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신질서의 황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8번째 줄: 28번째 줄:
| 창립일        = [[1871년]] [[1월 18일]]
| 창립일        = [[1871년]] [[1월 18일]]


| 국적          = {{일본}}
| 국적          = {{국기나라 그림|신공 일본 국기.png}} [[일본 (신질서의 황혼)|일본]]


| 편제          = {{국기나라 그림|일본 육군기12.png}} [[일본 육군|육군]] <br /> {{국기나라 그림|일본 해군기.png}} [[일본 해군|해군]] <br /> {{국기나라 그림|일본 공군기.png}} [[일본 공군|공군]]
| 편제          = {{국기나라 그림|일본 육군기12.png}} [[일본 육군|육군]] <br /> {{국기나라 그림|일본 해군기.png}} [[일본 해군|해군]] <br /> {{국기나라 그림|일본 공군기.png}} [[일본 공군|공군]]
44번째 줄: 44번째 줄:
| 본부          = {{국기나라 그림|신공 일본 국기.png}} [[도쿄도 (신질서의 황혼)|일본 도쿄]]
| 본부          = {{국기나라 그림|신공 일본 국기.png}} [[도쿄도 (신질서의 황혼)|일본 도쿄]]


| 명령체계      = [[천황]] <br /> [[전쟁성]] <br /> [[대본영]]
| 명령체계      = [[천황]] <br /> [[전쟁성]] <br /> [[대본영]]<br>•[[육군성]]<br>•[[해군성]]<br>•[[공군성]]


| 통수권자명칭  = 천황
| 통수권자명칭  = 천황
60번째 줄: 60번째 줄:
| 군비아이디    = 2
| 군비아이디    = 2


| 예산          = 연간 462억 달러<small>2023년</small>
| 예산          = 연간 358억 달러<small>2023년</small>


| GDP_대비      = 4.4%
| GDP_대비      = 3.4%


| 정부재정_대비  = 3.6%
| 정부재정_대비  = 3.6%
93번째 줄: 93번째 줄: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대일본제국군(大日本帝国軍)은 [[일본 (신질서의 황혼)|일본]]의 군대이다. 현재 세계 군사력 순위 2위, 해군력 1위, 육군력 3위, 공군력 2위 등을 기록하고 있는 세계적인 강군이다. 특히 일본이 자랑하는 해군은 이론상 미 해군도 넘고 대서양 함대까지 끌고 와도 제압할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냉전 시대엔 7-80년대에 세계 1위의 군대가 되기도 했었다.
대일본제국군(大日本帝国軍)은 [[일본 (신질서의 황혼)|일본]]의 군대이다. 현재 세계 군사력 순위 2위, 해군력 2위, 육군력 3위, 공군력 2위 등을 기록하고 있는 세계적인 강군이다. 특히 일본이 자랑하는 해군은 이론상 미 해군도 넘고 대서양 함대까지 끌고 와도 제압할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냉전 시대엔 7-80년대에 세계 1위의 군대가 되기도 했었다.


== 상세 ==
== 상세 ==
99번째 줄: 99번째 줄:


