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다다고

Dadago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1월 26일 (일) 16:52 판

중원 국가들 인구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산아제한정책 미실시

  • 연국(허베이,산시,산둥)
    • 314,547,265명
  • 명국(안후이,장쑤,저장)
    • 282,430,500명
  • 송국(허난)
    • 142,986,300명
  • 초국(후베이)
    • 87,198,519명
  • 오국(푸젠,장시)
    • 120,102,936명
  • 양광국(광시,광둥)
    • 194,523,132명
  • 호남국(후난)
    • 103,200,000명
  • 운남국(윈난,구이저우)
    • 127,341,000명
  • 사천국(쓰촨)
    • 185,463,807명
  • 진국(산시)
    • 59,293,498명
  • 후이국
    • 57,254,700명
  • 몽골국
    • 26,073,800명
  • 해안 기업도시들 총합
    • 111,325,921명

중원지역 총합 집계인구 1,811,741,378명

2080 세계관 주요 올림픽 설정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36 뉴델리:꽤 성공적이었으나 몇년뒤 핵무기에 절여져 방사능지옥이 되어버린다.
2044 리야드:사우디의 오일머니로서 만들어진 대회였으나 석유소비가 급감한탓에 대회자체에도 예산이 적게들어가 실패한 올림픽으로 평가받는다.
2056 도쿄:도쿄에서의 3번째 올림픽으로서 실패한 2번째와 달리 성공적으로 일본의 부활을 상징하게되었다.
2060 모스크바:전범국이자 독재국가로 굳었던 러시아의 이미지를 전환시킨 올림픽이 되었다.
2068 평양:한국의 부활과 통합된 남북, 나아가 남만주와의 화합을 세계에 알리는 올림픽이 되었다.
2072 키이우: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상처입었던 우크라이나가 폐허가 아닌 회복된,성장한 국가임을 알리게 되었다(한국을 알린 88 서울올림픽 느낌)
2076 시카고:몰락했던 러스트벨트의 부활을 알리는 올림픽이 되었다.
2080 광저우:제2차 군벌시대로 무너진 중국의 잔해에서 떠오른 강국인 광동민주공화국을 알리는 올림픽이 될것이다.
2084 빈:다민족으로 어우러진 도나우 연방 공화국을 알리는 대회가 될것이다.

붉은 노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남한:이승만(1952~1956)->조봉암(1956~1960)->장면(1960~1964)->허정(1964~1968)->유진산(1968~1972)->허정(1972~1976)->김종필(1976~1980)->김영삼(1980~1988)->김대중(1988~1996)->이회창(1996~2000)->노무현(2000~2008)->이명박(2008~2016)->오세훈(2016~2020)->노회찬(2020~)

남일본:요시바 시게루(1952~1956)->가타야마 데쓰(1956~1964)->이케다 하야토(1964~1968)->다나카 가쿠에이(1968~1976)->나카소네 야스히로(1980~1988)->무라야마 도미이치(1988~1996)->고이즈미 준이치로(1996~2004)->하토야마 유키오(2004~2012)->아베 신조(2012~2020)->에다노 유키오(2020~2024)->고이즈미 신지로(2024~)

북한:박헌영->강성산

북일본:도쿠다 규이치->미야모토 켄지

대한제국 황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제국 황실
[ 펼치기 · 접기 ]
영조대왕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신군
순조 숙황제 남연군
문조 태황제 철종 광황제
정효태자 고종 현황제
완친왕 순종 효황제 강조 성황제 영친왕
의종 정황제 성조 평황제 경친왕 정친왕 단친왕 정친왕 현친왕 안친왕 정인군
강친왕 명친왕 혜종 영황제 의친왕 의연군 장천군 해정군 경정군 통산군 경산군 송산군 나산군
안성군 장성군 해성군 헌조 원황제 나성군 부성군 강성군 동성군 용성군 진성군 양성군 내성군 개성군 금성군 창성군
안진군 정진군 청화황제 영진군 행진군

경친왕=>敬,정친왕=>貞,단친왕=>團,순친왕=>筍,현친왕=>賢,안친왕=>安,강친왕=>剛,명친왕=>明

부산권 도시철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호선:포항~진주,동대구
2호선:남포~하단~강서~구포~연산~수영~경대~남포 순환선
3호선:송도~언양
4호선:이기대~대산(창원 북부)
5호선:미포(해운대)~창원
6호선:민락~부산대
7호선:기장~가야
8호선:봉황~다대포
9호선:김해대~부산국제공항
마울선:울산역[1]~마산
정관선:일광~노포
울산 1호선:중산~망양
울산 2호선:울산역[2]~언양
창원 1호선:창원역~성산구청
마산 1호선:마산역~진동
거제통영선:통영~장목(거제)
대구 1호선:설화명곡~금호
대구 2호선:문양~영남대
대구 3호선:칠곡경대병원~용지
대구 4호선:수성구민운동장~이시아폴리스
대구 5호선:순환선
대경선:경주역~구미역

대한제국 정치사 개편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군사독재=>합당을 통한 1당우위적 민주정 70년대 후반에 당 분열로 종결
이후 국민자유,대한민주,사회노동3당체제=>국민민주,사회민주 양당체제로 개편

역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이름 임기 선거 정당
시작일 종료일
1

김홍집
(1842~1913)
1 1887년 7월 13일 1891년 7월 15일 초대 입헌당
2 1891년 7월 16일 1894년 4월 11일 2대
2

최익현
(1834 ~ 1915)
3 1894년 4월 12일 1898년 4월 13일 3대 신민당
4 1898년 4월 14일 1900년 11월 13일 4대
3

