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제국인민의회선거
Foligerreichsvolkstagswahl
1535년 1월 제국인민의회 선거(키르수스어: Foligerreichsvolkstagswahl von dem Januar 1535)는 1535년 1월에 치뤄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이다. 프라이멘 운동의 대처에 따른 영향으로 자유당이 과반에 가까운 의석을 득석했으며, 보수당이 다수의 의석을 잃었다. 이전 선거에 비해 3석을 잃은 것이나, 초대 제국인민의회에 비하면 19석을 잃어 당수 로센 폰 푸스발트의 실각으로 이어졌다.
목차
|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의 의석은 192석이며, 임기는 5년이다. 법에 의해 정해진 선거구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다. 각 선거구의 납부자를 납부액에 따라 줄 세운 후 납부액을 셋으로 나눠 1·2·3계급을 나눈다. 그리고 각 계급으로 하여 각 선거구 당 총 6명의 선거인단을 선출하게 하였는데, 이때 1계급은 3명, 2계급은 2명, 3계급은 1명의 선거인단을 지명했다. 지명된 선거인단은 앞서 투표하기로 선언한 후보에게 투표해 의원을 선출했다. 키르수스 시민권을 지닌 만 25세 이상의 성인 남성이 투표권을 지녔으며, 법에 의해 시민권을 박탈 당하거나 구빈법의 혜택을 받고 있는 빈곤층, 장교를 제외한 복무 중인 군인은 투표권을 박탈당했다.
개별 주 간 통행세 폐지, 아비투어 확대, 사법 개혁 및 성화세 및 종교세 의무 폐지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대뷔르거는 언론의 자유를 통해 절반 가량의 언론을 장악하며 정치선전을 통해 지지세를 확보했다. 소뷔르거와 프롤레타리아트에서는 자유당의 타협정책에 반발하며 진보연합으로 많은 지지세가 표출되었다. 일부 독실한 소뷔르거에 의해 보수당에로의 지지가 발생하기도 했다. 보수당은 주요 쟁점을 거부하며 융커 및 종교 세력, 보수적인 엘리트 계층에게 지지를 받았다.
입법활동을 통해 여러 세금이 철페되면서 대뷔르거의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가속화와 함께 자유당은 대뷔르거의 후원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정치 활동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다수당인 만큼 주요 쟁점을 공략으로 선전하며 주도해나갔다.
진보연합은 1531년 선거 직후 당내 집행위원회를 구성하여 당을 조직화하고, 원내 최초로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등 활발한 정치 활동을 펼쳤다. 소뷔르거와 지식인의 후원을 통해 조직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의원의 보수 지급 및 제국정부의 정당 지원을 요구했다.
보수당은 1531년 선거 이후 주요 무소속 유지를 당으로 끌여들이면서 폰 푸스발트에 대한 당내 반대파가 큰 영향력을 얻었다. 외적으로는 보수당의 주요 정치 기반인 드라이히주에서 지역정당인 해안의당과 경쟁하게 되었다.
1531년부터 1555년까지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 | +/- | 의석수 | +/- | |
---|---|---|---|---|---|---|
자유당 | 6,027,861표 | 36.00% | ![]() |
94석 | ![]() | |
보수당 | 5,827,392표 | 34.81% | ![]() |
59석 | ![]() | |
진보연합 | 3,850,154표 | 23.00% | ![]() |
33석 | ![]() | |
해안의당 | 682,620표 | 4.07% | ![]() |
6석 | ![]() | |
무소속 | 166,374표 | 0.99% | ![]() |
0석 | ![]() | |
기타 | 48,172표 | 0.28% | ![]() |
0석 | ||
무효표 | 137,043표 | 0.81% | ![]() |
- | - | |
총합 | 16,739,616표 | 100% | 192석 |
카스텔부르크 | 2 | 3 | 5 | 1 | 2 | |||||
알레마니아주 | 3 | 10 | 12 | 14 | 15 | 16 | 17 | 20 | 22 | 23 |
25 | 30 | 33 | 34 | 35 | 18 | 21 | 27 | 28 | 1 | |
2 | 4 | 5 | 6 | 7 | 8 | 9 | 11 | 13 | 19 | |
24 | 26 | 29 | 31 | 32 | 36 | |||||
아미시아란트주 | 2 | 3 | 4 | 6 | 7 | 8 | 9 | 11 | 12 | 13 |
14 | 15 | 1 | 5 | 10 | 16 | |||||
아스크라리아주 | 2 | 4 | 5 | 6 | 3 | 7 | 8 | 9 | 1 | |
드라이히주 | 1 | 2 | 3 | 6 | 7 | 8 | 9 | 17 | 18 | 20 |
23 | 24 | 25 | 14 | 15 | 16 | 19 | 21 | 22 | 4 | |
5 | 10 | 11 | 12 | 13 | ||||||
엔브라주 | 1 | 2 | 3 | 4 | ||||||
플라니아주 | 3 | 6 | 7 | 10 | 11 | 13 | 14 | 12 | 15 | 16 |
1 | 2 | 4 | 5 | 8 | 9 | |||||
프레니아주 | 1 | 2 | 3 | 4 | 5 | |||||
퀴스테주 | 1 | 2 | 3 | 10 | 11 | 4 | 5 | 6 | 7 | 8 |
9 | ||||||||||
라우지츠부르크주 | 1 | 2 | 3 | 5 | 7 | 9 | 10 | 11 | 12 | 18 |
19 | 20 | 21 | 23 | 24 | 33 | 34 | 4 | 8 | 14 | |
15 | 16 | 17 | 22 | 25 | 26 | 27 | 28 | 29 | 30 | |
31 | 32 | 35 | 36 | 6 | 13 | |||||
오타카레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지틀란트주 | 1 | 2 | 3 | 4 | 7 | 9 | 10 | 11 | 12 | 13 |
16 | 17 | 19 | 5 | 6 | 8 | 14 | 18 | 1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