그러나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중앙 군사력 확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1869년에 막부 직할령을 인수해 서남웅번의 1만 명을 중앙군으로 편성한 것이 일본군의 시초였다.
그러나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중앙 군사력 확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1869년에 막부 직할령을 인수해 서남웅번의 1만 명을 중앙군으로 편성한 것이 일본군의 시초였다.
1873년엔 징병령을 반포하고 평민을 군에 징집하기 시작하여 국민개병을 이루었다. 일본군은 동양 최초로 국민개병 및 근대적 군 운용을 시작한다. 1894년 [[일청전쟁]]을 계기로 해군력은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해졌고, 1905년 [[일러전쟁]]에 이르면 일본군은 명명백백히 열강의 군대가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독일령 칭다오 및 태평양 군도들을 제압하였다. 또한 이때 일본은 산업역량이 대거 발전에 성공하면서 일본군의 질적, 양적 위력 역시도 상승하여 1920년대는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겹쳐서 일본군에 있어 팽창해오던 군세가 안정되던 시기였다.
1927년, 병역법을 제정하여 법률에 근거해 남성을 징집하기 시작한다.
== 편제 ==
== 편제 ==
=== 대일본제국 육군 ===
=== 대일본제국 육군 ===
{{인용문3|'''지켜야 하는 사람이 있다!'''<br>'''守るべき人がいる!'''<br/><small>육군 복무신조</small>}}
병력 412,477명. 일본 육군은 질적으로 아시아 최강의 육군으로 분류되는 군대이다. 병력 수로도 모병제 국가 치고는 결코 적지 않은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사단과 그 사단들의 1차 상위 부대인 군만이 편제되며, 전시에만 사단의 상위에 사단들을 묶어 관할하는 상위 부대가 편성된다. 전시엔 군을 지휘하에 두는 방면군과 총군을 편성하게 된다.
평시인 현재 기준 31개 사단을 편제하고 있다. 이에 따른 사단 1개당 평균 병력수는 13,305명이다. 사단 아래에는 연대가 편성된다.
군은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미나미조센, 기타조센, 다이완 등 8개 지역을 군관구로 묶어 군을 편제하였다. 다이렌청은 기타조센과 묶였고, 남양청은 다이완과 묶였다.
이 본토 8군관구 체제는 1958년 정비되었고,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다만 징병제 시절 병력이 수백만에 이르던 때 기준으로 짜여진 편제라 현재는 사단이 가뭄인 경향이 심하다. 한편 80년대까지는 광동에 제9군관구, 말레이에 제10군관구, 칭다오와 위해위를 묶어 제11군관구, 뉴기니에 제12군관구 등 외지 주차군에 대해서도 군구를 설치했었다.
이중 단연 수도권이 위치한 제3군관구와 게이조, 게이키 권역이 있는 제6군관구의 비중이 크다.
즉 제1군관구 소속 사단 = 제1군이 되는 방식이다.
2011년 [[제3차 상하이 사변]] 때 상하이파견군이 편성되었다.
{|class=wikitable
|-
!군관구
!관할 권역
!사령부
!편성 사단
|-
![[제1군관구]]<br>(第1軍管区)
|홋카이도, 가라후토도
|[[삿포로시|삿포로]]
|2사단
|-
![[제2군관구]] (第2軍管区)
|도호쿠
|[[센다이시|센다이]]
|2사단
|-
![[제3군관구]] (第3軍管区)
|수도권
|[[도쿄도 (신질서의 황혼)|도쿄]]
|5사단
|-
![[제4군관구]] (第4軍管区)
|주부-간사이-시코쿠
|[[오사카부 (신질서의 황혼)|오사카]]
|4사단
|-
![[제5군관구]] (第5軍管区)
|규슈
|[[후쿠오카시|후쿠오카]]
|3사단
|-
![[제6군관구]] (第6軍管区)
|미나미조센
|[[게이조부 (신질서의 황혼)|게이조]]
|6사단
|-
![[제7군관구]] (第7軍管区)
|기타조센<ref>[[다이렌청]] 포함. 사단 중 하나는 사단급인 관동군이다.</ref>
|[[헤이조현|헤이조]]
|4사단
|-
![[제8군관구]]<br>(第8軍管区)
|다이완<ref>[[남양청]] 포함. 사단 중 하나는 사단급인 남양군이다.</ref>
|[[다이호쿠부|다이호쿠]]
|4사단
|-
|}
=== 대일본제국 해군 ===
=== 대일본제국 해군 ===
{{인용문3|'''이 바다와 미래에 심장을 바치리.'''<br>'''この海と未来に心臓を捧げよ。'''<br/><small>해군 복무신조</small>}}
병력 121,453명. 일본 해군은 한때 세계에서 가장 강력했고, 지금도 세계 2위에 달하는 전력을 가진다고 평가받는 강력한 대양해군이다.
육군에 사단에 해당하는 것은 함대이다. 각 함대는 해역별로 담담 편성되며, 일본의 관리하는 해역은 황해에서부터 태평양 중부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만큼 일본 해군의 활동영역 역시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다.
사단의 상위에 전구와 군이 편성된 육군과 달리 해군은 평시엔 함대만 편성되어있다.
상륙 시 해군의 지상전은 [[해군 육전대]]가 담당한다.
다음은 일본의 평시 함대 편제이다. 참고로 모든 함대의 최고위에는 연합함대가 위치하며, 전시에든 언제든 연합함대로 편제될수 있다.
{|class=wikitable
|-
!함대
!관할 해역
!사령부
|-
![[일본해함대]]<br>(日本海艦隊)
|일본해
|[[니가타시|니가타]]
|-
![[황해함대]]<br>(黄海艦隊)
|황해
|[[니가와시|니가와]]
|-
![[조선함대]]<br>(朝鮮艦隊)
|조선반도 남부 해역
|[[신카이시|신카이]]
|-
![[일본 북방함대|북방함대]]<br>(北方艦隊)
|치시마 열도 ~ 얄류샨 열도 북방해역
|[[구로다시|구로다]]
|-
![[남지나함대]]<br>(南支那艦隊)
|남중국해
|[[다카오현|다카오]]
|-
![[동해함대]]<br>(東海艦隊)
|열도-대만 연안 ~ 오가사와라 지점의 태평양
|[[도쿄도 (신질서의 황혼)|도쿄]]
|-
![[일본 태평양함대|태평양함대]]<br>(太平洋艦隊)
|남양군도를 포함한 기타 태평양 지역
|[[사이판시|사이판]]
|-
|}
=== 대일본제국 공군 ===
=== 대일본제국 공군 ===
{{인용문3|'''푸른 하늘을 내일로 연결하는 일본 공군'''<br>'''蒼き空を明日へ つなぐ 日本空軍'''<br/><small>공군 복무신조</small>}}
병력 117,067명. 일본 공군은 세계 2위의 공군력을 보유한 공군이다. 1967년 육해군 합의에 따라 육군 항공대와 해군 항공대를 분리시켜 창설하였다.
육해군에 비해 힘이 없어 보이나, 핵무기 관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외로 일본군 내에서 육해군 갈등의 충실한 억제기의 역할을 한다.
== 모집 방식 ==
== 모집 방식 ==
{{인용문3|군은 일본국민인 18세에서 30세까지의 남성 자원자들로 구성된다. 다만 한번 입대한 자는 군종을 막론하고 2년을 복무하여야 한다.<br>軍は日本国民である18歳から30歳の
{{인용문3|군은 일본국민인 18세에서 30세까지의 남성 자원자들로 구성된다. 다만 한번 입대한 자는 군종을 막론하고 2년을 복무하여야 한다.<br>軍は日本国民である18歳から30歳の
男性志願者で構成される。 ただし、一度入隊した者は、軍種を問わず2年服務しなければならない。<br/><small>일본 병역법 제1조</small>}}
男性志願者で構成される。 ただし、一度入隊した者は、軍種を問わず2年服務しなければならない。<br/><small>일본 병역법 제1조</small>}}
 
