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마/연습장9

광명천지 세계관의 내용

한국사

1567년 이연이 조선의 국왕으로 즉위한 뒤 수렴청정을 거쳐 친정을 시작하다. 이황, 조식, 이준경으로 구성된 친정내각이 수립되다.
1568년 이황이 성학십도를 편찬하다. 집현전을 신설하다. 지방의 사림세력이 조정에 대거 출사하다.
1570년 공신전제한법이 제정되어 공신전을 제한하다. 이로인해 기존의 공신세력과 지주세력들이 타격을 입다. 이연 이앙법을 권장하다. 이연 종두법을 개발하다. 마마(媽媽)로 죽는 사람들이 급감하다.
1571년 율곡 이이를 주축으로 하는 관료세력들이 왕당파 이른바 목릉파를 형성하다. 이연이 이들을 기용하다.
1572년 이황, 조식, 이준경 삼정승이 사망하면서 친정내각이 붕괴하다. 이이를 중심으로 하는 목릉파가 조정에 출사하여 집권하다. 사림 세력들이 숙청되다.
1573년 이연 사회개혁을 추진하다. 서얼금고법 폐지, 과부재가금지법 폐지, 부민고소금지법 폐지, 일천즉천 폐지, 노비안건법 제정, 반역향 폐지같은 여러 사회개혁정책을 실행하다. 이로 인하여 양인이 증가하다.
1574년 은연분리법을 이용하여 은광, 금광을 대규모로 개발하다. 광양, 대유동, 운산에서 대규모 금광이 발견되며 조선의 경제가 성장하다. 신작로가 조선 곳곳에 건설되다.
1575년 사림세력이 목릉파에 대한 입장으로 온건파, 강경파로 분열하다. 이연이 온건파 사림을 포섭하면서 목릉파 세력이 크게 성장하다.
1580년 마테오 리치가 조선에서의 선교를 시작하다. 이연 그와 만나 대화하면서 조선에 종교의 자유를 선포하다.(기묘칙령) 이를 기점으로 조선에 천주교가 전파되다. 마테오 리치가 조선에 조총을 전수해주었고 이연이 이를 대량생산하게 시키다. 또한 염초밭이 건설되며 염초가 대량생산되다.
1583년 니탕개의 난이 발발하다. 이는 4월까지 조선군을 피로하게 만들었지만 조선군이 승리한다. 니탕개의 난 당시 조선군의 실태를 목격한 이연이 대대적인 군제개혁을 실시하다. 군편제를 친위대, 시위대, 진위대로 나누고 부대를 연대, 대대, 중대, 소대로 나누다. 군복을 개량하다. 관료들에게 봉급을 주다. 육군사관학교를 설립하다.
1584년 이연이 니탕개의 잔당들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갑신북벌을 일으킨다. 야인여진, 해서여진 세력을 소탕한다. 이때 훗날 임진왜란에서 엄청난 역할을 하게 될 이철(누르하치)이 조선에 귀순한다.
1585년 게릴라를 벌이던 해서여진 세력이 항복하면서 갑신북벌이 종료된다. 갑신북벌로 조선이 만주를 합병할 수 있게되다. 조선인들이 만주의 개척과 개간을 시작하면서 만주가 식민화되다.
1586년 여진인들로 구성된 상비군 팔기군이 조직되다.
1587년 이앙법으로 인한 농업생산력의 증가와 상업의 발달, 종두법의 개발로 조선의 인구가 1100만을 달성하다. 신작로가 만주지역까지 확대되다.
1588년 일본으로 통신사를 파견하다. 황윤길이 조일전쟁론을 주장하고 이를 이연이 받아들여 이순신을 수군참모부장으로 김시민, 이철을 삼남지방으로 파견하면서 전쟁을 대비한다.
1589년 천주교의 확산에 영향을 받은 정여립이 대동계를 조직하다. 이것은 훗날 대동교의 시초가 된다.
1592년 일본이 조선을 대대적으로 침공하다. 부산진성, 동래성, 다대포진성, 김해성이 함락되다. 이에 이연은 친정하여 팔기군, 친위대 전력을 이끌고 남하하였고 조선육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인한 출혈,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전력의 공격으로 인하여 경상도 남부에 고립된 일본군이 고립되다.
1593년 이철장군이 이끄는 팔기군이 동래성전투에서 크게 활약한다. 일본군이 조선에서 철수한다.
1594년 일본내전이 발발하자 조선이 전쟁특수를 누리다. 조선이 전란없는 평화로운 시기 목릉성세(穆陵盛世)를 누리다. 조선수군이 포르투갈로 부터 갤리온 함선 3척을 구입하다. 조선에서 갤리온 양산에 돌입하다.
1600년 이연이 <군주론>을 집필하다. 평양부에 풍경궁이 세워지면서 평양이 조선 제 2의 수도라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
1608년 이연이 사망하다. 묘호로 고조(高祖)가 정해지다. 세자인 광해군 이혼이 국왕에 즉위한다. 이원익이 이끄는 목릉파 관료들이 조정을 장악하다.
1609년 명나라가 조선에 원나라 정벌군을 요청하다. 이철장군이 이끄는 팔기군이 북원을 복속시키다. 명나라가 전쟁의 공로로 이혼을 심양왕에 봉하면서 요동지역이 조선에 영향권에 복속되다. 또한 조선이 명나라에게 대만과 동남아시아 전체의 지배권을 할양받다. 만주족평등운동으로 여진족이 만주족으로 요동이 만주로 개칭되다.
1610년 이철과 이대선 등, 여진족 출신 장군들로 구성된 북방파가 이원익을 중심으로 하는 관료파와 대립하다. 이혼 친위대 세력을 증강하다.
1612년 북해도를 병합하다.
1614년 한성대성당이 건립되다. 이순신의 지휘를 받는 통제영에서 서양식 갤리온 함선들로 구성된 대함대 충무함대를 신설하다. 이로써 조선이 동아시아 최강의 해군전력을 갖게 되다.
1615년 이면이 이끄는 충무함대가 대만을 공략하다. 대만총독부가 설립되다. 동래부에서 활동하던 내상들을 주축으로 대남척식회사가 만들어지다. 대마도를 재침공하여 대마주로 복속시키다. 류큐왕국을 복속시키다.
1617년 이면이 이끄는 충무함대와 대남척식회사 용병들이 필리핀을 침공하다. 스페인과 조선 사이의 전쟁인 조서전쟁이 발발하다.
1618년 대만해협에서 조선수군과 스페인해군이 격돌하다. 충무함대가 스페인함대를 괴멸시키다.
1620년 조선수군이 인도네시아 일대의 이슬람 술탄국들을 복속시키다. 동남아시아에서 네덜란드, 스페인이 차지하고 있던 여러 식민지 관청들을 멸망시키고 조선의 번국으로 삼다.
1624년 베트남에 개입하다. 친중국 찐씨 정권과 친조선 응우옌 정권이 다투다. 응우옌 정권이 승리하여 대월국이 통일되다. 대월국이 조선을 천자국으로 섬기다.