서재필
(1864 ~ 1951)
5 1900년 11월 14일 1904년 11월 9일 5대 신민당
6 1904년 11월 10일 1908년 11월 11일 6대
4

박영효
(1861 ~ 1934)
7 1908년 11월 12일 1911년 2월 8일 7대 입헌당
5

김옥균
(1851 ~ 1924)
8 1911년 2월 9일 1914년 10월 14일 8대 입헌당
9 1914년 10월 15일 1916년 9월 13일 9대
6

이완용
(1858 ~ 1933)
10 1916년 9월 13일 1919년 4월 9일 10대 신민당
7

박중양
(1872 ~ 1959)
11 1919년 4월 10일 1920년 9월 8일 입헌당
12 1920년 9월 9일 1924년 9월 10일 11대
8

여운형
(1886 ~ 1960)
13 1924년 9월 11일 1928년 9월 12일 12대 노동당
14 1928년 9월 13일 1930년 1월 8일 13대
9

김창암
(1876 ~ 1960)
15 1930년 1월 9일 1932년 6월 8일 14대 입헌당
민주자유당[3]
10

이승만
(1875 ~ 1965)
16 1932년 6월 9일 1935년 11월 13일 15대 민주자유당
17 1935년 11월 14일 1936년 6월 10일 16대
18 1936년 6월 10일 1939년 11월 8일
19 1939년 11월 9일 1943년 11월 10일 17대
20 1943년 11월 11일 1947년 11월 12일 18대
21 1947년 11월 12일 1951년 11월 14일 19대
11

이기붕
(1897 ~ 1971)
22 1951년 11월 15일 1953년 4월 15일 20대 민주자유당
12

허정
(1896 ~ 1988)
23 1953년 4월 16일 1955년 11월 9일 민주자유당
24 1955년 11월 10일 1958년 7월 9일 21대
13

장면
(1899 ~ 1966)
25 1958년 7월 10일 1959년 12월 14일 22대 민주자유당
26 1959년 12월 14일 1961년 5월 10일
27 1961년 5월 11일 1964년 2월 15일 23대
14

유진산
(1905 ~ 1974)
28 1964년 2월 16일 1966년 12월 14일 24대 민주자유당
29 1966년 12월 15일 1968년 1월 13일 25대
30 1968년 1월 14일 1970년 2월 11일
15

장준하
(1918 ~ 2001)
31 1970년 2월 16일 1973년 4월 11일 26대 민주자유당
32 1973년 4월 12일 1975년 11월 12일 27대
33 1975년 11월 13일 1976년 2월 11일
34 1976년 2월 12일 1978년 1월 13일 28대
16

김대중
(1924 ~ 2009)
35 1978년 1월 14일 1978년 12월 13일 29대 사회민주당
36 1978년 12월 14일 1980년 1월 9일 30대
37 1980년 1월 10일 1982년 3월 10일
38 1982년 3월 11일 1983년 4월 13일 30대
17

김영삼
(1929 ~ 2015)
39 1983년 4월 14일 1984년 12월 12일 31대 국민민주당
40 1984년 12월 13일 1987년 1월 14일 32대
41 1987년 1월 15일 1990년 3월 10일 33대
18

권영길
(1941 ~ )
42 1990년 1월 14일 1992년 3월 11일 34대 사회민주당
43 1992년 3월 12일 1993년 10월 13일
44 1993년 10월 14일 1995년 3월 10일 35대
18

박부일
(1924 ~ 2027)
45 1995년 3월 11일 1996년 12월 11일 사회민주당
46 1996년 12월 12일 1997년 10월 13일 36대
18

이회창
(1935 ~ )
47 1997년 10월 14일 1999년 1월 13일 37대 국민민주당
48 1999년 1월 14일 2000년 8월 9일
48 2000년 8월 10일 2002년 10월 9일 38대
19

노무현
(1946 ~ )
49 2002년 10월 10일 2004년 5월 12일 39대 사회민주당
50 2004년 5월 13일 2006년 9월 13일 40대
51 2006년 9월 14일 2008년 12월 10일
20

이명박
(1941 ~ )
52 2008년 12월 11일 2010년 1월 13일 41대 국민민주당
53 2010년 1월 14일 2011년 6월 15일
21

안진삼
(1954 ~ )
54 2011년 6월 16일 2011년 12월 14일 국민민주당
55 2011년 12월 15일 2014년 8월 13일 42대
22

노회찬
(1956 ~ )
57 2014년 8월 14일 2017년 12월 14일 43대 사회민주당
58 2017년 12월 15일 2020년 5월 15일 44대
59 2019년 5월 16일 2020년 4월 15일
23

안희정
(1964 ~ )
60 2020년 4월 15일 2020년 10월 14일 사회민주당
24

김문수
(1951 ~ )
61 2020년 10월 14일 2021년 5월 12일 사회민주당
25

홍준표
(1954 ~ )
62 2021년 5월 12일 2022년 7월 13일 45대 국민민주당
63 2022년 7월 14일 2025년 3월 12일 46대
26

유승민
(1958 ~ )
62 2025년 5월 12일 2026년 1월 7일 국민민주당
63 2026년 1월 8일 2027년 3월 10일 47대
27

이재명
(1963 ~ )
62 2027년 3월 10일 2028년 4월 12일 47대 사회민주당
28

천건태
(1970 ~ )
62 2028년 4월 13일 현직 사회민주당
  1. 원역의 태화강역
  2. 원역의 태화강역
  3. 3당 합당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