== 계급 ==


[[분류:신질서의 황혼]]
[[분류:신질서의 황혼]]

2024년 5월 1일 (수) 07:20 기준 최신판

Destiny634, 2024 - | CC-0
대일본제국군
大日本帝国軍 (だいにっぽんていこくぐん)
Japanese Imperial Forces
일본 육군 일본 해군 일본 공군
 
대일본제국군
大日本帝国軍
창립일 1871년 1월 18일
국적 일본
편제 육군
해군
공군
충원방식 모병제
상비군 645,000명
예비군 183,000명
지휘 체계
군비
예산 연간 358억 달러2023년
방위산업
참전

개요

대일본제국군(大日本帝国軍)은 일본의 군대이다. 현재 세계 군사력 순위 2위, 해군력 2위, 육군력 3위, 공군력 2위 등을 기록하고 있는 세계적인 강군이다. 특히 일본이 자랑하는 해군은 이론상 미 해군도 넘고 대서양 함대까지 끌고 와도 제압할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냉전 시대엔 7-80년대에 세계 1위의 군대가 되기도 했었다.

상세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일본은 편제된 상비군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각 다이묘들이 영지별로 가진 병력만이 있을 뿐이었으며 더군다나 평민을 상비군으로 두는 일은 없었고 전시에만 동원하였다.

그러나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중앙 군사력 확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1869년에 막부 직할령을 인수해 서남웅번의 1만 명을 중앙군으로 편성한 것이 일본군의 시초였다.

1873년엔 징병령을 반포하고 평민을 군에 징집하기 시작하여 국민개병을 이루었다. 일본군은 동양 최초로 국민개병 및 근대적 군 운용을 시작한다. 1894년 일청전쟁을 계기로 해군력은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해졌고, 1905년 일러전쟁에 이르면 일본군은 명명백백히 열강의 군대가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독일령 칭다오 및 태평양 군도들을 제압하였다. 또한 이때 일본은 산업역량이 대거 발전에 성공하면서 일본군의 질적, 양적 위력 역시도 상승하여 1920년대는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겹쳐서 일본군에 있어 팽창해오던 군세가 안정되던 시기였다.

1927년, 병역법을 제정하여 법률에 근거해 남성을 징집하기 시작한다.

편제

대일본제국 육군

지켜야 하는 사람이 있다!
守るべき人がいる!
육군 복무신조

병력 412,477명. 일본 육군은 질적으로 아시아 최강의 육군으로 분류되는 군대이다. 병력 수로도 모병제 국가 치고는 결코 적지 않은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사단과 그 사단들의 1차 상위 부대인 군만이 편제되며, 전시에만 사단의 상위에 사단들을 묶어 관할하는 상위 부대가 편성된다. 전시엔 군을 지휘하에 두는 방면군과 총군을 편성하게 된다.