1626년 이철장군이 사망하다. 팔기군이 문민통제되다. 북방파가 다시 목릉파에 복속되다. 목릉파에서 관료파가 축출되고 남정파가 집권하다.
1627년 이혼이 칭제건원하다. 연호를 화정으로 정하다. 대한제국이 건립되다.
1628년 화정제가 자신의 아버지 고조를 무황제로 승격하다.
1630년 대한제국이 대월국과 함께 시암을 침공하다. 대한제국이 시암을 복속시키다.
1632년 대한제국 행정구역을 개편하다. 한성부를 황도/중경 한성부로 평양부를 서경으로 심양부를 북경으로 개칭하다.
1634년 대한제국이 대월국, 대만, 에도막부, 오사카막부, 대연국, 시암, 인도네시아 지방의 술탄국들에게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칭제건원하였음을 알리고 조공을 요구하다.
1635년 조선 천주교회가 대한 천주교회로 개칭하다.
1640년 화정제가 고조의 유훈을 정리한 <목릉유훈>을 편찬하다.
1641년 화정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성조(成祖)가 정해지다. 태자인 만친왕 이지가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태화가 정해지다. 천주교를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1642년 대한, 스페인, 네덜란드 삼국이 함께 믈라카 조약을 체결하면서 스페인과 네덜란드가 동아시아에서의 패권을 상실하다.
1645년 최명길의 관료파가 다시 정권을 차지하다. 최명길이 영광고립을 천명하면서 외부로의 팽창을 주저하는 고립주의가 대세가 되다. 평양의 유상, 의주의 만상, 심야의 북상들이 함께 서상을 결성하고 만주척식회사를 설립하다.
1650년 이괄을 필두로 하는 구북방파 세력이 반란을 일으키다. 소현왕이 이끄는 친위대 병력이 반란군을 제압하다. 소현왕이 공로를 인정받아 황태제에 오르다.
1651년 태화제가 사망하다. 묘호로는 인조가 정해지다. 현친왕 이왕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목광이 정해지다.
1652년 목광제가 한성대성당의 보수공사를 지원하다. 천주교 성모 승천 대축일 행사에 참가해 헌금을 내다. 대한제국군과 러시아군이 북방에서 충돌하다.
1653년 목광제가 천주교 목릉파를 지원하다. 관료 목릉파, 군부 목릉파가 반발하다.
1656년 아담 샬이 홍이포 기술과 지구본, 세계지도 등 여러 서양물건들을 전해주다. 목광제와 대한천주교회가 협업해 서양 기술들을 연구하는 연구원인 서학원이 탄생하다.
1660년 목광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광종(光宗)이 정해지다. 선친왕 이백이 대한황제로 즉위하다. 연호로 융성이 정해지다.
1661년 융성제가 기존의 연대들을 묶어 여단을 창설하고 여단을 묶어 사단을 창설하면서 대한제국군이 30만명의 규모를 지니는 대육군으로 거듭나다. 천주교회에서 전래된 머스킷을 대한제국 육군에 대대적으로 보급하다.
1662년 오사카 막부가 대한에 도움을 요청하다. 충무함대가 에도막부의 수군을 격파한다. 에도막부가 서정을 중단하다.
1665년 영란전쟁에 참전하여 네덜란드 세력을 공격하다.
1667년 대한의 인구가 2000만을 넘다.
1670년 대한에 심각한 기근이 시작되다. 경신대기근이 시작되다. 융성제가 구휼미를 사용하고 대연, 오사카막부, 에도막부, 시암, 대월국에 쌀을 요청하다.
1671년 경신대기근이 종료되다. 조선에 30만여명이 사망하다. 융성제가 호구조사를 명하고 대대적인 토지개혁과 부자과세를 벌이면서 지주계급의 성장을 막다. 대기근에 백성들이 남만주 일대로 대이주하면서 북부개척시대가 시작되다.
1672년 융성제가 천주교 의료대학을 설립하여 의원들을 지방으로 파견시키다. 의료공백을 메우다.
1673년 대동계가 대동교를 설립하다.
1674년 대동법을 제정하다. 천주교, 대동교와 협업하여 구제에 힘쓰다.
1680년 융성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혜종(惠宗)이 정해지다. 임친왕 이엽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감로가 정해지다.
1681년 이철의 후손 이현엽이 영의정에 취임했다. 북경 목릉파가 장기집권하던 관료 목릉파를 몰아내다.
1682년 대한이 경신대기근의 피해를 대부분 회복하다.
1689년 대한이 루스차르국과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다. 양국의 국경이 태설강과 북설산맥으로 정해지다.
1690년 천주교, 대동교에서 왕권신수설을 주장하다.
1695년 을병대기근이 시작하다. 구휼미를 나누어주고 감세정책과 구휼정책을 실행하다.
1699년 을병대기근이 종료되다. 최종적으로 10만명이 사망하다.
1700년 양전과 호구조사가 시작되다.
1720년 태성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예종이 정해지다. 만친왕 이운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선통이 정해지다.
1724년 청태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경종이 정해지다. 연친왕 이금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건흥이 정해지다.
1726년 건흥제가 노비해방령을 선포하다. 노비안건법을 제정하여 경신대기근, 을병대기근 당시 노비가 된 수많은 사람들을 자유민으로 복귀시키다.
1727년 서학원, 의료대학을 하나로 합하여 성균관에 통합시키다. 실학자들을 대거 등용하다.
1730년 건흥제가 이앙법을 다시 권장하다.
1731년 건흥제가 한성대학교를 설립하다.
1732년 건흥제가 동래부를 남경 동래부로 개칭하다.
1733년 건흥제가 사농공상을 폐지하다.
