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89번째 줄: | 89번째 줄: | ||
| colspan=" 2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right; " | [[파울 쿠트불프 라트페르트 우르폰 미센 운트 폰 네름펠트렌트|파울 우르폰 미센]] <br /> [[미센 제국내각]] <br /> 무소속 | | colspan=" 2 " style=" border: 1px solid #000; text-align: right; " | [[파울 쿠트불프 라트페르트 우르폰 미센 운트 폰 네름펠트렌트|파울 우르폰 미센]] <br /> [[미센 제국내각]] <br /> 무소속 | ||
|} | |} | ||
<div class=" scroll " style=" position: Absolute; margin-left: 1000px; height: 14000px; "> | |||
<div style=" position: sticky; top: 10%; width: 300px;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rgin-top: 900px; "> | |||
<div align="center" style=" color: #000; margin-top: 0px; font-size: 12pt; border-bottom: 2px solid #000; padding-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left: 10px; ">'''[[파일:Büro des Foligerreichsvolkstag.png|x60px|link=]]<br />제국<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인민의회</span>선거<br />Foligerre<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ichsvolk</span>stagswahl''' | |||
</div> | |||
<div align=" center " style=" overflow: auto; height:100%;"> | |||
<div align=" center " style=" overflow-y: scroll; height: 500px; margin-top: -1px; padding-top: 10px; margin-right: 10px; margin-left: 10px; padding:5px 20px; text-align: left; font-size: 11pt; "> | |||
[[#1|'''<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1.</span>{{여백|0.5em}}{{color|#000|선거 제도}}''']] <br /> | |||
[[#2|'''<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2.</span>{{여백|0.5em}}{{color|#000|정당 및 후보}}''']] <br /> | |||
[[#3|'''<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3.</span>{{여백|0.5em}}{{color|#000|선거 결과}}''']] <br /> | |||
[[#3_1|'''{{여백|0.5em}}<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3.1.</span>{{여백|0.5em}}{{color|#000|지역별 결과}}''']] <br /> | |||
[[#3_2|'''{{여백|0.5em}}<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3.2.</span>{{여백|0.5em}}{{color|#000|당선자}}''']] <br /> | |||
[[#4|'''<span style=" text-shadow: 1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color: #FFF; font-size: 12pt; ">4.</span>{{여백|0.5em}}{{color|#000|같이 보기}}''']] <br /> | |||
</div> | |||
</div> | |||
</div> | |||
</div> | |||
'''1575년 1월 제국인민의회 선거'''(<small>[[키르수스어]]:</small> Foligerreichsvolkstagswahl von dem Januar 1575)는 [[1575년]] 1월에 치뤄진 [[키르수스]]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제국인민의회]] 선거이다. | '''1575년 1월 제국인민의회 선거'''(<small>[[키르수스어]]:</small> Foligerreichsvolkstagswahl von dem Januar 1575)는 [[1575년]] 1월에 치뤄진 [[키르수스]]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제국인민의회]] 선거이다. | ||
[[대불황]]과 그로 인한 [[자유당 (키르수스)|자유당]]의 붕괴 속에서 [[골트차이트|황금시대]] 이전의 다원적 의회보다도 파편화되었다. [[대불황]]과 그 직전의 기근으로 인한 생활고로 혁명의 열기가 무르익었고, 이에 대한 소뷔르거의 공포심이 큰 영향을 미쳤다. [[보수당 (키르수스)|보수당]]과 [[키르수스 자유보수당|자유보수당]]이 전체 의석의 44%를 득석했고,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은 이들에 [[키르수스 국민자유당|국민자유당]]을 더해 과반을 확보했다. | |||
{| class=" wikitable textParagraph " style=" max-width: 450px;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 |||
| style=" width: 450px; border: 1px solid #000; " | <div class=" paragraph-1 paragraph-N-kir mw-customtoggle-content " style=" position: Sticky; top: 15px; padding-top: 15px; padding-bottom: 15px; padding-left: 0.5em; font-family: 'aldrich'; ">'''목차'''</div> | |||
<div class="mw-collapsible" id="mw-customcollapsible-content "></div> | |||
<div class=" mw-collapsible mw-collapsed " id=" mw-customcollapsible-content " style="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 | |||
[[#1|'''<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kir ">1.</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선거 제도</span>'''</div>]] | |||
