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영시

청안도
기초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청안도 청영시
일반구
[ 펼치기 · 접기 ]
금안주 청안도의 자치시
청영시
青景市
cheongyeong City
시청 소재지 팔달구 시청대로 241 (신한동)
광역자치단체 금안주 청안도
하위 행정구역 3구 83동
면적 280.0km²
인구 946,482명[1][2]
인구 밀도 3380.29명/km²[3]
시장 민주회의 이인재 (3선)
시의회 민주회의 24석[4]
국민복지당 10석[5]
발전당 4석[6]
무소속 2석[7]
도의회 민주회의 10석
발전당 1석
국민복지당 1석
국회의원 민주회의 김영진 (4선)
국민복지당 한기현 (초선)
민주회의 한수혁 (8선)
민주회의 이기인 (초선)
상징 시화 국화
시목 소나무
시조 까치
지역번호 061

개요

CHEONGYEONG IS FUTURE
청영이 미래다

금안주 청안도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시다. 청안도청 소재지, 금안주 전체의 제2의 도시로 북쪽으로 서평시, 동쪽으로 안형군, 남쪽으로 안천시원선시, 서쪽으로는 금성광역시와 접하고 있다.

청영은 규모상 자립적인 경제권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상권도 당연히 규모가 크다.

상징

파일:청영화성.png
청영시의 랜드마크, 청영읍성
청영시의 CI
"새로운 미래의 창, 행복의 땅"
청영의 상징, 청영읍성
청영윽 대표 문화유산인 청영읍성 '서북공심돈' 건축물을 모티브로 청영만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전달합니다.
새로운 미래의 창, 행복의 땅
서북공심돈에 결합된 사각형의 이미지는 새로운 청영의 미래를 여는 '창'이자, 새로운 미래를 통해 청영시만의 행복이 펼쳐지는 '땅'을 의미합니다.
청영시의 마스코트
청돌이
청영시의 대표 음식인 돌솥비빔밥을 캐릭터화 했다.
청돌이의 청은 청은 청영시의 청에서 따왔고, 청돌이의 돌은 돌솥에서 따왔다.

과거에는 구름인간 캐릭터인 '청영이'와 순대를 기반으로 한 '청순이'를 썼으나 2016년, 이인재 시정이 들어선 이후 돌솥비빔밥을 기반으로 한 '청돌이'라는 캐릭터를 마스코트로 쓰는 중이다.


청영시의 브랜드 슬로건
청영시의 시정 슬로건
2016년 민선 19기부터 사용중인 이인재 시정의 슬로건이다.

이인재 시정이 들어선 이후 "도전의 땅, 휴먼시티 청영"이라는 슬로건을 공식 슬로건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버스 뒤쪽에 붙어있는 지자체 로고를 "해피 청영"에서 "휴먼시티 청영"로고로 고치게 되었다.

외국어 표기

언어별 명칭
인별국어 청영
영어 Cheongyeong

위의 언어별 명칭은 순수 청영만 표기한 명칭이다.

역사

지리

지형과 기후

청영은 인별국의 서부지방에 위치해있고, 지형은 대체로 북부지역과 서부 지역을 빼면 평평한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북부의 금성•서평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복천산(622m)이 정기를 내뿜으며, 북부에는 안형•서평•안천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국립공원 은양산(1287m)이 있으며, 서부와 남부지역은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또한 중앙에는 팔달산(150m)과 삼각산(112m), 명천산(205m), 북천산(100m)이 있다.

눈은 금안주 지역, 그중에서도 서부 지역 답게 겨울철만 되면 주변 도시들과 같이 기본 20cm 이상 정도로 많이 오고 자주 온다. 2024년 11월 29일~12월 1일에 금안주에 엄청난 폭설이 쏟아졌을때 청영은 11월 29일~11월 30일 이틀간 신적설 총합 39.3cm가 기록되며, 관측 이래 가장 많은 눈이 내린 11월이 됐다.

