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 (동아흥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대한국 표 (LB)}}
{{대한국 타이틀}}
'''대한국'''({{llang|ko|大韓國}})은 1872년, [[조선]](朝鮮) 제26대 왕 [[고종]](高宗)이 '''조선국왕'''(朝鮮國王)의 칭호를 폐지한 후, '''대군주'''(大君主)를 칭하면서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국'''으로 개칭하면서 세워진 국가이다. 1871년, [[신미통상조약]](辛未通商條約)을 체결한 이후 [[전제군주정]](專制君主政)에 입각한 근대 국가 수립 운동을 표방하게 되었다.
{{대한국 표 (동아흥원)}}
'''대한국'''({{llang|ko|大韓國}})은 [[성리학]](性理學)과 [[실학]](實學)에 기반하여 통치한 [[한반도]](韓半島)와 [[구주]](九州)의 왕조로서, [[고려]](高麗) 말 [[신진 사대부]](新進士大夫)의 지지를 등에 업어 무관 [[이성계]](李成桂)가 건국하였고, [[고종]](高宗)이 선포한 [[대한제국 (동아흥원)|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계승되었다.


1894년, [[청일전쟁]](淸日戰爭)으로 [[시모노세키 조약]](下關条約)을 체결함에 따라 [[청나라|청]]은 대한국에 대한 종주권을 폐기한 후 [[국권수호조약]](國權修好條約)을 체결하여 동아시아 삼국간의 대등한 관계를 수립한 후, 이듬해의 고종은 [[칭제건원]](稱帝建元)을 통해 [[대한제국 (LB)|제정]]을 선언하게 되었다.
1274년, [[여몽구주정벌]](麗蒙九州征伐) 이후 [[한반도]][[구주]]를 다스리기 시작한 [[고려]] 왕조는 이후 [[원나라]](元國)의 [[부마국]](駙馬國)으로 전락하면서 국력이 쇠퇴하기 시작했고, [[공민왕]](恭愍王)의 개혁 실패와 내우외환에 이어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을 기점으로 고려는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이성계가 [[공양왕]](恭讓王)을 폐위시키면서 조선이 성립되었다.
 
== 배경 ==
{{본문|오페르트 통상사건|신미양요|신미통상조약|신미개혁}}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거친 조선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통치 아래 쇄국 체제가 강화되고 있었다. 그는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의 [[수렴청정]](垂簾聽政) 기간이 마무리되자 막후 정치를 펼치기 시작했는데, 실세를 거머 쥔 그는 양전 사업과 [[호포제]](戶布制)를 통해 국가 재정을 확충하였으며, [[사창제]](社倉制)를 실시해 문란했던 민정을 혁파했다. 그외에도 서원철폐 등의 왕권 강화와 조선 사회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병인박해]](丙寅迫害)를 통해 [[병인양요]]를 거친 이후 그는 [[천주교]](天主敎)와 서양 열강에 대한 접촉에 대한 회의심을 가졌으나, [[경복궁]] 중건 과정에서 1866년에 급사함에 따라 진정한 의미로서의 고종의 친정이 실시되면서 서양에 대한 개화와 근대화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가게 되었다. 고종은 대원군이 [[경복궁]](景福宮) 중건을 위해 유통한 [[당백전]](當百錢)과 청전(請錢)을 폐지하고 [[민승호]](閔升鎬), [[민겸호]](閔謙鎬) 등의 [[여흥 민씨]](驪興 閔氏) 세력과 [[이최응]](李最應), [[김병학]](金炳學)과 같은 대원군 반대파를 포용하면서도 [[박규수]](朴珪壽), [[이경하]](李景夏)와 같은 대원군을 지지하던 대신들도 조정의 구성원으로서 받아들이는 등 정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ref>그럼에도 [[여흥 민씨]]에 기인된 민씨 정권이 사실상 군림하게 되는 세도 정치의 형세를 보이게 되었다.</ref>
 
1868년, [[에른스트 오페르트]]가 대원군의 생부, [[남연군]](南延君)의 묘를 파헤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프로이센 왕국]]과의 통상 수교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를 이야기하여 마무리를 지었으나, 서구 열강에 대한 조정과 민중의 인식이 일시적으로 약화되기도 했다.<ref>이후 [[에른스트 오페르트|오페르트]]의 바램과는 다르게 조선 조정은 영사관으로 소환되어 조사를 받게 되었으며, 공무원을 사칭하여 외교 마찰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본국에서 실형을 언도받고 옥살이를 하게 되었다.</ref>

2019년 1월 10일 (목) 09:46 기준 최신판

대한국
大韓國, 1873~1895
Great Korean Kingdom
이명 대한왕국 / 대조선국
大韓王國 / 大朝鮮國

국기

국장
역사 정보
신미개혁 실시 1871년 10월 13일
광무유신 실시 1872년 8월 29일
대한국제 반포 1873년 6월 27일
국권수호조약 체결 1894년 3월 18일
제정 선언 1895년 4월 11일
주요 정보
정부 형태 형식적 입헌군주정
국왕[1] 고종(1871~1895)
입법/사법 중추원[2]/대심원[3]
인구 약 18,745,000 명
통화 양(兩) → 원(圓)
세부 정보
  1. 고려국왕(高麗國王) 혹은 대군주(大君主)라고 불렸다.
  2. 中樞院, 중추부(中樞府)로 불리기도 했다.
  3. 大審院, 평심원(平審院)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전 국가 조선 조선
이후 국가 대한제국 (LB) 대한제국 (LB)

대한국(한국어: 大韓國)은 성리학(性理學)과 실학(實學)에 기반하여 통치한 한반도(韓半島)와 구주(九州)의 왕조로서, 고려(高麗) 말 신진 사대부(新進士大夫)의 지지를 등에 업어 무관 이성계(李成桂)가 건국하였고, 고종(高宗)이 선포한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계승되었다.

1274년, 여몽구주정벌(麗蒙九州征伐) 이후 한반도구주를 다스리기 시작한 고려 왕조는 이후 원나라(元國)의 부마국(駙馬國)으로 전락하면서 국력이 쇠퇴하기 시작했고, 공민왕(恭愍王)의 개혁 실패와 내우외환에 이어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을 기점으로 고려는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이성계가 공양왕(恭讓王)을 폐위시키면서 조선이 성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