1734년 초나라가 연나라에 선전포고하다. 대한제국 수군이 출병하다.
1735년 초나라의 남양함대가 대한제국의 충무함대와 동남아 동맹국들의 공격에 괴멸하다. 초나라가 북벌에 실패하다.
1736년 무굴제국과 수교하다.
1740년 콜카타에 대남척식회사 상관이 설립되다. 영국 동인도 회사군과 대남척식회사군이 콜카타에서 충돌하다. 남만원정(1차 캘터카 전쟁)이 발발하다.
1741년 프랑스령 인도 지사 조제프 프랑수아 뒤플렉스와 대한령 대남 대도독부 도독 이종성이 만나 캘터카 조약을 체결하면서 한프동맹이 성사되다.
1742년 한프동맹 연합군(대한제국군, 친한 토호국, 동남아 술탄국, 프랑스군 등등)과 영국군이 퐁디셰리에서 맞붙다. 한프동맹 연합군이 승리하면서 영국의 인도 영향력이 크게 감소하다.
1743년 대한제국 함대와 영국함대가 충돌하다. 영국함대가 대한의 충무함대를 크게 격파시키다.
1744년 콜카타 조약이 체결되다. 영국이 대한제국의 동아시아 패권을 인정하다. 대한제국이 더이상의 서정을 중단하다.
1745년 해군전력을 대대적으로 충원하다. 건흥제가 해군사관학교를 설립하다.
1746년 대한제국의 인구가 3500만을 넘다.
1750년 영국의 방적기와 직조기가 대한제국으로 수입되다. 대한제국 모산업의 성장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다.
1751년 대한제국의 인구가 4000만을 넘다.
1752년 한성부의 인구가 100만을 넘다.
1756년 유럽에서 7년 전쟁이 발발하여 대한제국이 한프동맹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여하다. (2차 캘터카 전쟁)
1757년 캘터카의 대한제국군과 영국군이 맞붙다. 한국군이 승리하다. 한프동맹 연합군과 영국군 사이에서 플라시 전투가 발발하다. 대한제국 원정군 대장 이봉상이 이끄는 원정군 포병대가 영국군을 괴멸시키다. 7년 전쟁 인도전선이 한프동맹의 승리로 끝나다.
1763년 대한제국,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등 동아시아, 남아시아 이해당사국들이 모여 2차 캘터카 조약을 체결하다. 대한제국이 동남아시아, 뱅골지방, 중원 지방의 패권을 인정받는다.
1764년 건흥제가 개항지의 필요성을 생각하여 재물포를 인천부로 개칭하고 항구를 건설하다.
1765년 홍림이 하와이 제도를 발견했다. 지역에 도독부를 설치하고 건흥도라 칭하다.
1775년 미국독립전쟁이 발발하면서 대한제국이 한프동맹에 의거하여 인도에서 영국군과 전투하다. 마이소르 왕국이 대한제국과 다투면서 2차 남만원정이 발발하다.
1776년 건흥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영조(英祖)가 정해지다. 공친왕 이산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강희가 정해지다.
1777년 금난전권를 폐지하다. 강희제가 <국부론>을 애독하다.
1778년 강희제가 친위부대인 황실근위대를 설립하다. 왕권강화를 꾀하다.
1779년 홍국영을 주축으로 하는 동덕회가 정권을 잡다. 목릉파와 동덕회가 당쟁을 벌이다.
1780년 천주교 출신 목릉파인 천주회가 목릉파에서 독립하다. 천주회와 동덕회가 연합하여 강희파가 구성되다.
1781년 정약용에게 인천부의 건설을 추진하게 하다. 정약용이 서양식 석재건물로 세워져있고 그 안에서 상업구역과 공장지대, 항구구역이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인 도시 계획을 세워 인천부를 건설하다. 인천부를 성경으로 개칭하고 천도를 준비하다.
1783년 미국독립전쟁이 종료되다. 파리조약을 체결하여 미국의 독립을 보장하다. 한국이 서태평양 권역의 패권을 인정받다.
1784년 성경 인천부 도시계획이 완수되다. 강희궁이 인천에 건설되다.
1785년 노비세가 부과되다. 대한제국의 노비제가 약화되다.
1786년 한성대화재가 발생하다. 10만여명이 죽고 다치다. 한성부의 가옥 중 25%가 전소되다. 강희제가 피해복구사업 총책으로 정약용을 임명하다.
1787년 정약용이 다산옥을 건설하면서 한성이 석재의 도시로 변모하다. 수많은 목재건물들이 석재건물로 재탄생되다.
1788년 한성도시재건이 완수되다. 다산옥이라고 불리는 서양식 동양풍 석재건물이 유행하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다. 정약용과 천주회가 신중론을 주장하여 프랑스 혁명전쟁에 비참여하다.
1790년 강희제가 정약용을 사령관으로 삼고 인도원정군을 편성하다. 대한천주교회가 교황청의 명령을 거부하다.
1794년 서경, 남경이 정약전과 정약종에 의해 재탄생되다. 천주회가 서경을 중심으로 성장하다.
1795년 대한통보가 제작되다. 대한제국의 통화가 은화인 대한통보로 확정되며 은본위제가 도입되다.
1800년 강희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고종(高宗)이 정해지다. 황태자 이홍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성화가 정해지다. 예순태후가 수렴청정하다.
1801년 예순태후가 목릉파와 손을 잡고 천주회를 박해하다. 천주회, 동덕회 등 강희파 군부인사(황실 근위대장 홍국영, 남만원정군 총사령관 정약용, 서경부윤 정약전, 만주척식회사 회장 정시준, 대한천주교회 의병장 정약종 등)들이 성화정변을 일으키다. 성화정변에서 강희파가 승리하여 대한제국 막부위원회가 설립되다. 막부의장으로 정약용이 추대되다.
1802년 막부의장 정약용이 강희파, 목릉파 일부를 모아 자신의 정치조직인 개화당을 설립하다. 중추원을 설립하고 중추원 의원들의 추대로 대한제국 국태공 섭정이자 대국무경에 취임하다.
1803년 프랑스령 동인도를 구입하다. 대한제국이 인도에서 독자적인 영향권을 구축하다.
1804년 개화당에서 동덕회 보수주의자들이 탈당하여 보수당을 창설하다.