인구

청영시 인구 추이
(1944년~현재)
1944년 청영부->청영시 승격
1944년 218,654명
1950년 235,845명
1955년 226,741명
1960년 261,548명
1965년 308,888명
1970년 347,540명
1975년 401,233명
1980년 453,662명
1984년 청안도 청영시 판교동->금성광역시 동구 편입
1985년 527,548명
1990년 601,540명
1995년 678,954명
1999년 7월 1일 은월구, 팔달구 설치
2000년 721,338명
2005년 806,887명
2010년 882,336명
2013년 10월 1일 은월구 일부 + 팔달구 일부 -> 한성구 분구
2015년 930,542명
2017년 1월 951,843명 (정점)
2020년 928,747명
2025년 1월 946,4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0만 명.
일반구별 인구 통계
한성구 371,546명
팔달구 302,887명
은월구 272,049명
2025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00,000명
2025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체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각 행정동별 색깔은 각각 한성구, 팔달구, 은월구 지역임.

1952년 금안주 대학살4.28 민주화운동이라는 아픈 역사를 겪고 난 후의 청영은 그야말로 쑥대밭이었다.

금안주 대학살4.28 민주화운동의 영향으로 당시 인구 23만여 명 중 전체 인구의 7.8%에 달하는 18,865 명이 죽거나 실종되어 청영시 전체는 큰 충격에 빠졌다.

민주화운동의 성공 직후 치뤄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청영시장으로 당선된 당시 장해성 시장은 청영을 충격의 늪에서 구하기 위해 새로운 청영의 발전 기틀로 중화학 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발전을 택했다.

1950년대 중반 22만여 명에 불과했던 청영시 인구는 이후 금안주 지방 정부의 든든한 지원과 교통 중심지로 주목을 받으면서 청영으로 많은 중화학 공업 관련 회사들이 몰려오게 되었고, 이 덕분에 10년 정도 밖에 안 지난 1965년에 30만 명을 돌파하며 금안주 제 2의 도시라는 명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1967년에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산업단지였던 온성디지털시티온성자동차 청영공장이 완공되면서 인구 증가 폭이 더욱 커지기 시작했다. 같이 실행됐던 주거단지 공사도 속속히 마무리되면서 1975년에는 40만 명을, 1983년에는 50만 명을 돌파, 이후에도 빠르게 성장하여 10년도 안 된 1990년에는 60만 명을 달성하게 된다.

그리고 1990년 말부터 2010년 초반까지는 은월구 일대 대규모 택지지구 개발과 한성구 일대의 여러 대규모 주거지구와 업무단지의 개발로 인구가 급속도로 불어나면서 100만 도시도 될 수 있다는 등 기대가 섞인 희망적인 얘기들도 돌고 있었다.

그러나 인구 90만 명 돌파 후 2010년 초반부터는 인근의 연남국제도시의 본격적인 개발을 비롯한 금성의 대규모 택지지구 개발과 인근 도시들이 주거단지 개발을 통해 성장하면서 인구 증가 폭이 작아지기 시작했다. 이후 2017년 95만 1천 명을 정점으로 찍은 후 인구 감소세가 시작되어 2018년 중반에는 95만 선이 붕괴되었고 2019년에는 94만 선이, 2020년에는 93만 선이 붕괴되며 이다로 청영의 인구 감소세가 가속화 되는 줄 알았으나 2021년에 감소하던 청영의 출산율이 9년만에 반등을 하고, 타지에서 오는 인구 유입 폭이 다시 늘게 되는 등의 일이 발생하면서 이를 계기로 22년에 93만 선을 회복하고 24년 초에는 94만 선을 회복하는 등 청영의 인구는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인구는 2025년 1월 기준 946,482명으로(외국인 제외) 청안도에서는 가장 인구가 많고 금안주에서는 금성에 이어서 2번째로 많다.

