대연국 군사로 위장한 한국군이 우한군벌세력의 영내로 진입하며 전쟁이 벌어졌고,우한군벌군은 단 5주만에 붕괴하였다.
대연국이 산서성과 황하이북 하남성을,남경정부군이 하남성과 호북성을,공산당군이 섬서성을 점령한다.
2차휴전기
1938년 황하이북이 한국에 넘어간가운데,남경정부와 국민정부는 대립하였고,여타 군벌세력에대한 포섭이 진행되었고,사천군벌과 운남군벌은 국민당에 협력하게되며 남경정부는 위태로워지게되었고,국민당정권은 승기를 확실히 잡기위해 다음해인 1939년 북벌을 선언하며 남경군벌을 공격하기에 이른다.
제2차 북벌
1939년 2월 남부의 군세가 장강을 향했고,호북성과 절강성에서 전면적인 전투가 벌어졌다.하지만 예상외로 남경군벌의 저항은 강했고,전선은 6달이 넘어가도록 장강에 당도하는데 실패하였고,마침 2차대전으로 유럽이 혼란에 빠진틈에 한국은 좀더 과감한 군사작전을 감행하기로 결정하며 11월,황하를 건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