1805년 황실 근위대가 폐지되다. 개화당 정강 14조와 대한국 국제가 제정되어 대한제국 막부통치가 더욱 강화되다. 1806년 대한제국의 정치조직이 개편되다.(국가원수인 황제의 조언가인 정부수반인 대한제국 총리대신과 총리대신을 의장으로 두는 내각의 7개의 부가 정책을 집행하도록 하고 중추원이 내각을 견제하게 한다. 중추원, 내각에서 결정된 사안은 사법부인 한성대법원이 통과시키도록 한다.) 정약용이 초대 총리대신에 취임하다.
1807년 근대식 전열함 충무호를 건조하다. 성화함대를 구축하다. 대한제국 군대를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중축하다.
1810년 서경, 남경, 북경에각각 서경제국대학, 남경제국대학, 북경제국대학이 설립되다. 증기기관이 대한제국에 대대적으로 도입되다. 증기범선인 성화함이 건조되다.
1811년 최초의 증기기관 선로인 경인선이 개통되다. 경부선, 경심선, 경서선이 차례로 개통되다. 1812년 연나라-대한 연합함대가 진나라-오나라 연합함대를 무찌르다.
1815년 연나라가 대한에 선전포고하다. 천명대전이 발발하다.
1816년 홍경래 사령관이 이끄는 1군단이 북경의 연나라 북경육군과 전투를 벌이다. 연나라 북경육군이 1군단에 패배하여 전멸하다. 대한제국군이 북경에 입성하다.
1817년 일본-대한 연합함대가 연나라의 북양함대를 괴멸시키다. 대한제국 육군이 난징에 상륙하다.
1818년 대한제국 1군단과 2군단이 장안으로 도망친 연나라 군대를 괴멸시키다. 장안이 함락되다.
1820년 연나라가 항복하다. 대한제국이 중원의 천명을 이어받다. 대한이 중원에 140여개의 국가로 나누다. 성화제가 중화천자에 즉위하다.
1834년 성화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무종(武宗)가 정해지다. 효명태자 이영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영락이 정해지다.
1836년 대국무경 정약용이 사망하다. 개화당 막부통치가 종료되다. 효명태자 이영이 친정을 시작하다. 대국무경을 폐지하고 김좌근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당 정권을 수립하다.
1840년 2차 캘터카 전쟁이 발발하다. 영국이 패배하다.
1841년 18도 체제를 시행하다. 대한제국 헌법을 제정하다.
1842년 대한의 인구가 5000만을 돌파하다. 강희성세가 절정에 이르다. 대한제국의 근대화, 산업화가 완료되다.
1851년 홍수전의 중화대동주의공화국이 대한제국에 선전포고하다.
1852년 중화인민군이 대한제국 연합군을 공격하다.
1853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일본 영향력 분할하다. 대한제국군이 난징을 점령하다. 홍수전이 사망하면서 대동당의 난이 종료되다.
1855년 한일수호통상조약 체결 오사카 막부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다.
1863년 한구전쟁 대한제국 육군의 대대적인 상륙, 규슈지방에 대한제국의 괴뢰국인 구주공국 건국하다.
1868년 도쿠가와 요시노부 서정 발표 대한제국이 에도막부에대한 선전포고를하다.
1869년 대마도 해협 해전, 성화호가 에도막부 해군을 패퇴시키다.
1870년 구주전선 대한제국-구주공국 연합군이 에도막부 육군을 격파시키다.
1872년 간토지방에서 대한제국-구주공국 연합국군이 에도막부군을 괴멸시키다.
1873년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할복하다. 일본전쟁이 종결되다.
1875년 대한제국 해군이 양무호 사건을 발생시키다. 오사카 조약이 체결되다.
1877년 대한제국군이 일본에 파견되어 사쓰마 반란군을 진압하다. 에도조약이 체결되다.
1879년 구주공국이 대한제국에 합병되다.
1880년 대한제국이 북원을 침공하다. 영락제가 대원몽골국 대칸으로 추대되다. 영락제가 몽골대칸에 즉위하다.
1881년 영락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장조가 정해지다. 공친왕 이환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광무가 정해지다.
1884년 일본에서 대한제국의 지원을 받은 일본개화당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다.
1885년 오사카 조약이 체결되다. 오사카 막부가 대한제국 황제를 일본국 황제로 추대하다. 광무제가 일본국 황제로 즉위하다.
1886년 대한제국이 일본을 합병하다. 한반도-만주의 인구가 8000만을 넘다. 1887년 대한제국이 남만척식회사 소유의 식민지들을 합병하다.
1888년 하와이 왕국의 독립을 명시한 한미태평양조약이 체결되다.
1889년 대한제국 하원인 민의원이 개설되다. 제1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를 실시하다. 개화당과 보수당, 자유당과 민주당 등이 의석을 얻다. 내각총리대신으로 개화당 당수 김홍집이 임명되다.
1891년 광무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효종이 정해지다. 의민태자 이영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대정이 정해지다.
1898년 이승만의 주도로 민권파 정치인들이 제국신문을 창간하다. 보수파가 이에 반발하여 황성신문을 창간하다.
1902년 한성 축구단이 설립되다. 이후 한성FC의 기원이 되다.
1905년 유럽에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다.(동맹국 독일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vs 협상국 프랑스, 영국, 벨기에) 대한제국이 중립을 선언하다.대한제국이 한성엑스포를 개최하다.
