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전역 (횡병) (범민족 세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navbarcolor|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50%, #0047a0 50%)|btnhover=#e1414c}}
{{navbarcolor|linear-gradient(to right, #cd313a 50%, #0047a0 50%)|btnhover=#e1414c}}
[[분류:범민족 세계]][[분류:대한합중국의 철도역]][[분류:강호권 전철 (범민족 세계)]]
[[분류:범민족 세계]][[분류:대한합중국의 철도역]][[분류:강호권 전철 (범민족 세계)]]
{{다른 뜻2|설명1=서울 도시철도 9호선의 전철역|제목1=삼전역 (범민족 세계)}}
{{다른 뜻2|설명1=서울 도시철도 9호선의 전철역|제목1=삼전역 (범민족 세계)|설명2=강청선의 철도역|제목2=삼전역 (복도) (범민족 세계)|}}
{{범민족 세계 철도역 정보
{{범민족 세계 철도역 정보
| 펼접ID = Samjeon
| 펼접ID = Samjeon

2025년 5월 12일 (월) 21:29 판

 서울 도시철도 9호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삼전역 (범민족 세계) 문서를, 강청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삼전역 (복도) (범민족 세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삼전역
대선 방면
양광태
← 3.0km
근안선
통근열차
횡병 방면
기 자
1.6km →
포하 방면
횡병부강
← 2.5km
강호 1호선
(125)
청지 방면
병풍포
3.4km →
시종착 금택해변선
(HG01)
금택팔경 방면
남부시장
1.3km →

지도를 불러오는 중...

역명 표기
삼포선 삼전
Samjeon
杉田 / 杉田(すぎた)
삼포선
강호 1호선
금택해변선
주소
판동주 강신도 횡병시
관리역 등급
보통역 / 3급
(금택팔경역 관리 / 일본철도공사 강신남부본부)
운영 기관
삼포선 일본철도공사
삼포선
강호 1호선
금택해변선 (주)횡병해변철도
개업일
근안선 1996년 3월 17일
삼포선 2017년 8월 7일
강호 1호선
금택해변선 1989년 7월 5일
역사 구조
근안선 지상 2층
삼포선 지하 2층
강호 1호선
금택해변선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근안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삼포선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강호 1호선
금택해변선 복선 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대선 방면
양광태
← 3.0km
근안선
삼 전
횡병 방면
기 자
1.6km →
포하 방면
횡병부강
← 2.5km
삼포선
삼 전
청지 방면
병풍포
3.4km →


개요

역 정보

이 역은 원래 신삼전역으로 개업한 역이다. 기존 삼전역은 인근 플루라 삼전 앞에 있었는데, 삼전역과 신삼전역을 통합한다. 그 과정에서 삼포선을 이설하기로 결정하며 신삼전역 앞, 지하에 삼포선을 이설한다. 그렇게 기존 삼전역은 폐역되고, 신삼전역이 삼전역으로 역명을 변경한다.

승강장

근안선

양광태
1 | | 2
기자
1 통근열차 ··횡병 방면
2 ··대선 방면

삼포선, 강호권 전철 1호선

횡병부강
| 1 2 | | 3 4 |
병풍포
1 강호 1호선 완행 ··청지 방면
2 급행 ··청지 방면
3 ··포하 방면
4 완행 ··포하 방면

횡병 도시철도 금택해변선

종착
| |
남부시장
금택해변선 종착
··금택팔경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