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ouement of the Eclipse/국가/칸프론테아/트빌리시아 민주공화국

트빌리시아 민주공화국 (Democratic Republic of Tbilisia)

Denouement of the Eclipse
[ 펼치기 · 접기 ]


트빌리시아 민주 공화국의 국기









개요

[국가설명]

트빌리시아는 북방 원주민인 측토 부족과 제르폰인들, 아스테리온인들이 섞여 사는 공화국으로 과거 민주주의 이념의 발견자들, 즉 아스테리온의 민주주의자들이 그 이념을 인테르 산 밖으로 퍼뜨리며 이에 관심을 가진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건설한 이상적인 국가입니다. 아스테 신성연방의 맹신적인 전도와 구하르 연방의 비상, 구하르 연방과 도르트문텔 제국 사이의 전쟁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계소되는 가운데 트빌리시아는 가냘픈 육체가 파도에 휩쓸리지 않도록 몸을 숙이고 고요함을 지켜야 했고 수백년의 시간동안 역사책 속에서 침묵을 유지했습니다.

영원한 중립국으로서 자리매김 할줄만 알았던 트빌리시아의 평화는 아스테 신성연방과 그에 대항하는 대 아스테 연합전선, 즉 구하르 연방국들이 국경분쟁을 시작하며 종막을 맞이했습니다. 시카메온과 아스테리온은 트빌리시아 또한 이 전선에 참가하기를 바랬고 불가피하다면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광신도들을 제압하려 했습니다. 이 혼란기 동안, 트빌리시아는 주변의 적들을 막기 위한 도움을 받고자 새로운 패권자인 제르포나스 제국의 편에 섰습니다.

아스테 신성연방은 금방 사그라들었고 트빌리시아도 제르포나스 제국과 상호방위조약같은 복수 협정을 체결함으로서 강대한 뒷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트빌리시아는 이런 관계를 이어가기 위해 몇가지 경제적 양보를 초래해야 했습니다. 또한 영토의 절반에 해당하며 제르폰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로체스터와 브로윈을 넘겨주어야 했습니다. 비록 굴욕적인 선택이었지만 이후로 트빌리시아의 시민들은 평화롭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비록 안정은 온전함을 의미했지만 몇몇 이들은 이를 권태로움으로 여기며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온건적인 혁명주의자들의 수장 오노에 조르단과 도르트문텔과 제르포나스의 패권적 힘의 이유를 제국이라는 정치구조를 이유로 드는 복벽주의자들의 수장 에키아노에 타미슈빌라와 시카메온 왕국의 핏줄인 조아힘 왕자, 강력한 1인 독재를 주장하는 전제적 군주정의 지지자인 게오르기아 비그라티스까지, 시민들은 새로운 도전을 원하고 있습니다.

트빌리시아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혼란과 혼돈의 시기를 시기적절한 판단과 중립국이라는 선택으로 인해 넘어왔습니다. 수많은 소국들에게 트빌리시아 민주 공화국은 안정의 등불로서 길을 비추어주는 광원이 되었습니다. 아직도 그들에게 위협은 어디에서든지 도사리며 굶주린 맹수처럼 트빌리시아를 노리고 있습니다. 갑작스레 항거할 수 없는 재난이 닥치지 않는 한 트빌리시아는 살아남을 것입니다.


트빌리시아는 안전합니다!


  • 트빌리시아 민주공화국의 정당
    • 보수당 - 집권당
      • 오노에 조르단 (Ohnoe Jordan)
    • 통합 트빌리인당
      • 에키아노에 타미슈빌라 (Ekyanoe Tamishubilla)
    • 트빌리시아 구국연합
      • 조아힘 시메온 (Joakim Simeon)
    • 트빌리시아 패권당
      • 게오르기아 비그라티스 (Georgia Vigratis)


  • 민족 구성
    • 트빌리 인: 56%
    • 제르폰 인: 24%
    • 아스테리온 인: 13%
    • 측토 인: 7%
    • 북방 원주민: 4%
    • 시카메온 인: 3%
    • 기타: 3%


  • 수도
    [릴라이냐]


  • 체제 및 집권 이념
    보수주의, 민주정


  • 총계
    • 총 인구: 1944만명
    • 과학 개발도: 작은 과학 기반
    • 사회 개발도: 농업 사회
    • 문맹도: 보통의 문맹
    • 빈곤도: 중간의 빈곤





국민 정신

  • 고요속 중립

우리의 모두는 폭풍우치는 배 위에서 입을 막고 있어야 합니다. 그 누구도 우리를 바라보지 못하도록, 그들끼리 싸우다 자멸하도록, 그리고 그 고요 속에는 살아남은 우리들이 있을 겁니다.


  • 제국에 종속된 경제

생존과 중립에 대한 대가는 때론 치명적이었습니다. 제르포나스 제국과의 상호간 경제적 교류 협정에 따라 값싸고 많은 제국산 물품들이 쏟아져 들어왔고 비교적 경쟁력이 부족한 트빌리시아 자영민들은 고통스러운 삶을 보내야만 했습니다. 마치 하나의 부속도시마냥 제르포나스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흔들리는 이 괴로운 현실은 제국이라는 그늘밖으로 벗어나지 않는 이상 이어질 겁니다.


  • 잃어버린 반쪽

중립이라는 국제적인 인정은 또다른 희생을 낳았습니다. 로체스터와 브로윈, 트빌리시아의 영토이지만 제르폰 인구가 다수인 지역은 제국의 암묵적 보호와 함께 제국의 손아귀로 굴러들어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트빌리시아는 잊지 않았습니다.


  • 제르폰 의견 - 부정적임

사람들은 거인의 손길을 거부합니다. 많은 이들은 자신들의 상태가 식민지나 위성국과 별로 다르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제르포나스 제국의 불온하고 이기적인 심보를 비난합니다. 그들의 상전스러운 횡포에 대한 불만은 오랫동안 억누를 수는 없을 겁니다.


  • 도전적인 군부

평화는 안정을 의미했지만 누군가에게는 권태로움으로 여기며 변화를 촉구합니다. 불행하게도 이를 외치는 이들은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군인들입니다. 이들은 제국의 휘하라는 굴욕적인 위치에 반발하며, 그들의 인내심은 짧아지고 있습니다.

트빌리시아의 미래

오노에 조르단

에키아노에 타미슈빌라

조아힘 시메온

게오르기아 비그라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