1906년 대한제국이 30만 대군을 러시아 국경에 배치하다. 러시아가 1차 세계대전 참전을 포기하다. 대한제국이 함대를 인도에 주둔시키다. 영국이 아프리카 주둔군을 1차 세계대전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다.
1909년 1차 세계대전이 종료되다. 상수시 조약에 참여하다.
1910년 대한황립축구협회가 설립되다. 시카고 독감이 유행하다.
1919년 대공황이 발생하다. 3.1혁명이 발발하다. 민권운동이 동아시아를 휩쓸다. 이완용 내각이 몰락하다. 선거법이 대대적으로 개혁된 제7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좌익정당인 사회당이 대대적으로 성장하게 되다. 여운형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당-민주당 연립내각이 수립되다.
1920년 여운형 총리의 신경제정책과 블록경제정책으로 대한제국의 경제가 성장세를 보이다. 개화당과 보수당이 합당하여 개화보수당이 창당되다. 동아일보가 창간되다.
1921년 사회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사회민주당이 창당되다. 창당반대파들이 탈당하여 대한노동당이 창당되다.
1922년 대정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헌종이 정해지다. 정친왕 이상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선화가 정해지다. 1923년 극우계열 인사들이 대한민족청년단을 창당하다. 한국령 일본에서 관동대지진이 발생하다.
1924년 한리그가 설립돠다.
1928년 제9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김창암 내각이 수립되다.
1929년 프랑스, 영국이 대한제국에 선전포고하다.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다. 선화제와 김창암 내각이 징집령을 내리다.
1930년 유규공습이 발발하다. 중화제국이 대한제국에 선전포고하다. 한중전쟁이 발발하다. 중화제국 육군에 의해 심양지방 만주영토가 유린되다.(만주전선) 대한제국 해군이 발해만 지역에서 중화제국 북양함대를 초토화시키다.(발해만 해전)
1931년 한힐골 전투에서 대한제국의 전차부대가 중화제국 전차부대들을 괴멸시키다. 만주전선이 고착화되다.
1932년 베이징 공습이 일으키다. 남방작전이 개시되며 난징일대를 향한 공격작전이 벌어지다.
1933년 대월국-대한제국 연합군이 난징을 함락시키다.
1935년 난징을 점령하다. 중화제국 총통 장제스가 사망하고 한중전쟁이 종료되다. 중원에 중화공화국이 건국되다.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다.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공화국, 인도연방 등과 함께 만국연합을 창설하다.
1938년 제11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여운형의 사회민주당 내각이 수립되다.
1939년 사회민주당 신민회 의장 안창호가 총채선거에서 승리하다. 사회민주당에 신민회가 돌풍을 일으키다.
1943년 제12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김규식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44년 김규식 내각총리대신이 무궁화계획을 승인하다. 한국이 핵무기 개발을 연구하다.
1948년 제13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김규식의 개화보수달이 승리하다. 1950년 한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다. 안창호 선언을 발표하다.
1953년 제14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승만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54년 수카르노를 중심으로 하는 누산타라 연방이 독립하다. 이승만 내각이 실각하다. 조기총선으로 열린 제15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박정희의 개화보수당이 압승을 거두다.
1955년 한국이 누산타라 연방의 독립을 승인하다. 일본에서 사토 히로히토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 독립연합이 무장투쟁을 일으키다. 일본전쟁이 발발하다.
1956년 한국정부에 의해서 에도학살이 일어나다. 한국이 세계적으로 큰 지탄을 받다.
1958년 한국의 청년 지식인들에 의해 58혁명이 발발하다.
1959년 제16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총선에서 유진산의 사회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사회민주당 내각이 수립되다. 대성유전이 발견되다.
1960년 김대중 선언이 발표되며 일본, 필리핀, 몽골, 구주의 독립을 승인하다. 만주독립투표에서 압도적인 차이로 만주독립이 부결되다.
1961년 한연방을 설립하다. 일본, 필리핀, 누산타라, 몽골, 구주가 가입하다.
1962년 한국, 중국, 일본, 구주, 누산타라, 몽골, 인도가 아주연합을 창설하다. 동래부에서 동래 엑스포를 개최하다.
1964년 제17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총선에서 장준하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한성올림픽이 개최되다.
1965년 사회민주당의 민주당파 의원들이 김영삼을 중심으로 분당하다. 김영삼 등 민주당파 의원들의 신민주당을 창당하다.
