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2020년 4월 15일 21대 총선 |
→ | 2024년 4월 10일 22대 총선 |
→ | 2028년 4월 12일 23대 총선 | |||||||||||||||||||||||||||||||||||||||||||||||||||||||
---|---|---|---|---|---|---|---|---|---|---|---|---|---|---|---|---|---|---|---|---|---|---|---|---|---|---|---|---|---|---|---|---|---|---|---|---|---|---|---|---|---|---|---|---|---|---|---|---|---|---|---|---|---|---|---|---|---|---|---|
|
해설
세계관 주요 사건 | ||||
2020 | → | 2022-2024 | → | 2028 |
안철수 정권 심판론으로 국민의당이 약진하다 (21대 총선) |
기존의 3당체제에서 개혁신당이 국민의당을 대체하다 (8회 지선 · 22대 총선) |
국민의힘이 분당되고 개혁신당과 미래대연합이 새로운 보수 여당이 되다 (20대 대선 · 23대 총선) | ||
---|---|---|---|---|
더불어민주당이 보수 분열 사이에서 여당이 되다 (19대 대선 · 22대 총선) |
안철수 당시 직전 대통령과 이재명 당시 대통령의 행보에 대한 반발심으로 보수 집결이 일어나 여권(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은 총 191석, 야권(국민의힘, 개혁신당)은 총 204석을 얻으며 야권이 승리를 거두고 여소야대의 형태를 띄게 된다. 보수가 두 개의 정당으로 분열되어 많은 중도와 온건 보수 표를 개혁신당이 흡수하는 바람에 국민의힘은 많은 표를 받지는 못했으나, 이후 국민의힘이 분당되고 미래대연합과 개혁신당 간의 연대가 깊어지면서 22대 국회 후반에 가서는 야권이 개혁신당과 미래대연합 중심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