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랑대역 Eunrangdae Station | 銀狼臺驛 | |||
---|---|---|---|
북한월 방면 한 북 ← 4.4km |
한철선 무궁화호 |
철천 방면 태가원 5.4km → | |
주소 | |||
한월특별시 나원구 은랑로 606 (광릉동 29-2)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3급 (한북역 관리/현월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기관 | |||
한철선 | 현월철도공사 | ||
개업일 | |||
한철선 | 2023년 3월 22일 | ||
무궁화호 | 2024년 3월 17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3선 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한북 방면 신광덕 ← 2.3km |
한철선 은랑대 |
철천 방면 태가원 5.4km → |
개요
한철선의 철도역. 한월특별시 나원구 은랑구 606 (광릉동) 소재. 개통 당시의 이름은 화도역이었으며, 역명은 바로 앞의 육군사관학교의 별칭인 '은랑대'에서 따왔다.
역 정보
하루 일곱 번의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해월도 내의 지역 부대와 육군사관학교 등으로 병력을 수송하는 병력 수송 거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병력 수송 거점 역할 뿐만 아니라 바로 앞에 육군사관학교가 있는 등 군사적인 의미가 상당한 역이다. 다만 군사시설은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시설이기에 허가없는 사진, 동영상 촬영은 금지되며, 때문에 은랑대역 구내에서 사진을 찍을때는 군사시설 비슷한 무언가라도 사진에 남지 않도록 조심하는게 좋다. 안 그러면 코렁탕을 먹게 될테니 말이다.
이렇듯 군사적인 중요도 때문에 극 소수의 열차만 정차하는데도 불구하고 보통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승강장
신광덕 ↑ | |||
ㅣ | 1 | 2 | ㅣ |
↓ 태가원 |
1 | 한철선 | 무궁화호 | 한북·북한월 방면 | |||
2 | 경촌·철천 방면 |
일평균 이용객
연도 | 비둘기호 | 통일호 | 무궁화호 | 총합 | 비고 |
---|---|---|---|---|---|
2023년 | 15명 | 7명 | 22명 |
연계 교통
둘러보기
한철선의 철도역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