1966년 제18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총선에서 장준하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68년 제19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중도통합론을 내세운 유진산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1970년 대한제국의 인구가 1억을 돌파하다.
1972년 제20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유진산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1973년 K리그가 설립되다.
1975년 제21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이기택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1978년 하와이-한국 군사협정 체결 한국군 하와이에 주둔.
1979년 제22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김영삼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1980년 한국-아랍연맹 협약이 체결되다. 아랍연맹 회원국들이 아주연합에 가입하다.
1982년 아주철도공사가 설립되다.
1983년 제23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개화보수당의 이철승이 개혁보수를 천명하면서 승리하다.
1985년 선화제가 사망하다. 묘호로 선조가 정해지다. 주친왕 이제선이 대한황제에 즉위하다. 연호로 건덕이 정해지다.
1987년 제24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이기택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보안법의 수정이 이루어지다.
1988년 88 한성올림픽이 개최되다. 한국이 올림픽 3위를 기록하다.
1989년 제25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이철승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90년 제26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이회창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91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발하다. 이회창 내각의 경제완화 정책으로 피해를 최소화시키다.
1992년 제27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이회창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95년 제28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황우여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1999년 제29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이회창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2002년 한국 국가대표팀이 월드컵 4강신화를 써내리다.
2003년 사스사태가 벌어지다.
2004년 제30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김석철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최초의 화북인 총리가 선출되다.
2005년 김석철이 의료보장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혁하여 김석철의료를 시작하다.
2006년 한미통화교환협약이 체결되다.
2007년 제31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김석철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반기문이 UN사무총장에 임명되다.
2008년 김석철이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다. 과거 한국의 전쟁범죄에 사죄하다.
2011년 제32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김석철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2014년 제33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정세균의 사회민주당이 승리하다.
2015년 이민법이 개정되다. 이민자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다. 메르스 사태가 벌어지다.
2016년 제34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안진삼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2017년 안진삼연설을 외치다. 한국이 군비를 증강하다.
2018년 태평양-인도양 조약기구를 창설하다. 중국, 일본, 인도, 누산타라, 말라야, 월남, 타이, 뱅골, 이란 등이 가입하다.
2019년 한러군사조약을 체결하다. 한러군사동맹이 체결되다.
2020년 제35회 대한 민의원 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 안진삼의 개화보수당이 승리하다. 코로나 19가 창궐하다. 한성올림픽이 치뤄지다.
2021년 코로나와 함께 정책이 시행되다.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다.

