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27번째 줄:
| 수도 = 명월시
| 수도 = 명월시
| 최대 도시 = 명월시
| 최대 도시 = 명월시
| 면적 = 337,602.2
| 면적 = 2,607,481.3
| 내수면 비율 =  
| 내수면 비율 =  
| 구성국 =  
| 구성국 =  
| 접경국 = 육상: 없음(섬이므로)<br>해상: 햇발국, 다이토와 제국
| 접경국 = 육상: 없음(섬이므로)<br>해상: 햇발국, 다이토와 제국
| 총 인구 = 113,992,483명
| 총 인구 = 213,992,483명
| 인구 밀도 = 337.6
| 인구 밀도 = 82.1
| 인종 구성 =  
| 인종 구성 =  
| 민족 구성 =  
| 민족 구성 =  
62번째 줄: 62번째 줄:
| 원내 야당 = 올바른당, 더나은사회당, 당당한세화당 등
| 원내 야당 = 올바른당, 더나은사회당, 당당한세화당 등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총 GDP PPP =  
| 총 GDP PPP = 12조 99억$
| 1인당 GDP PPP =  
| 1인당 GDP PPP = 56,123$
| 총 GDP 명목 =  
| 총 GDP 명목 = 9조 6258억$
| 1인당 GDP 명목 =  
| 1인당 GDP 명목 = 44,982$
| 수입 =  
| 수입 =  
| 수출 =  
| 수출 =  

2023년 6월 5일 (월) 02:16 판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이 글은 제이위키 사용자 블랑슈와 관련된 문서입니다. 위키 문법이나 내용상의 오류, 편집 지침 위반 등의 중대한 사유가 아니라면 수정을 가급적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혹시나 이 틀이 달린 문서의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데 직접 수정하기 어렵다면, 사용자 토론 문서를 통해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확인하는 대로 수정해 두겠습니다.
2022년 9월 20일 00:20 업데이트

→ 세화국 전용 틀로 교체 예정입니다.

[ 펼치기 · 접기 ]
에우랍수스 대륙
국기 국기
메츠틀리틀란 마가다 세렌디아 나일
국기 국기 국기
아티아 에우랍수스 굴레탄 아르미니우스
국기 국기 국기
아르타뉴
천호 대륙
국기
칠서 랴오 세화 원고
국기 국기 국기
영성 한라 바이당 비회
뉴니버스 대륙
국기 국기 국기
알벨란드 국가명 국가명 국가명

세화국
㔟華國
국기 국장
햇빛과 달빛 아래서
상징
국가 양왕가 찬가(왕실)
세화국민의 노래(민간)
국조
루펠독수리
국목
소나무
국화
해바라기
위치
width: calc(100% + 5px)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명월시
최대 도시
명월시
면적
2,607,481.3 ㎢
접경국
육상: 없음(섬이므로)
해상: 햇발국, 다이토와 제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13,992,483명
밀도
82.1명/km2
출산율
1.44명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분포
군대
세화국 국가방위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세화국식 입헌군주제[1], 의원내각제, 양원제
국가 원수 (양왕)
양문
정부
요인
국정대신
심전경 (모두의민주당)
관의회 의장
주장석 (모두의민주당)
민의회 의장
박민홍 (올바른당)
국가최고법원장
원준석
입법부
관의회(상원), 민의회(하원)
여당
모두의민주당
연립 여당
(여당 단독)
원내 야당
올바른당, 더나은사회당, 당당한세화당 등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PPP)
전체 GDP
12조 99억$
1인당 GDP
56,123$
GDP
(명목)
전체 GDP
9조 6258억$
1인당 GDP
44,982$
화폐
공식 화폐
세화국 환
ISO 4217
SWH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평원력에 기반하여 양왕의 권한으로 정하는 연호를 주로 사용
현행 연호: 정안(靜安)
시간대
UTC+4
도량형
국제표준단위계
ccTLD
.sw
국가 코드
SW, SWA
전화 코드
'
  1. (양)왕의 권한이 강하고 실제로 정치계에 어느 정도의 힘을 행사하지만, 의회의 의견을 존중하는 형식. 왕의 권한이 강하다는 점에선 현실의 프로이센식, 의회의 의견을 존중한다는 점에선 영국식 입헌군주제의 특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