시청

도시구조

시 면적에 비해 주거환경은 좋은 편에 속한다. 수도권에 청영 보다도 작은 도시들이 100만 넘었는데 괜찮은 것을 보면 이상할 것도 없다.

팔달구

청영의 원도심이며, 청영의 교통, 행정, 교육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청영시 교통의 핵심인 청영역청영복합터미널이 위치해 있으며, 또한 청영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인 청영읍성도 팔달구에 위치해 있다. 청영의 대표 상권인 청영역 일대 번화가와 팔달문 상권, 천변로 상권도 팔달구에 위치해 있어 청영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한다.

청영의 대표적인 신도시중 하나인 광교신도시한탄지구도 팔달구에 조성되어 있어 주거지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교통은 인만고속도로가 팔달구 남부를 지나가고 인만선, 금성국제공항 공항철도와 같은 철도 교통망을 통해 인근의 금성, 원선, 서평, 안천과 연계되어 교통 편의성도 상당히 좋다.

청영의 주요 대학교들인 청안대학교, 경희대학교, 청영대학교가 팔달구에 위치해 있어 교육 인프라도 좋은 편이다.

한성구

은월구

청영-안천-원선 통합

2000년대 초반부터 지역 정치권에서 계속 나오고 있는 행정구역 통합론

도시 행정

교통

경제

온성의 도시

인별국 반도체의 심장으로 불리는 곳이자, 온성전자를 포함한 온성의 반도체 계열사들의 본사가 있는 온성디지털시티가 이 곳 청영에 있고, 온성자동차 청영 공장도 있는 등 온성의 주요 시설이 이 곳 청영에 있어서 청영은 온성의 도시라고 불리고 있다.

산업단지

상권

관광

특산물

음식

생활문화

교육

치안

의료기관

청안도의 도청 소재지이자 청안도를 대표하는 도시이고 금안주에서 유일하게 90만이 넘는 대도시인 만큼 의료 인프라는 상당히 훌륭한 편이다. 상급종합병원인 온성청영병원(1,100병상)이 원탑이고, 그 밑으로 청영대학교병원(850병상)이 있으며, 그 외 청영기독병원(499병상), 메트로병원(299병상), 청안도의료원 청영병원(250병상) 등이 있다.

문화시설

스포츠

방송

지역민

정치

청안도의 대표도시로서 청안도의 정치 성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청안도의 타 지역들처럼 진보세,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한 것은 물론, 민주당-복지당 합당 전까지 민주당계 정당의 수도 역할을 했다. 실제로 제1대 총선부터 제20대 총선까지 모두 민주당계 정당이 승리하거나 민주당계 정당 출신 무소속 후보들이 승리했다. 21대 총선에 들어서부터 보수정당으로 당을 옮긴 한기택이 당선되면서 이 기록이 무너졌다.

한편으로 안인현 전 대통령[8], 한남재 전 대통령[9], 한기택 대통령[10] 등 민주당계 정당을 대표하는 유명한 정치인들을 많이 배출한 곳이기도 한다.

청영시장

청영시의회

시민운동

4.28 민주화운동이 처음으로 일어난 곳이자, 4.28 민주화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킨 도시가 이 곳 청영시다.

군사

하위 행정구역

대중문화 속의 청영

영화

드라마

만화

소설

뮤직비디오

게임

TV방송

음악

청영시를 본관으로 한 성씨

  • 청영 정씨
  • 청영 한씨

자매결연 지역

국내

국외

청영시 출신 인물

청영시에 연고가 있는 인물

여담

각주

  1. 2025년 1월 기준
  2. 외국인 인구 포함시 1,000,666명
  3. 2025년 1월 기준
  4. 지역구 22석, 비례대표 2석
  5. 지역구 9석, 비례대표 1석
  6. 지역구 3석, 비례대표 1석
  7. 지역구 2석
  8. 제5•6대 청영시 갑 국회의원
  9. 제11•12•13•16대 청영시 을 국회의원, 민선13•14기 청영시장
  10. 제19•20대 청영시 을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