세계사

1580년 동방에 금이 많은 나라가 있다는 소문이 포르투갈 상인들과 예수회 사제들에게 퍼지다. 마테오 리치를 중심으로 조선에 천주교가 전파되다.
1584년 조선이 두만강, 압록강 이북지방에 대한 대대적인 침공을 시작하다. 중국이 조선의 만주지배를 묵인하다.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본이 조선을 침공하다. 조선군의 방어로 패배하다.
1593년 조선원정군이 철수하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군이 반란을 일으키다.
1594년 조선원정군이 조슈번의 모리 데루모토를 중심으로 서군을 조직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맞서다. 서군이 오사카에 정권을 잡으면서 오사카 막부를, 동군이 에도에 정권을 잡으면서 에도 막부가 설립되면서 동서조시대가 개막되다. 포르쿠갈이 조선에 갤리온 3척을 판매하다.
1608년 루이스 프로이스가 <멧돼지 가죽 연대기>와 <주상왕 연대기>를 집필하다. 서양에 조선에 대한 관심이 커지다.
1609년 명나라가 북원을 침공하다. 명나라가 조선에 요동을 할양하다.
1615년 조선이 남쪽으로 세력권을 확장시키다. 류큐, 동남아시아 지방이 조선의 침공을 받다.
1617년 조선이 필리핀을 침공하며 조서전쟁이 발발하다.
1634년 한국이 동남아시아 지방 전체를 장악하다.
1642년 스페인, 네덜란드 등이 동남아시아에서 철수하다.
1646년 이자성의 난이 발발하다. 중원이 분열되면서 백왕전국시대가 시작되다.
1652년 한국군과 러시아군이 북방에서 충돌하다.
1665년 영란전쟁이 발발하다.
1689년 한국과 러시아 사이 네르친스크 조약이 체결되다.
1734년 초나라가 북벌을 선포하다. 반초연합군의 공격으로 실패하다.
1740년 1차 캘터카 전쟁이 발발하다.
1741년 한프동맹이 결성되다.
1744년 영국, 프랑스, 한국이 캘터카 조약을 체결하다.
1756년 유럽에서 7년 전쟁이 발발하다. 2차 캘터카 전쟁이 발발하다.
1757년 플라시 전투에서 한프동맹군이 승리하다.
1763년 2차 캘터카 조약에서 한국이 동아시아, 남아시아에서의 패권을 인정받다. 영국, 프랑스 등 유럽열강들이 아프리카의 식민화를 가속시키다.
1775년 미국독립전쟁이 발발하다.
1783년 미국독립전쟁이 종료되다. 미국의 독립이 인정받다.
1815년 연나라가 중원을 통일하다. 연나라가 한국을 침공하면서 천명대전이 발발하다.
1820년 중원이 수백개로 분열되다.
1851년 중원 대동교인들이 중화 대동주의 공화국을 건립하다. 대동단의 난이 발발하다.
1853년 대동단의 난이 한국군에 의해 진압되다.
1868년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대일본제국을 선포하고 오사카 막부를 침공하다.
1870년 이홍장의 황복단, 증국번, 좌종당과 태건제의 노력으로 제나라가 중원을 통일하다. 중화제국이 건립되다.
1871년 무굴제국 술탄과 인도 토후들이 델리 조약을 체결하다. 무굴제국 술탄을 황제로 하는 대인도연방이 수립되다.
1885년 오사카 조약이 체결되며 대일본제국이 멸망하다. 한국령 일본 총독부가 설립되다.
1888년 하와이 왕국이 중립국으로서 독립하다.
1905년 유럽에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다.(동맹국 독일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vs 협상국 프랑스, 영국, 벨기에)
1906년 프랑스군과 독일군이 국경지방에서 전쟁을 계속하다. 러시아가 참전을 거부하다.
1907년 영국이 갈리폴리 전투에서 패배하다.
1908년 니벨공세에서 영프연합군이 대패하다. 프랑스가 전쟁능력을 상실하다.
1909년 루덴도르프 공세로 독일군이 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다. 상수시 조약이 체결되다.
1910년 영국이 항복하다. 시카고 독감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다.
1919년 대공황이 발생하다. 세계가 대공황으로 침체상태에 빠지다.
1923년 프랑스에서 조르주 소렐이, 영국에서 톰 만이 집권하다.
1924년 중국에서 왕징웨이가 집권하다.
1929년 프랑스가 브라반트 공국을 침공하다.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다.(추축국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중국, 민주파 러시아 vs 연합국 독일, 이탈리아, 한국, 군부파 러시아 )
1930년 프랑스가 브라반트 공화국을 건국하다. 영국이 베를린 등 북독일의 대도시들을 폭격하다. 북독일 해전에서 독일이 패배하다.
1931년 프랑스의 전차부대를 독일의 전차부대가 격파하다. 독일-러시아 연합군이 오스트리아 전선을 승리하다. 중국이 한국을 침공하다.
1932년 한국군이 베이징을 점령하다. 월남군이 강남해전에서 중국군에 패배하다. 프라하, 빈이 독일군에 점령되다.
1933년 파리가 함락되다. 프랑스가 보르도로 파천하다. 한국군이 항저우에 상륙하다.
1934년 보르도가 함락되다.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하다. 한국군이 난징을 점령하다. 오스트리아에서 대반란이 발발하면서 오스트리아가 항복하다. 도버상륙작전이 실행되다. 영국본토에 독일군이 진입하다.
1935년 영국 왕당파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다. 톰 만이 처형되다. 영국이 항복하다. 충칭폭격이 이루어지다. 장제스가 자살하면서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다. 만국연합이 창설되다. 한국, 독일, 미국, 인도, 중국, 러시아가 상임이사국이 되다.
1989년 독일제국이 붕괴되다. 독일 공화국이 건국되다.

2025년 총선 정당별 상황

1.개화보수당
개화보수당은 패권주의, 경제성장을 내세우고 있는 안진삼 총리의 높은 지지율을 바탕으로 재선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동훈으로 대표되는 반안계 정치인들과의 당내갈등, 대한제일당과 개혁연합의 부상으로 빼앗기고 있는 지지층들, 이탄희 대표로 성장하고 있는 경쟁당인 사민당의 존재까지 탄탄할 듯 보였던 개화보수당의 단독과반은 여러 악재들로 어려움에 쳐해있다.
2.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은 김석철의 전성기가 지나가고 안진삼에게 2번의 총선을 패배하면서 위기에 쳐해있었다. 하지만 정세균, 이낙연 등 기성세력이 무너지고 이탄희, 김설아로 대표되는 혁신계 정치인들이 부상하면서 청년층, 여성, 중도층에게서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다. 이탄희 대표의 대연합 제안으로 녹색당, 노동당, 만주국민당, 대만민주진보당이 참여하는 정의연합이 결성되면서 총선에 적색돌풍을 몰고 있다.
3.개혁연합
본래는 요동지역 지역주의 정당이었던 개혁연합은 우효광 대표가 입당하면서 요동성 지역주의 정당에서 중도주의, 개혁주의 정당으로 중도층과 기존의 양자대결에 지쳐있던 무당층들의 지지를 받으며 무려 50석을 얻는 기염을 토하게 된다. 개혁연합은 자유민주당과 황색동맹을 체결하고 선거홍보를 하면서 양자구도인 총선에 새로운 바람을 불고 있다.
4.자유민주당
자유민주당은 과거에 민권주의 정당으로서 총선에 거대한 한축을 담당했던 과거와는 달리 중도 ~ 중도좌파를 사회민주당과 개혁연합에게 빼앗기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이러한 상황을 탈피하기 위해 자유민주당은 개혁연합과 선거연대인 황색동맹을 체결하여 반전을 꿈꾸고 있다.
5.대한제일당
대한제일당은 신설창당된 한국의 극우정당으로 우익성향이 강한 조선민족 남성청년들의 지지를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특히, 총재로 선출된 김여정 총재체제 이후에는 강력한 조선민족주의와 반이민자, 반동성애 등 보수주의 성향을 과시하며 선거에서 세를 불리고 있다.

