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록국학: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토착 사상의 집대성 ==
== 토착 사상의 집대성 ==
{{본문|마타노 코시오나루|일월지집|하라나 다케마마루}}
{{본문|마타노 코시오나루|일월지집|하라나 다케마마루|고훈지력}}
국학을 학문으로 성립하는 과도기에 있어서 그 중심을 찾으라고 하면 단연 [[마타노 코시오나루]]라고 할 것이다. [[난소루]](ナンソル)에서 기나사비(キナサビ)<ref>道士, 당시에는 도교 수행자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종교계에서 힘을 쓰는 이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의미 확대가 일어났다.</ref>를 지낸 그는 [[영록인]]의 정신 사회에 대한 수행을 위한 과정에서 고어고전(古語古典)을 익히고 연구할 것을 장려했다. 이후 [[엔쿠소루]](王城)로 상경한 그는 무속 신앙에 대한 연구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특히 하늘을 숭배하고 사람을 더불어 사랑하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자세에서 모든 토착 사상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여 이러한 사상이 민족의식의 원형이자 윤리 의식에 기반으로서 온 사회에 작용되었다고 했다.
국학을 학문으로 성립하는 과도기에 있어서 그 중심을 찾으라고 하면 단연 [[마타노 코시오나루]]라고 할 것이다. [[난소루]](ナンソル)에서 기나사비(キナサビ)<ref>道士, 당시에는 도교 수행자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종교계에서 힘을 쓰는 이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의미 확대가 일어났다.</ref>를 지낸 그는 [[영록인]]의 정신 사회에 대한 수행을 위한 과정에서 고어고전(古語古典)을 익히고 연구할 것을 장려했다. 이후 [[엔쿠소루]](王城)로 상경한 그는 무속 신앙에 대한 연구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특히 하늘을 숭배하고 사람을 더불어 사랑하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자세에서 모든 토착 사상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여 이러한 사상이 민족의식의 원형이자 윤리 의식에 기반으로서 온 사회에 작용되었다고 했다.



2019년 4월 16일 (화) 21:47 판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영록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특정인 혹은 특정 집단이 작성한 공식 설정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다만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영록국학(영록어:英鹿國學)은 영록의 고전과 고중세사를 연구하고 도교불교유교의 유입 이전, 영록인의 정신을 밝히고 영록만의 독자적인 사상적 측면을 연구하고 해석하고자 내세운 학문이다. 국학의 기원은 기존의 토착 사상을 체계화하고 이를 책으로 집대성한 마타노 코시오나루(又野輿悟國, 1377-1422)에서 시작되었다고 학계에서 입을 모으고 있다.

토착 사상의 집대성

국학을 학문으로 성립하는 과도기에 있어서 그 중심을 찾으라고 하면 단연 마타노 코시오나루라고 할 것이다. 난소루(ナンソル)에서 기나사비(キナサビ)[1]를 지낸 그는 영록인의 정신 사회에 대한 수행을 위한 과정에서 고어고전(古語古典)을 익히고 연구할 것을 장려했다. 이후 엔쿠소루(王城)로 상경한 그는 무속 신앙에 대한 연구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특히 하늘을 숭배하고 사람을 더불어 사랑하는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자세에서 모든 토착 사상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여 이러한 사상이 민족의식의 원형이자 윤리 의식에 기반으로서 온 사회에 작용되었다고 했다.

특히 고전을 탐구할수록 인본(人本)의 기치가 크게 작용됨을 인식하여 기존의 제천 의식과 설화들을 총망라하여 연구하였고, 이를 《일월지집》(日月之集)이라는 책으로 엮어 고대 천상 사회의 실현을 통한 윤리 가치관의 회복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하늘의 자손이 지상으로 내려와 계율과 덕목으로 인류를 통치하는 '천손강림계도인치'(天孫降臨戒道人治)를 통해 당시 군권(君權)을 사상적 가치와 융화하여 이를 신적 존재로서 천하관의 확장을 꾀하기도 했다.

마타노 코시오나루의 뒤를 이어 토착 사상론을 내세운 하라나 다케마마루(原竹ママル, 1404-1459)는 현세 중심적인 무속 신앙 및 토착 사상을 비판하였다. 그는 고어고전에서 현세구원적 세계관이 형성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는 한편, 이를 일일히 각주를 다는 작업을 통해 이러한 세계관의 형성 및 확대에서 《고훈지력》(古訓之力)을 집필함으로서 이를 내세 정신적 기반으로서의 '정'(情)과 '인'(仁)의 대립임을 강조했다. 그는 '정(情)과 인(仁)의 대립과 인본(人本)과 천본(天本)의 대립을 극심히 고민했을 토속 문헌에서 참된 정신(眞心)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허나 이러한 토착 사상의 집대성은 중세 사회를 거치면서 점차 사멸했다. 지나치게 토속 문학에 대해 우호적인 한편, 불필요하게 내용과 해석을 부풀리는 등 많은 지식인들에게 토착 사상의 연구를 꺼리게 하는 경향을 낳기도 했다.

각주

  1. 道士, 당시에는 도교 수행자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종교계에서 힘을 쓰는 이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의미 확대가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