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탈리아 제국 총리 | ||||||||||||||||||||||||||||||||||||||||||||||||
---|---|---|---|---|---|---|---|---|---|---|---|---|---|---|---|---|---|---|---|---|---|---|---|---|---|---|---|---|---|---|---|---|---|---|---|---|---|---|---|---|---|---|---|---|---|---|---|---|
[ 펼치기 · 접기 ]
|
이탈리아 제국 제5·7대 총리 아놀도 파르미리 Arnoldo Parmili | |
---|---|
출생 | 1923년 6월 15일 |
이탈리아 왕국 토스카나 주 빈치 | |
사망 | 2012년 6월 19일 (향년 89세) |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루카 | |
국적 | ![]() |
임기 | 제5대 총리 |
1969년 1월 13일 ~ 1977년 1월 10일 | |
제7대 총리 | |
1980년 4월 16일 ~ 1983년 7월 6일 | |
가족 | 아내, 자녀 3명 |
학력 | 피렌체 황립대학교 (법학 / 중퇴) |
종교 | 유대교 |
소속 정당 | 사회당 |
약력 | 이탈리아 사회당 중앙서기위원장 이탈리아 사회당 부당수 이탈리아 사회당 당수 이탈리아 제국 제5대 총리 이탈리아 제국 제7대 총리 |
수훈 | 이탈리아 왕관 기사훈장 (Ordine della Corona d'Italia) |
개요
이탈리아의 정치인. 제5대 총리와 제7대 총리를 역임하였으며, 이탈리아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11년) 동안 집권한 총리이다. 집권 기간 도중 이탈리아의 복지 제도를 크게 확충하였으며, 68 혁명 당시의 의제들을 국가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983년 키프로스 전쟁의 패전 책임으로 사임하였다.
생애
1923년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의 빈치의 유대인 가정에서 출생하였다.[1]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이탈리아 본토를 침공하자 시칠리아 섬으로 도피하였으며, 1942년 이탈리아 왕국군에 징병되어 1945년까지 군에서 복무하였다.
전후 그는 피렌체 대학교의 법학과에 진학하였으나 흥미를 보이지 못하고 학생 운동을 전전하다가 대학에서 중퇴하였다. 이 당시에는 이탈리아 공산당에 소속된 젊은 공산주의자였지만, 1948년 베를린 봉쇄 당시 소련의 결정을 비판하며 공산당을 탈당하고 이탈리아 사회당에 입당하여 활동하였다.
이탈리아 사회당의 청년 조직인 이탈리아 사회당 청년 동맹에서 인지도를 쌓은 그는 1954년 이탈리아 사회당의 토스카나 주 서기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2년 뒤에는 중앙당 서기위원장이 되었다. 그는 리비아 독립 전쟁에서 이탈리아 정부를 비판하고 리비아의 민주적 독립을 지지하면서 인지도를 넓혀갔다. 1964년 전당 대회에서 아놀도 파르미리는 전체 득표의 72.1%의 찬성으로 야당 당수로 선출되었다.
야당 당수로서
야당 당수로서 그는 이탈리아 공산당을 견제하는 한편 다른 중도파 야당과는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사회당의 전국화 정당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66년 더레스 강령을 통하여 사회당의 마르크스주의 포기 및 개량 수정사회주의로의 이념 전향 역시 그가 주도한 것이었다.
1968년 8월 12일 로마에서 학생 시위대와의 행진. 이 시위는 후일 "8월 12일 평화의 제전"이라고 불리게 된다. |
---|
1966년 이탈리아 총선에서는 공산당에게 표를 많이 빼앗겨 의석을 잃으면서 위기에 처했지만, 도리어 공산당과의 연립내각 수립 의지를 보이면서 공산당과 사회당의 공투를 이끌어냈다. 1968년 68 혁명 때에는 청년층의 많은 지지를 받았고, 스스로도 혁명에 동참하였다. 1969년 치뤄진 조기 총선에서 사회당이 186석, 공산당이 134석으로 과반인 315석을 넘긴 320석을 차지해, 아놀도 파르미리는 1969년 전후 최초의 진보 성향 총리로 취임하게 되었다.
총리 1기
3년간의 야당 생활
총리 2기
총리 2기 당시에는 1기만큼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82년 그리스 왕국과 연합하여 지중해 내에서 터키를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키프로스 전쟁을 일으켰다. 초기에는 이탈리아-그리스 군이 우세하면서 북키프로스 정부가 축출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도리어 터키군의 강력한 공세에 밀려 전쟁에서 패전하였다. 게다가 리비아 독립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의 국면에서 반전(反戰)을 내세운 총리가 터키에 대해서는 결정을 뒤집었다며 그를 비판하는 여론도 컸다. 1983년 2월 12일 이탈리아 공산당이 키프로스 전쟁을 이유로 연정 해소를 선언하면서 그는 총리직에서 사임하였다. 후임으로 안토니오 루마치 부당수가 취임하였다.
총리 퇴임 이후
평가
여담
- 후임이자 친구였던 안토니오 루마치 총리가 박학다식한 지식으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화법을 구사하였다면, 그는 상대에게서 자신이 원하는 답변을 이끌어내는 스타일의 화법을 즐겨 사용하였다. 선거 토론에서 루마치 총리가 한마리의 호랑이 같다면 파르미리 총리는 사람을 부드럽게 휘감는 뱀 같다는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