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 |- | ||
| style="width: 33% | <small>[[한월역|한월]] 방면</small></br>[[강동포역|강동포]]</br>← 32.4km | | style="width: 33% | <small>[[한월역|한월]] 방면</small></br>[[강동포역|강동포]]</br>← 32.4km |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영남고속선|#fff|영남선}}</br>[[파일:ESTOM New logo2.png|100px|링크=ESTOM]]</br>(태원 경유) | | style="background: #150061; color: #fff; style="width: 34% | {{colorlink|영남고속선|#fff|영남선}}</br>[[파일:ESTOM New logo2.png|100px|링크=ESTOM]]</br>{{글씨 크기|9|(태원 경유)}} | ||
| style="width: 33%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덕전역|덕 전]]</br>124.8km → | | style="width: 33% | <small>[[창산역|창산]] 방면</small></br>[[덕전역|덕 전]]</br>124.8km → | ||
|- | |- |
2025년 7월 29일 (화) 08:26 기준 최신판
태원역 Taewon Station | 太園驛 | |||
---|---|---|---|
고속·일반열차 노선 보기
| |||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 |||
주소 | |||
해월도 태원시 팔월구 단영대로 927 (명산로1가 11) | |||
역 코드 | |||
현월철도공사 | 023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 / 1급 (현월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기관 | |||
영남선 | 현월철도공사 | ||
개업일 | |||
일반열차 | |||
영남선 | 2022년 11월 12일 | ||
![]() |
2025년 7월 26일 | ||
새마을호 | 2022년 11월 12일 | ||
무궁화호 | 2022년 11월 12일 | ||
수도권 전철 | |||
1호선 |
2024년 3월 9일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일반열차 + 전철), 지상 1층 (영남선 일반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 | |||
승강장 구조 | |||
4면 8선 4섬식 승강장 (전철/일반열차간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한월 방면 화 동 ← 2.1km |
영남선 태 원 |
창산 방면 송 류 2.9km → |
개요
- 수도권 전철 1호선 H167번. 해월도 태원시 팔월구 단영대로 927 (명산로1가 11) 소재.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포함한 모든 여객 열차가 정차하며, 지금의 역사는 민자역사로 운영 중이다.
역 정보
명실상부 해월도 최대의 철도역이며 오래 전부터 현재까지도 이 역 일대가 해월 남부의 중심지이다.
2022년 11월 12일 영남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열었다. 개통 당시 상행 방면 다음 역은 상흥역, 하행 방면 다음 역은 도산역이었다.
2024년 3월 9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하며 1호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월평역으로 연장 된 2024년 7월 6일까지 약 4개월간 1호선 남쪽 끝을 담당했다.
해월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철도역답게 이 역을 지나가는 모든 열차가 필수정차한다. 고속철도 개통 전인 2024년 3월까지는 태원역을 통과하는 한월역을 출발해 덕전역과 동북전역만을 정차해 창산역으로 향하는 최속달 새마을호가 있었으나 ESTOM 시대 개막과 함께 태원역에 모두 정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역사
일평균 이용객
수도권 전철
일반열차
연도 |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총합 | 비고 |
---|---|---|---|---|---|---|---|
2022년 | 3,939명 | 8,311명 | 11,280명 | 15,202명 | 38,732명 | ||
2023년 | 4,006명 | 8,267명 | 11,155명 | 13,176명 | 36,604명 | ||
2024년 | 6,029명 | 24,540명 | 30,569명 |
승강장
화동 ↑ | |||||||||||||||||||||||||||||||
ㅣ | ㅣ | 9 | 8 | ㅣ | 7 | 6 | ㅣ | ㅣ | 5 | 4 | ㅣ | 3 | 2 | ㅣ | ㅣ | ||||||||||||||||
↓ 송류 |
2·3 | ![]() |
급행·완행 | 병정·장택·월평 방면 |
4·5 | 영남선 | ![]() |
덕전·동북전·서권천·창산 방면 |
새마을호 무궁화호 |
덕전·동북전·창산·청운대 방면 | ||
경서선 | 동북전·무산·진월 방면 | ||
평남선 | 서덕전·금성·영포 방면 | ||
서라선 | 서덕전·서화·남명 방면 | ||
진항선 | 영산·덕천·임산 방면 | ||
화북선 | 무궁화호 | 정주·화주·재천 방면 | |
6·7 | 영남선 | ![]() 새마을호 무궁화호 |
강동포·북산·한월 방면 |
8·9 | ![]() |
급행·완행 | 신로·북산·한북 방면 |
역 주변 정보
역전지하상가
치안
연계 교통
둘러보기
![]() | |||||||||||||
[ 펼치기 · 접기 ]
|
영남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