평시인 현재 기준 31개 사단을 편제하고 있다. 이에 따른 사단 1개당 평균 병력수는 13,305명이다. 사단 아래에는 연대가 편성된다.

군은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미나미조센, 기타조센, 다이완 등 8개 지역을 군관구로 묶어 군을 편제하였다. 다이렌청은 기타조센과 묶였고, 남양청은 다이완과 묶였다.

이 본토 8군관구 체제는 1958년 정비되었고,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다만 징병제 시절 병력이 수백만에 이르던 때 기준으로 짜여진 편제라 현재는 사단이 가뭄인 경향이 심하다. 한편 80년대까지는 광동에 제9군관구, 말레이에 제10군관구, 칭다오와 위해위를 묶어 제11군관구, 뉴기니에 제12군관구 등 외지 주차군에 대해서도 군구를 설치했었다.

이중 단연 수도권이 위치한 제3군관구와 게이조, 게이키 권역이 있는 제6군관구의 비중이 크다.

즉 제1군관구 소속 사단 = 제1군이 되는 방식이다.

2011년 제3차 상하이 사변 때 상하이파견군이 편성되었다.

군관구 관할 권역 사령부 편성 사단
제1군관구
(第1軍管区)
홋카이도, 가라후토도 삿포로 2사단
제2군관구 (第2軍管区) 도호쿠 센다이 2사단
제3군관구 (第3軍管区) 수도권 도쿄 5사단
제4군관구 (第4軍管区) 주부-간사이-시코쿠 오사카 4사단
제5군관구 (第5軍管区) 규슈 후쿠오카 3사단
제6군관구 (第6軍管区) 미나미조센 게이조 6사단
제7군관구 (第7軍管区) 기타조센[1] 헤이조 4사단
제8군관구
(第8軍管区)
다이완[2] 다이호쿠 4사단

대일본제국 해군

이 바다와 미래에 심장을 바치리.
この海と未来に心臓を捧げよ。
해군 복무신조

병력 121,453명. 일본 해군은 한때 세계에서 가장 강력했고, 지금도 세계 2위에 달하는 전력을 가진다고 평가받는 강력한 대양해군이다.

육군에 사단에 해당하는 것은 함대이다. 각 함대는 해역별로 담담 편성되며, 일본의 관리하는 해역은 황해에서부터 태평양 중부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만큼 일본 해군의 활동영역 역시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다.

사단의 상위에 전구와 군이 편성된 육군과 달리 해군은 평시엔 함대만 편성되어있다.

상륙 시 해군의 지상전은 해군 육전대가 담당한다.

다음은 일본의 평시 함대 편제이다. 참고로 모든 함대의 최고위에는 연합함대가 위치하며, 전시에든 언제든 연합함대로 편제될수 있다.

함대 관할 해역 사령부
일본해함대
(日本海艦隊)
일본해 니가타
황해함대
(黄海艦隊)
황해 니가와
조선함대
(朝鮮艦隊)
조선반도 남부 해역 신카이
북방함대
(北方艦隊)
치시마 열도 ~ 얄류샨 열도 북방해역 구로다
남지나함대
(南支那艦隊)
남중국해 다카오
동해함대
(東海艦隊)
열도-대만 연안 ~ 오가사와라 지점의 태평양 도쿄
태평양함대
(太平洋艦隊)
남양군도를 포함한 기타 태평양 지역 사이판

대일본제국 공군

푸른 하늘을 내일로 연결하는 일본 공군
蒼き空を明日へ つなぐ 日本空軍
공군 복무신조

병력 117,067명. 일본 공군은 세계 2위의 공군력을 보유한 공군이다. 1967년 육해군 합의에 따라 육군 항공대와 해군 항공대를 분리시켜 창설하였다.

육해군에 비해 힘이 없어 보이나, 핵무기 관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외로 일본군 내에서 육해군 갈등의 충실한 억제기의 역할을 한다.

모집 방식

군은 일본국민인 18세에서 30세까지의 남성 자원자들로 구성된다. 다만 한번 입대한 자는 군종을 막론하고 2년을 복무하여야 한다.
軍は日本国民である18歳から30歳の 男性志願者で構成される。 ただし、一度入隊した者は、軍種を問わず2年服務しなければならない。
일본 병역법 제1조

계급

  1. 다이렌청 포함. 사단 중 하나는 사단급인 관동군이다.
  2. 남양청 포함. 사단 중 하나는 사단급인 남양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