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국

동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합중국[1][2] 화민국 [3]
위구리스탄 공화국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북만주와 천도는 북아시아로 분류하기도 함.
  2. 태평양 제도는 오세아니아로 분류함.
  3. 중앙아시아, 북아시아의 일부로 분류하기도 함.
몽골국
ᠮᠤᠩᠭᠤᠯ ᠤᠯᠤᠰ
Mongolia
국기 국장
ᠳᠠᠶᠠᠭᠷ ᠮᠣᠩᠭᠣᠯ
준비된 몽골
상징
국가 몽골 국가
국화 솔체꽃
국조 세이커매
국수 몽골야생말
역사
[ 펼치기 · 접기 ]

독립 선언 1911년 12월 29일
헌법 개정, 몽골국으로 국명 개정 1992년 2월 13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 최대도시 울란바토르
면적 2,594,360km²
접경국 대한합중국 (범민족 세계) 대한
위구리스탄 공화국 (범민족 세계) 위구리스탄
시베리아 공화국 (범민족 세계) 시베리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0,792,129명
민족 구성 몽골인 42%, 한족 49%, 투바인 5%, 기타 4%
인구밀도 8.01명/km²
출산율 2.84명
기대 수명 71.2세
공용 언어 몽골어
공용 문자 몽골 문자, 한글
종교 국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분포 불교 51.7%, 무종교 40.6%, 이슬람 3.2%, 샤머니즘 2.5%, 그리스도교 1.3%, 기타 0.7%
군대 몽골군
주둔군 PRTO군
인간개발지수 0.741 | High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특별시, 주 2특별시, 24주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공화국, 이원집정부제, 단원제, 다당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6.48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대통령
(국가원수)
오흐나깅 후렐수흐
국가
요인
총리
(정부수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여당 몽골 인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명목
GDP
전체 $2,626억 3,095만
1인당 $15,640
GDP
(PPP)
전체 $2,640억 5,132만
1인당 $15,725
신용등급 Moody's Caa1
S&P B
Fitch B
화폐 공식
화폐
몽골 투그릭(₮)
ISO
4217
MNT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7, UTC+8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2020년
ccTLD
.mn
국가 코드
MNG, MN
국제 전화 코드
+83


개요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PRTO는 기존 중국이 점유하던 내몽골 지역을 몽골에 할양하기로 결정한다. 이는 위구르, 티베트 독립과 더불어 향후 중국이 한국에 도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의도가 담겨있는 결정이었다. 자유중국은 당연하게도 이 같은 결정에 반발했으나,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것을 주도한 한국의 결정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밖에 없었다.

몽골은 내몽골을 할양받은 후, 인종 정화 작업을 시작한다. 인종 정화 작업이라 함은 몽골 내에서 몽골인의 비중이 언제나 우위에 있어야 한다는 정책하에 시행된 대규모 한족 추방 작전이다. 당시부터 지금까지 몽골 본토보다 내몽골의 인구가 8배 정도 많은 상태이다. 이는 공산중국 점령 시기 내몽골의 한족 동화 정책으로 인해 내몽골로 이주한 한족의 숫자가 많기 때문이다.

몽골 정부는 내몽골 내 순수 한족을 중국으로 추방하는 한편, 혼혈 한족과 몽골인의 혼인을 금지한다. 이에 반발하는 한족도 있었으나, 애초에 대부분이 이주인 출신이라 명분이 부족했음은 물론 몽골 정부가 은밀히 지원한 몽골 민족주의 폭력 조직에 의해 잔혹하게 탄압당한다. 결국, 많은 수의 한족이 내몽골을 떠나 중국으로 돌아 갈 수 밖에 없었다. 잔혹한 인종 정화 작업은 몽골인의 수가 한족보다 많아지자 비로소 멈추게 된다. 그 동안 국제사회의 비판과 중국 정부의 반발을 들었지만, 한국의 물밑 지원으로 작업을 마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