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국 목록 ]
|
[ 설정 목록 ]
| ||||

Bundesrepublik Deutschland
세상이 어둠에 휩싸인 현재, 독일은 다시 한번 유럽의 운명을 손에 쥐게 되었다.
그들이 맞서야 할 운명이 다가오고 있다.
![]() |
서쪽의 비센티나부터 동쪽의 탈린까지 연료와 식량의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폭력과 극단주의가 새벽의 달을 물들이고 있습니다.
그림자 아래의 독일은 점차 병들어 가고 있습니다.
허나 독일인 중 누구도 희망을 버리진 않았습니다.
세계를 덮치는 심연에 맞서 각자의 방식에 따라 그들의 길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주요 도시

![]() |
Hamburg
역사
![]() |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 위기는 월스트리트를 넘어 런던과 프랑크푸르트까지 순식간에 확산되었고, '검은 화요일'로 불리는 증시 붕괴 사태는 유럽 경제를 심대한 혼란에 빠뜨렸다. 특히 공동 화폐인 유로를 사용하는 유로존 국가들은 위기를 상호 연쇄적으로 증폭시키는 구조 속에 있었기에, 그리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재정 취약국의 위기는 '유로존 위기'라는 이름으로 유럽 전체를 흔들었다. 당시 독일의 총리였던 앙겔라 메르켈은 유로존의 중심국으로서 남부 유럽 국가들에 긴축 정책을 강요했으나, 이로 인해 반EU 정서와 민족주의가 급속히 확산되었고, 이는 유럽 통합의 이상은 심각한 타격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독일 내부의 사회·경제적 균열 또한 확대되었으며, 긴축의 여파는 단지 재정 문제가 아닌 유럽 정치의 방향성 자체에 혼란을 초래하게 되었다.
게다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독일은 에너지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탈원전을 공식화하며 원자력 발전소 폐쇄를 가속화하였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대한 의존을 심화시키는 구조적 한계를 낳았고, 독일 에너지 정책은 중장기적으로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취약성이 현실로 드러난 것은 2015년, 제2차 중동대전 발발과 함께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의 충돌로 시작된 전쟁은 이라크 내전, 시리아 파괴, 이란 봉쇄 등으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제3차 유가 위기가 발생하며 독일과 유럽 전반은 심각한 에너지 공급 불안을 겪는다. 독일 경제는 급속히 침체되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대체 공급망 구축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독일은 이른바 '녹색 혁명'이라 불리는 움직임으로 유럽의 에너지 정책을 재구성하며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시도를 하기 시작했으며, 브라질 정부와 대규모 옥수수 및 바이오에탄올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유럽 연합 전역에 걸친 식물성 에너지 기반 공급망을 구축해 나간다.
하지만 1차 중동대전은 경제 위기만이 아닌, 전쟁으로 인한 난민 위기는 시리아, 이라크, 이란에서 수백만 명의 민간인이 유럽으로 유입되는 사태를 초래했다. 독일은 도덕적 책임을 명분으로 대규모 난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그 여파로 독일 사회는 급속히 양극화되기 시작한다. 개방 대 폐쇄, 엘리트 대 민중, 다문화 대 민족주의라는 이분법적 갈등이 격화되며, 유럽 전역에서 좌우 극단주의가 동시 부상하게 된다.
이러한 독일과 유럽 정치의 분기점은 2019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 침공으로 극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전쟁 직전, 미국의 버니 샌더스 행정부는 셰일 가스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하며 자국 보호주의 기조를 강화하였고, 이로 인해 유럽은 러시아와 미국 모두로부터 독립해야 하는 에너지 안보의 딜레마에 봉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은 '유럽 에너지 독립 계획'을 선포하고, 기존의 탈원전 노선을 수정하면서도 화석연료 사용을 대폭 줄이는 전략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 계획은 전기차 보급 확대, 식물성 에너지 활용,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스마트 그리드 통합 등으로 이어지며, 유럽 도시들의 풍경은 점차 저탄소·고효율 중심의 신사회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럽의 독립적 행보는 러시아 입장에서 심각한 전략적 도전으로 받아들여졌고, 양측 간에는 '에너지 전쟁'이라 불리는 비공식적 갈등이 벌어지게 된다. 러시아는 유럽 내 극우 정당 지원, 가스관 차단, 사이버 공격 등으로 대응하며, 유럽은 이에 대해 공급망 다변화와 방위력 재편으로 맞서는 혼돈의 시기에 접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