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 황립해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대한국 국군의 목록}} {{대한국 황립해군}} == 개요 == 대한국 해군(大韓國 皇立海軍)은 해상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국군의 조직이다. 주된...)
 
3번째 줄: 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대한국 해군(大韓國 皇立海軍)은 해상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국군의 조직이다. 주된 역할은 전쟁 억제, 해양통제, 해상교통로 보호, 군사력 투사, 국가 대외정책 지원 등이다. 대한국 황립해군은 1392년에 설립된 조선군의 [[조선수군]]을 모체로 하며, 1871년 11월 11일 [[신순성]] 제독을 통제사로 하는 [[기무해방통제영]]이 세워진 날을 실질적인 현 해군의 설립일로 기념한다.
'''대한국 황립해군(大韓國 皇立海軍)'''은 해상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국군의 조직이다. 주된 역할은 전쟁 억제, 해양통제, 해상교통로 보호, 군사력 투사, 국가 대외정책 지원 등이다. 대한국 황립해군은 1392년에 설립된 조선군의 [[조선수군]]을 모체로 하며, 1871년 11월 11일 [[신순성]] 제독을 통제사로 하는 [[기무해방통제영]]이 세워진 날을 실질적인 현 해군의 설립일로 기념한다.


해군은 총 3개의 [[통어영]]과 4개의 [[전투사령부]]와 [[기능사령부]], 그리고 [[해군무관학교]]로 구성되어있다. 병력은 총 12만명 가량으로, 전 군에서 유일하게 [[부사관]]이 [[병]]보다 많은 군종이다. 주요전력으로는 2척의 순양함과 2척의 항공모함, 그리고 총 25척에 달하는 구축함과 30척에 달하는 잠수함이 있다. 항공전력으로도 총 30대의 4세대 전투기를 보유 중이며, 이외의도 여러 지원함정을 소유하고 있다.
해군은 총 3개의 [[통어영]]과 4개의 [[전투사령부]]와 [[기능사령부]], 그리고 [[해군무관학교]]로 구성되어있다. 병력은 총 12만명 가량으로, 전 군에서 유일하게 [[부사관]]이 [[병]]보다 많은 군종이다. 주요전력으로는 2척의 순양함과 2척의 항공모함, 그리고 총 25척에 달하는 구축함과 30척에 달하는 잠수함이 있다. 항공전력으로도 총 30대의 4세대 전투기를 보유 중이며, 이외의도 여러 지원함정을 소유하고 있다.

2023년 10월 25일 (수) 13:07 판


대한국 국군
대한국 육군
대한국 국경경비대
대한국 황립해군
대한국 해병대
대한국 공군
대한국 헌병대 대한국 근위대 대한국 해안경비대
대한국 황립해군
KOREA IMPERIAL NAVY
국가 대한국 대한국
소속  대한국 국군
종류 해군
역할 대한국 내 해상작전 담당
규모 현역 124,200명
예비역 32,400명
명령 체계 해군통제부
본부 경상도 진해시 해군통제부
별명 충무신사(忠武紳士)
표어 勿令妄動 靜重如山
망령되이 움직이지 말며, 산처럼 무거이 침착하라
군가 해방행진곡
참전 한일전쟁
한청전쟁
제2차한일전쟁
한중전쟁
제2차 세계대전
김일성의 난
월남전쟁
기념일 11월 11일 (대한수군 창설일)
지휘관
해군통제사 이호성 제독
삼도해군통어사 신문철 제독
서북해군통어사 김건흥 제독
동안해군통어사 이정성 제독
주요 지휘관 신순성 해군원수, 손원일 해군원수

개요

대한국 황립해군(大韓國 皇立海軍)은 해상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국군의 조직이다. 주된 역할은 전쟁 억제, 해양통제, 해상교통로 보호, 군사력 투사, 국가 대외정책 지원 등이다. 대한국 황립해군은 1392년에 설립된 조선군의 조선수군을 모체로 하며, 1871년 11월 11일 신순성 제독을 통제사로 하는 기무해방통제영이 세워진 날을 실질적인 현 해군의 설립일로 기념한다.

해군은 총 3개의 통어영과 4개의 전투사령부기능사령부, 그리고 해군무관학교로 구성되어있다. 병력은 총 12만명 가량으로, 전 군에서 유일하게 부사관보다 많은 군종이다. 주요전력으로는 2척의 순양함과 2척의 항공모함, 그리고 총 25척에 달하는 구축함과 30척에 달하는 잠수함이 있다. 항공전력으로도 총 30대의 4세대 전투기를 보유 중이며, 이외의도 여러 지원함정을 소유하고 있다.

역사

조선은 성립 이후부터 왜구의 약탈에 시달렸다. 이 때문에 태종황제세종대제의 치세에 조선군은 수군의 조직적인 정비와 확장을 이루었으며, 세종치세에 5만명을 이룬 수군은 이후로도 4만명을 유지하였다.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을 통해 풍부한 전투경험을 쌓은 수군은, 통제영을 설치하고 초대 삼도수군통제사로 이순신제독이 보해지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근대적인 해군의 출발은 1871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