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미가와시

미카와현
행정구역
[ 펼치기・접기 ]


파일:미카와현 blue.png 미카와현의 정령지정도시
카스미가와시
霞川市
Kasumigawa City

지도를 불러오는 중...

시청 소재지 나카구 이마하시초 1번지
도도부현 미카와현
하위 행정구역 3구
인구 593,202명

개요

일본 미카와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미카와현의 유일한 정령지정도시이자 현청소재지이다.
미카와현 내에서는 독보적 인구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와 아이치현 나고야시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역사

1505년(에이쇼 2년), 마키노 고하쿠(牧野古白)에 의해 이마하시성(今橋城)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건립된 것을 카스미가와시의 기원으로 본다.

이마가와 씨가 이 지역을 점령한 후, 성은 요시다성(吉田城)으로 개칭되었다. 요시다성은 이 시기부터 미카와국의 정치적, 군사적 요충지로 자리잡게 되었고,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통치 하에 들어가면서 중요성은 더욱더 커졌다.

메이지 시대에 들어와, 메이지 2년에 판적봉환이 이루어지면서, 성과 지역은 토요하시 번(豊橋藩)으로 개칭되었다. 토요하시(豊橋)라는 이름은 도요카와 강에 걸린 다리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 메이지 6년, 성은 화재로 인해 대부분의 구조물이 소실되었고, 이후 성곽의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지금의 이름이 붙여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태평양 전쟁 이후의 일이다.

카스미가와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존재했던 전통적인 홍수 조절 제방인 카스미테이(霞堤)에서 유래하였다. 카스미테이는 강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설치된 제방으로, 홍수 시에 물이 제방을 넘도록 하여 강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홍수 피해를 완화하는 구조였다. 제방의 일부가 끊긴 구조 덕분에, 강물이 넘칠 때에도 주변 마을과 농지에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물이 넘치는 모습이 안개(霞)가 피어오르는 듯한 인상을 주었고, 이로부터 카스미가와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

1963년, 도시 주변의 방수로가 완성되면서, 강의 물이 두 갈래로 나뉘어 홍수 시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었다. 방수로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강물의 흐름이 더 효율적으로 관리되었고, 이는 도시 발전에 중요한 인프라로 자리잡게 되었다.

1999년 중핵시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4월 정령지정도시로 승격되었다.

하위 행정구역

카스미가와시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나카구, 키타구, 미나미구의 3구 체제이다.

인구

카스미가와시의 인구는 60만 명을 약간 웃도는 약 59만 명으로, 중규모 도시에 속한다. 이 수치는 일본의 도시들 중에서는 상당한 규모에 속하지만, 인근의 대도시인 나고야시(약 230만 명)와 하마마츠시(약 80만 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 때문에 나고야시나 하마마츠시와 같은 거대 도시와 비교하면 영향력이나 존재감 면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는 편.

경제

산업

상권

신카스미가와역을 중심으로 한 나카구의 상권은 카스미가와시의 핵심 상업 지구로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대형 쇼핑몰과 다양한 매장들이 밀집한 지역으로, 요도바시 멀티미디어 카스미가와점과 카스미가와 PARCO가 위치해 있다.

요도바시 멀티미디어 카스미가와

요도바시 멀티미디어
카스미가와
ヨドバシカメラマルチメディア霞川
위치 카스미가와시 나카구 하나다초
인접역 신카스미가와역
개점일 2004년 3월


요도바시 멀티미디어 카스미가와는 카스미가와시 중심부에 위치한 대형 전자제품 전문 매장으로, 2004년에 개장한 이후 도시의 상업적 허브로 자리 잡았다. 이 매장은 지상 4층 규모로, 지역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자제품을 취급하고 있으며, 신카스미가와역 바로 앞에 위치해 있어 교통 편의성 덕분에 주변 도시에서도 많은 방문객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하였다.

교통

JR 도카이 신카스미가와역이 있어 도카이도 신칸센이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