[[#2|'''<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kir ">2.</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정당 및 후보</span>'''</div>]] | |||
[[#3|'''<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kir ">3.</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선거 결과</span>'''</div>]] | |||
[[#3_1|'''<div class=" content paragraph-4 ">{{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N-kir ">3.1.</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지역별 결과</span>'''</div>]] | |||
[[#3_2|'''<div class=" content paragraph-4 ">{{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N-kir ">3.2.</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당선자</span>'''</div>]] | |||
[[#4|'''<div class=" content paragraph-4 "><span class=" paragraph-N-kir ">4.</span>{{여백|0.5em}}<span class=" paragraph-4 " style=" color: #000; ">같이 보기</span>'''</div>]] | |||
</div></div></div> | |||
|} | |||
<div id=" 1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kir ">1</span>{{여백|0.5em}}선거 제도'''</div> | <div id=" 1 " class=" paragraph paragraph-1 ">'''<span class=" paragraph-N-kir ">1</span>{{여백|0.5em}}선거 제도'''</div> |
2025년 7월 29일 (화) 02:10 판
![]()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1575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 Foligerreichsvolkstagswahl 1575 | |||||||||||||||||||||||||||||||||||||||||||||||||
이전 선거 | 선거일 | 다음 선서 | |||||||||||||||||||||||||||||||||||||||||||||||
1570년 | 1575년 1월 | 1580년 | |||||||||||||||||||||||||||||||||||||||||||||||
투표율 | |||||||||||||||||||||||||||||||||||||||||||||||||
68.6% (![]() 25,518,094표 | |||||||||||||||||||||||||||||||||||||||||||||||||
선출의석 | 과반의석 | ||||||||||||||||||||||||||||||||||||||||||||||||
289석 | 145석 | ||||||||||||||||||||||||||||||||||||||||||||||||
선거 결과
| |||||||||||||||||||||||||||||||||||||||||||||||||
제10대 제국인민의회 ▼
| |||||||||||||||||||||||||||||||||||||||||||||||||
| |||||||||||||||||||||||||||||||||||||||||||||||||
선거전 수상 | 수상 당선자 | ||||||||||||||||||||||||||||||||||||||||||||||||
하트거 폰 브라우덴올펜로흐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 무소속 |
파울 우르폰 미센 미센 제국내각 무소속 |

제국인민의회선거
Foligerreichsvolkstagswahl
1575년 1월 제국인민의회 선거(키르수스어: Foligerreichsvolkstagswahl von dem Januar 1575)는 1575년 1월에 치뤄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이다.
대불황과 그로 인한 자유당의 붕괴 속에서 황금시대 이전의 다원적 의회보다도 파편화되었다. 대불황과 그 직전의 기근으로 인한 생활고로 혁명의 열기가 무르익었고, 이에 대한 소뷔르거의 공포심이 큰 영향을 미쳤다. 보수당과 자유보수당이 전체 의석의 44%를 득석했고,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은 이들에 국민자유당을 더해 과반을 확보했다.
목차
|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의 의석은 제6대 제국인민의회에서의 선거법 개정에 의해 이전 192석에서 97석이 증가한 289석이며, 임기는 5년이다. 법에 의해 정해진 선거구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다. 각 선거구의 납부자를 납부액에 따라 줄 세운 후 납부액을 셋으로 나눠 1·2·3계급을 나눈다. 그리고 각 계급으로 하여 각 선거구 당 총 6명의 선거인단을 선출하게 하였는데, 이때 1계급은 3명, 2계급은 2명, 3계급은 1명의 선거인단을 지명했다. 지명된 선거인단은 앞서 투표하기로 선언한 후보에게 투표해 의원을 선출했다. 키르수스 시민권을 지닌 만 25세 이상의 성인 남성이 투표권을 지녔으며, 법에 의해 시민권을 박탈 당하거나 구빈법의 혜택을 받고 있는 빈곤층, 장교를 제외한 복무 중인 군인은 투표권을 박탈당했다.
모르티민 동양회사 버블 붕괴와 함께 발생한 대불황으로 인해 자유당은 전체 의석의 95%를 상실하며 파멸적인 대패를 맞이한다. 선거 직전 자유당 내 좌익과 중도우익 세력은 분당해 나와 자유인민당과 국민자유당을 창당하며 구자유당의 지지 일부를 흡수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야3당이 이전 선거 대비 각각 25석 이상을 득석하면서 자유당계 정당의 영향력은 그 주도성을 확실히 잃었다.
자유보수당은 대불황이 "시장자유주의의 총제적 실패"임에 더해 황금시대의 "실질적 창조자는 군대"라며 자유당의 안티테제적인 행보를 공격적으로 표출했다. 그들은 대불황 이전 자유당의 농산물 관세 협상에 대해 맹렬히 비판하며 농업에 대한 보호 정책, 침체된 산업에 대한 국가 단위의 육성, "두 번째 황금시대"를 위한 질서 수호―반노동운동―와 군대 증강을 선전했다. 이들의 정책은 융커와 대뷔르거 뿐 아니라 소뷔르거의 지지를 이끌어 냈다.
황금시대의 빈부격차 문제로 성장하던 알레마니아루르바니엔의 진보연합 좌익은 대불황으로 지지가 급격히 상승했다. 더해서 주요 기반 중 하나인 플라니아에서 유력한 경쟁 정당인 자유당이 붕괴하면서 그 영향력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좌익은 프롤레타리아트와 결합을 통해 더욱 좌경화되고 급진화됨에 따라 당내 온건파 및 소뷔르거 출신 파벌로 하여금 경계를 증대시켰다. 더해서 인민사회주의연합 및 노동사회당과 같이 프롤레타리아트 계급 정당이 부상함에 따라 그들의 소뷔르거적인 급진론은 점차 그 영향력을 잃었다.
