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묘정난癸卯靖難 Chosunese Civil War | ||||
기간 | 1828년 1월 5일 ~ 1843년 12월 12일 (가평 13년 11월 19일 ~ 건헌 14년 10월 21일) | |||
장소 | 한반도 및 일본열도, 요동반도 일대 | |||
원인 | 대구 서씨의 숙청에 대항한 서현성의 난 2차 중추원 해산으로 촉발된 정해민란 | |||
결과 | 반청파의 승리 대한국의 건국 및 전제군주제 복고, 칭제건원 시행 | |||
교전세력 | ||||
신국파 ![]() ![]() ![]() |
근왕파 ![]() ![]() ![]() |
반청파 ![]() ![]() ![]() |
북려국 ![]() ![]() | |
지휘관 | ||||
지도부
![]() 수상
이청 ![]() 총융사
김총명 ![]() 민의총사
건헌군
제천심 ![]() 인천부장
임치효 ![]() 강화부장
수경군
탁헌 ![]() 한성부장
성치영 ![]() 총융청 중위군
윤자철 ![]() 총융청 참령
공의서민군
지일선 ![]() 민의부장
백덕우 ![]() 민의참장
정일임 ![]() 의장군
전여운 |
지도부
![]() 의병장
서현성 ![]() 의병장
병인군
임희덕 ![]() 대구부윤
서경효 ![]() 대구부장
도충수 ![]() 대구부중군
심운 ![]() 안동부중군
김척경 ![]() 경상의병장
조양효 ![]() 경상의병부장
나염 |
지도부
![]() 지원수부사
조응영 ![]() 관동위장
이현 ![]() 구국총영사
관동군
이영공 (소종 장황제) ![]() 관동위중군
박민효 ![]() 관동위 참령
송치건 ![]() 관동위 참령
민희관 ![]() 의주부장
경군
성훈 ![]() 어영사
황보은 ![]() 수어사
강림 ![]() 금기사
구국민회군
권웅우 ![]() 구국총수
이철윤 ![]() 전라의병장
신용만 ![]() 충청의병장
최윤벽 ![]() 황해의병장
장운룡 ![]() 충효장군
최가흥 |
지도부
![]() 북려국왕
권성환 ![]() 북평장수
권평 ![]() 흑룡부장
북려군
양정완 ![]() 상장군
권성룡 ![]() 좌장군
권숙평 ![]() 참장
예성회 ![]() 참장
사공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