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라파 기행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목차}}
{{목차}}
==동로마편==
==동로마편==
나는 고국을 떠나 트란스옥시니아를 거쳐 셀주크 제국에서부터 또 며칠을 이동해서야 마침내 동로마 제국에 도착할 수 있었다. 황자의 신분이 아닌 일개 여행자의 신분으로써 온 동로마 제국은 이전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였다. 우리는 먼저 식량과 식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시장에 갔는데, 로마 자체가 다른 세상이라고 생각했던 저번 여행과 달리 언어와 인종은 달라도 우리 서하의 시장과 크게 다를건 없어보였다. 단지 서하보다 조금 더 부유한 것이 차이점이였으리라. 우리는 지친 몸을 치유하기 위해 한 여관에서 쉬기로 했다. 우린 이들과는 인종 언어 종교가 모두 전혀 다른 이방인이였으나 여관주인은 이방인이 익숙했는지, 우리에게 상당한 호의를 베풀어 특식을 내놓았다. 아마 내가 가진 금과 은 때문이였을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그의 호의는 고단한 여행길의 오아시스와 같았다. 바다가 없는 서하와 달리 이들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란 것을 즐겨 먹었는데, 그 맛이 대단해 여러 접시를 먹어치웠다. 다음날 아침 일찍 일어난 우리는 빠르게 동로마의 수도로 이동하였다.
동로마의 수도는 변방의 도시보다 외국인들이 훨씬 많았다. 그들 중에는 얼굴이 아예 시커먼 사람 ( 흑인 )이 있어 화들짝 놀라기도 했는데, 그러자 나와 친한 셀주크인 통역관 알 자지리가 "당신 생김새가 이곳 사람들에겐 더 낯설 겁니다"라고 말하여 매우 부끄러웠다. 그리고 자지리가 말하길 "황자님이 목표를 하시는 비잔틴 너머의 세계의 언어는 제가 잘 모릅니다. 아마 이곳의 역관을 구하셔야할 겁니다."라고 하였다. 곧 우리는 동로마인 역관을 찾기 위해 도시 곳곳을 돌아다녔다. 도시를 돌아보면서 나는 이곳 사람들의 생활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곳의 승려들에게서 이들의 종교에 대한 설명도 들을 수 있었는데, 예수라는 자는 아마 불교의 미륵불을 말하는 것 같았다. 훗날 구원을 받는다는 교리도 미륵 신앙과 유사하여 어쩌면 연관성이 있을지도 모르는 생각을 했다. 수소문 끝에 통역관을 구한 우리는 준비를 단단히 한 뒤 다리를 건너 서쪽으로 향했다.
==교황령편==
==교황령편==
==베네치아편==
==베네치아편==

2021년 2월 12일 (금) 19:00 판

주의! 이 문서는 네이션즈의 자율 세계관 Bear the weight of the crown의 공식 설정입니다.
이 설정에 대한 권리는 세계관 운영진과 국가 연재자에게 있으며 그 외 유저의 문서의 무단 편집은 반달(문서 훼손)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세계관 운영진 및 국가 연재자 외 JWIKI 계정이 별도의 허락 없이 이 문서를 무단으로 수정 및 삭제하거나, 전재 및 재배포하는 행위를 엄격하게 금하고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서하의 셋째 황자 이청순(A.D 1048~)이 기원후 1066년 유럽을 다녀와 작성한 여행기이다. 동로마를 넘어 중부유럽과 동유럽, 북유럽을 다룬 동방 최초의 서적이다. 황자 자신의 주관이 많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으로,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서술로 진행된다. 특히 기독교에 대하여 매우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서 서하 제국에서 기독교가 퍼지는데 한몫하였다.

동로마편

나는 고국을 떠나 트란스옥시니아를 거쳐 셀주크 제국에서부터 또 며칠을 이동해서야 마침내 동로마 제국에 도착할 수 있었다. 황자의 신분이 아닌 일개 여행자의 신분으로써 온 동로마 제국은 이전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였다. 우리는 먼저 식량과 식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시장에 갔는데, 로마 자체가 다른 세상이라고 생각했던 저번 여행과 달리 언어와 인종은 달라도 우리 서하의 시장과 크게 다를건 없어보였다. 단지 서하보다 조금 더 부유한 것이 차이점이였으리라. 우리는 지친 몸을 치유하기 위해 한 여관에서 쉬기로 했다. 우린 이들과는 인종 언어 종교가 모두 전혀 다른 이방인이였으나 여관주인은 이방인이 익숙했는지, 우리에게 상당한 호의를 베풀어 특식을 내놓았다. 아마 내가 가진 금과 은 때문이였을지도 모르지만, 어쨌든 그의 호의는 고단한 여행길의 오아시스와 같았다. 바다가 없는 서하와 달리 이들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란 것을 즐겨 먹었는데, 그 맛이 대단해 여러 접시를 먹어치웠다. 다음날 아침 일찍 일어난 우리는 빠르게 동로마의 수도로 이동하였다.

동로마의 수도는 변방의 도시보다 외국인들이 훨씬 많았다. 그들 중에는 얼굴이 아예 시커먼 사람 ( 흑인 )이 있어 화들짝 놀라기도 했는데, 그러자 나와 친한 셀주크인 통역관 알 자지리가 "당신 생김새가 이곳 사람들에겐 더 낯설 겁니다"라고 말하여 매우 부끄러웠다. 그리고 자지리가 말하길 "황자님이 목표를 하시는 비잔틴 너머의 세계의 언어는 제가 잘 모릅니다. 아마 이곳의 역관을 구하셔야할 겁니다."라고 하였다. 곧 우리는 동로마인 역관을 찾기 위해 도시 곳곳을 돌아다녔다. 도시를 돌아보면서 나는 이곳 사람들의 생활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곳의 승려들에게서 이들의 종교에 대한 설명도 들을 수 있었는데, 예수라는 자는 아마 불교의 미륵불을 말하는 것 같았다. 훗날 구원을 받는다는 교리도 미륵 신앙과 유사하여 어쩌면 연관성이 있을지도 모르는 생각을 했다. 수소문 끝에 통역관을 구한 우리는 준비를 단단히 한 뒤 다리를 건너 서쪽으로 향했다.

교황령편

베네치아편

보헤미아편

포메라니아편

스웨덴편

동유럽편

아헨편

귀환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