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본 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 교전세력내용3 =  
| 교전세력내용3 =  
| 지휘관말머리 = 지휘관
| 지휘관말머리 = 지휘관
| 지휘관내용1 = [[파일:Wubon flag.png|25px]] 구해민<br>[[파일:Wubon flag.png|25px]] 박수태<br>[[파일:Wubon flag.png|25px]] 부홍<br>[[파일:미국 국기.png|25px]] 프랭클린 루스벨트<br>[[파일:영국 국기.png|25px]] 윈스턴 처칠
| 지휘관내용1 = [[파일:Wubon flag.png|25px]] 구해민<br>[[파일:Wubon flag.png|25px]] 박수태<br>[[파일:Wubon flag.png|25px]] 부용<br>[[파일:미국 국기.png|25px]] 프랭클린 루스벨트<br>[[파일:영국 국기.png|25px]] 윈스턴 처칠
| 지휘관내용2 = [[파일:국기 월본제국.png|18px]] 조의치<br>[[파일:국기 월본제국.png|18px]] 안희<br>[[파일:국기 월본제국.png|18px]] 고노후<br>[[파일:나치 독일 국기.png|25px]] 쿠르츠 레벤슈타인<ref>당시 월본에 체류하고 있던 나치 독일 군사고문지원단의 단장이다. 내전 이후 제2전월본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을 지원하였다.</ref>
| 지휘관내용2 = [[파일:월본국 전통황사기.png|25px]]소류 천황 (←)<ref>소류 국황은 군부내각을 해임하고 구해민 총리를 임명, 항복케 하였으나 이에 일부 군부 세력이 반발하여 소류 국황을 북부의 별궁에 감금하고 제2전월본제국을 참칭하였다. 이후 소류 국황은 만월을 찾아서 작전으로 구출된다.</ref><br>[[파일:국기 월본제국.png|18px]] 조의치<br>[[파일:국기 월본제국.png|18px]] 안희<br>[[파일:국기 월본제국.png|18px]] 고노후<br>[[파일:나치 독일 국기.png|25px]] 쿠르츠 레벤슈타인<ref>당시 월본에 체류하고 있던 나치 독일 군사고문지원단의 단장이다. 내전 이후 제2전월본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을 지원하였다.</ref>
| 지휘관내용3 =  
| 지휘관내용3 =  
| 병력말머리 = 병력
| 병력말머리 = 병력

2021년 9월 4일 (토) 17:47 판

월본 내전
月本 內戰
width: calc(100% + 5px)
날짜
1943년 7월 21일 ~ 1945년 8월 21일
장소
월본 월본
배경과 원인
구해민 내각의 항복에 대한 군부 과격파의 반발
결과
연합국의 승리
  • 시드니 조약 체결
  • 상징군주제 채택
  • 제2전월본제국 가담자 중 중요 인물 전범으로 처벌
교전국
연합국
추축국
[ 펼치기 · 접기 ]
월본
미국
영국
[ 펼치기 · 접기 ]
제2전월본제국
나치 독일
지휘관
연합국
추축국
[ 펼치기 · 접기 ]
구해민
박수태
부용
프랭클린 루스벨트
윈스턴 처칠
[ 펼치기 · 접기 ]
소류 천황 (←)[1]
조의치
안희
고노후
쿠르츠 레벤슈타인[2]
병력
연합국
추축국
[ 펼치기 · 접기 ]
400,000명
250,000명
20,000명
총합 670,000명
[ 펼치기 · 접기 ]
700,000명
4,500명[3]
총합 704,500명
피해 규모
연합국
추축국
[ 펼치기 · 접기 ]
사망 약 250,000명, 부상 약 125,000명
[ 펼치기 · 접기 ]
사망 약 285,000명, 부상 약 200,000명
각주
  1. 소류 국황은 군부내각을 해임하고 구해민 총리를 임명, 항복케 하였으나 이에 일부 군부 세력이 반발하여 소류 국황을 북부의 별궁에 감금하고 제2전월본제국을 참칭하였다. 이후 소류 국황은 만월을 찾아서 작전으로 구출된다.
  2. 당시 월본에 체류하고 있던 나치 독일 군사고문지원단의 단장이다. 내전 이후 제2전월본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을 지원하였다.
  3. 월본에 체류하고 있던 나치 독일 군사고문지원단과 대사관 및 영사관 호위병력, 기타 주둔병력을 규합해 제2전월본제국을 지원하였다.


월본 내전(月本 內戰)은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월본에서 발생한 월본국과 제2전월본제국간의 전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