기근에 의한 농산물 가격 상승과 대불황으로 인한 실질이자율 감소로 인해 평균 토지의 50%에 달하는 부채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융커의 정치력 영향력은 더욱 상승하여, 이들의 이익을 대변한 보수당은 공격적인 정치 활동이 가능해졌다. 보수당 또한 자유보수당과 같이 농업에 대한 보호 정책을 주장하며 동시에 농업 보조금의 증대를 요구했다.
자유당 붕괴에 자유당 출신의 국민당 원정회파는 자유당 좌익과 국민회파 사이를 중재했고, 결국 자유인민당을 출범시킨다. 자유인민당은 기근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해결을 위한 농산물 관세 협상과 농업 보조금을 축소하고 그 비용을 토지개혁에 지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에 있어서는 노동권과 빈곤 개선을 위한 개혁을 요구했다.
자유당 우익에 의해 국민자유당이 창당된다. 과거 자유당 우익과 보수당 좌익에 의해 형성된 자유보수당과 유사한 성향에 의해 큰 영향력을 발휘하진 못했으나, 아스크라리아와 빈탄란트-네벤란트 사이의 틈새를 확보해 유의미한 지지세력을 형성했다. 자유보수당과 같이 친 군대 성향으로 군대 확충, 농업에 대한 보호, 국가 차원의 중공업 육성을 주장했다. 노동운동에 대해 반대의 의견을 지녔으나, 제한적인 노동권 및 사회보장 개혁을 요구했다.
아미시아란트주의 지역 유지에 기반을 둔 아미시아란트 동맹은 기근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인해 그 정치력이 증가하였다.
1560년부터 1585년까지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 | +/- | 의석수 | +/- |
---|---|---|---|---|---|
자유보수당 | 4,969,180표 | 19.47% | ![]() |
71석 | ![]() |
![]() |
7,168,587표 | 28.09% | ![]() |
65석 | ![]() |
![]() |
3,217,839표 | 12.61% | ![]() |
57석 | ![]() |
자유인민당 | 5,439,612표 | 21.32% | ![]() |
49석 | ![]() |
국민자유당 | 3,225,193표 | 12.64% | ![]() |
36석 | ![]() |
![]() |
474,688표 | 1.86% | ![]() |
7석 | ![]() |
아미시아란트 동맹 | 573,682표 | 2.25% | ![]() |
4석 | ![]() |
무소속·기타 | 268,175표 | 1.05% | ![]() |
0석 | |
무효표 | 181,138표 | 0.71% | ![]() |
- | - |
총합 | 25,518,094표 | 100% | 289석 |
카스텔부르크 | 9 | 6 | 7 | 1 | 2 | 3 | 4 | 5 | 8 | |
알레마니아주 | 1 | 2 | 3 | 4 | 10 | 11 | 12 | 13 | 14 | 15 |
15 | 24 | 25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8 | 5 | 6 | |
7 | 8 | 9 | 17 | 18 | 19 | 20 | 21 | 23 | 26 | |
30 | 45 | 46 | 49 | 22 | 27 | 28 | 29 | 47 | ||
아미시아란트주 | 1 | 2 | 3 | 4 | 5 | 6 | 7 | 9 | 19 | 20 |
11 | 12 | 13 | 15 | 16 | 18 | 8 | 10 | 14 | 17 | |
아스크라리아 | 1 | 13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4 | |||||||
드라이히주 | 1 | 2 | 3 | 4 | 11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40 | 42 | 43 | 44 | 5 | 6 | 7 | |
8 | 9 | 10 | 12 | 21 | 22 | 23 | 24 | 25 | 26 |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
37 | 38 | 39 | 41 | |||||||
엔브라주 | 1 | 2 | 3 | 7 | 4 | 5 | 6 | |||
플라니아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5 | 16 | 18 | 21 | 22 | 13 | 14 | 17 | 19 | |
20 | 23 | 24 | 25 | 26 | 12 | |||||
프레니아주 | 1 | 2 | 5 | 6 | 3 | 4 | 7 | 8 | ||
퀴스테주 | 3 | 15 | 16 | 17 | 1 | 2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
라우지츠부르크주 | 1 | 2 | 3 | 4 | 16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3 | 34 | 35 | 39 | 43 | 6 | |
7 | 11 | 12 | 18 | 19 | 20 | 36 | 37 | 47 | 5 | |
8 | 9 | 10 | 13 | 14 | 15 | 17 | 21 | 22 | 32 | |
38 | 40 | 41 | 42 | 44 | 45 | 46 | 48 | 49 | 51 | |
50 | ||||||||||
오타카레주 | 1 | 2 | 9 | 10 | 11 | 12 | 13 | 15 | 3 | 4 |
5 | 6 | 7 | 8 | 14 | ||||||
지틀란트주 | 5 | 6 | 8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1 | 3 | 10 | 7 | 2 | 4 | 9 | 11 | 1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