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역대 대표) |
||
149번째 줄: | 149번째 줄: | ||
| align=right | [[생추어리|{{글씨 색|#00A7DB|'''생추어리''' 대표}}]] ▶ | | align=right | [[생추어리|{{글씨 색|#00A7DB|'''생추어리''' 대표}}]] ▶ | ||
|- | |- | ||
|} | |} | ||
2020년 9월 14일 (월) 01:16 판
![]() |
일본 국회
| ||||||||||||||||||||||||||||||||
|
→ | → | |||
---|---|---|---|---|
![]() 로고 | ||||
(みんしんとう / 민신토) | ||||
The Democratic Party : DP | ||||
민진(みんしん) | ||||
민진당 | ||||
誠実な政治 | ||||
1998년 4월 27일 (민주당) | ||||
2016년 3월 27일 (민진당) | ||||
민주당, 유신당 | ||||
진보주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민주중도 | ||||
중도 ~ 중도좌파, 빅텐트 | ||||
파란색 (#00469C) | ||||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11-1 (東京都千代田区永田町一丁目11-1) | ||||
아즈미 준 / 8선 (중, 41 ~ 48대) | ||||
에다 겐지 / 5선 (중, 44 ~ 48대) | ||||
노다 요시히코 / 8선 (중, 40·42 ~ 48대) | ||||
나가츠마 아키라 / 7선 (중, 42 ~ 48대) | ||||
104석 / 245석 (42.4%) | ||||
221석 / 465석 (47.5%) | ||||
543석 / 2688석 (20.2%) | ||||
1932석 / 26762석 (7.2%) | ||||
199,482명 | ||||
민진 프레스 | ||||
# |
개요
2010년대 중반 자민당 아베 정권이 독주하며 평화헌법 폐기를 위한 개헌론에 불을 지피자, 당시 제1야당인 민주당과 유신당, 그리고 개혁결집회에서 2016년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를 앞두고 개헌저지선 확보를 위해 일부 야권 통합을 하면서 출범한 정당. 사실상 민주당에 나머지 정당들이 흡수된 형태다.
2015년 12월 18일에 통일 회파 '민주 · 유신 · 무소속 클럽' 결성을 신고했으며, 회파 대표는 민주당 간사장인 에다노 유키오가 취임했다. 이 와중에 유신당은 하시모토 도루의 일본 유신회 출신 계파가 다른 회파를 만드는 등 당내 분열이 일어났다가 결국 당이 쪼개져 오사카 유신회의 창당으로 이어졌다.
2016년 2월 22일 민주당의 오카다 가쓰야와 유신당의 마쓰노 요리히사 두 대표가 민주당은 유지하며 유신당을 흡수하는 형태로 신당을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합당 당시 구유신회측 일부에서 "민주당"이라는 정당에 흡수되는 것이라는 관점에 거부감을 표명한 바 있어 3월 3일부터 국민을 대상으로 당명을 공모했으며, 민주당, 입헌민주당, 백성신당 등 여러가지 응모가 나왔지만 간추린 끝에 민주당 측이 제안한 '입헌민주당'과 유신당 측이 제안한 '민진당' 가운데에 협의와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로 했고, 양당간에 각각 여론조사를 별도로 실시한 결과 민진당이라는 당명이 2위인 입헌민주당을 5~6%차로 제치고 1등을 기록하여 최종적으로 3월 14일 당명이 민진당(民進党)으로 결정되었다. 뜻에 대해선 제안자인 유신회측에서는 "쇄신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민주(民主)'라는 문자를 남기지 말고, 앞으로 국민을 향한 개혁을 진전시키는 당을 목표로 하자는 취지로 제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2016년 3월 22일 개혁결집회 소속 의원 5명 중 4명이 민진당으로 합류했다. 3월 27일, 창당대회를 통해 정식 출범하였다. 대표 대행으로는 에다 겐지가 임명되었다. 이후 제24대 중원선에서 자민당을 제치고 참의원 당선자수 1위를 차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보였으며, 2017년 48회 중원선에서 465석중 246석을 차지해 민주당계 정당으로는 헌정 사상 두번째로 집권하였다. 이후 당내 갈등으로 당내 진보파들이 생추어리를 창당해 떨어져나가 당세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자민당의 발목잡기와 고이즈미 신지로 총재의 실언 등으로 자민당의 지지율이 하락해 2021년 49회 중원선에서 생추어리와 연정하여 재집권하였다.
역대 대표
![]() 민진당 역대 대표 | ||||
오카다 가쓰야 |
마에하라 세이지 |
에다노 유키오 |
후루카와 모토히사 |
에다 겐지 |
와타나베 슈 |
아라이 사토시 |
아즈미 준 |
||
◀ 민주당 대표 ◀ 유신당 대표 |
생추어리 대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