정약용

대한제국 초대 대국무경
정약용
출생 1762년
경기도 광주부
사망 1836년
대한제국 한성부 경무대
재임기간 대한제국 초대 대국무경
1801년 ~ 1836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 나주 정씨
부모 아버지 정재원
전모 의령 남씨
생모 해남 윤씨 윤소온
배우자 풍산 홍씨 홍혜완
자녀 아들 정학연 (1783~1859)
아들 정학유 (1786~1855)
딸 정홍연
학력 성균관[1], 한성대학교
종교 유교, 천주교, 한국천주교
신체 약 161cm 초과
정당 강희파, 천주회, 동덕회, 개화당
최종계급 대한제국군 육군참모부
묘호 문성공(文成公)


정당

개화보수당 (보수정당 대표)

개화보수연합당
영어명 Reformation Conservative Party
표어 국민과 더불어, 개화보수당
전신 개화당
보수당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 7
개화보수당당사 (여의도동)
대표 (내각총리대신) 안진삼
부대표 문재인
원내대표 한동훈
사무총장 성일종
이념 보수주의
아시아통합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스펙트럼 우파 빅덴트
주류:중도 ~ 우파
비주류:극우
중추원 의원 75석/136석 (55.15%)
민의원 의원 321석/580석 (55.34%)
도지사 8석/24석 (33.33%)
당색 보수의 청색 #000080
정책연구소 개화보수연구원
청년조직 청년개화보수당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아주연합정당 아주보수당
당원 수 34,491,265
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구당파 신당파
광무회
문재인
이재오
주호영
나경원
한성파
윤석열
한동훈
추경호
진삼계
안진삼
정병국
남경필
유승민
소장파
이준석
오세훈
천하람


개화보수당은 1919년 3.1혁명으로 사회당, 민주당, 자유당으로 대표되는 개혁정당들이 대대적인 선전을 이루자 기존에 보수정당으로서 판을 갈라먹고 있던 개화당과 보수당은 극적인 합의를 통하여 합당을 이룬다. 합당을 이룬 개화당과 보수당은 거대보수정당인 개화보수당으로 통합되었다.


사회민주당 (진보정당 대표)

사회민주당
영어명 Social Democratic Party
표어 당신을 위한 사회민주당
전신 사회당
민주당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12
사회민주당 3·5·6·9·10층 (여의도동)사회민주당당사 (여의도동)
대표 이탄희
부대표 김윤덕
원내대표 전용기
사무총장 노회찬
이념 사회민주주의
아시아연대주의
자유주의
스펙트럼 좌파 빅덴트
주류:중도 ~ 좌파
비주류:극좌
중추원 의원 34석/136석 (25%)
민의원 의원 193석/580석 (33.28%)
도지사 16석/24석 (66.67%)
당색 국민의 적색 #ff0000
정책연구소 몽양 연구원
청년조직 사회민주청년
국제조직 진보동맹
아주연합정당 아주사회민주당
당원 수 51,231,597
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혁신계 비혁신계
진보회
김세나
이탄희
조국
좌파그룹
홍준표
김문수
노회찬
심상정
민주연합
이재명
정성호
정청래
추미애
원로계
이낙연
정세균
김동연
정동영


여운형, 박헌영 등 한국의 사회주의자들은 통합사회주의당을 창당하기로 결심하면서 사회당을 창당한다. 반면 안창호, 양기탁 등의 민권주의, 민주주의 계열 인사들은 민주당을 창당하면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하여 노력한다. 3.1혁명으로 보수세력이 무너지자 사회당과 민주당은 대연정을 결성하면서 협력한다. 이때 협력을 거부한 좌파사회당원들은 노동당을 창당했고 민주당 탈당파들은 개화보수당, 자유당 등으로 이동한다.


대한국 대황제


대한인민의 대황제
[ 펼치기 · 접기 ]
초대 2대 3대 4대
성조 태황제 인조 인황제 광종 순황제 혜종 명황제
5대 6대 7대 8대
예종 목황제 경종 경황제 영조 성황제 고종 열황제
9대 10대 11대 12대
무종 신황제 열종 정황제 장조 의황제 효종 광황제
13대 14대 15대 16대
헌종 선황제 선조 현황제 현종 소황제 건원제
추촌황제
테조 고황제, 세종 덕황제, 열조 시황제
상제님의 은총으로 조선인과 만주인, 한인의 제국과 유구국 국왕, 구주국 국왕, 대중화의 천자이시며 북해도의 지배자, 대원몽골국의 대한, 한연방의 수장이시며 제국 내 모든 신앙과 도의 수호자이신 대한인민의 대황상폐하.
대한제국 대황제
대한인민의 대황제
이재선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광무 시대
초대 2대 3대 4대
김홍집 박정양 김병시 박정양
5대 6대 7대 8대
김가진 박정양 김홍집 김가진
9대 10대 11대 12대
김가진 김홍집 이완용 김홍집
12대 13대 14대 15대
김홍집 심순택 김옥균 윤용선
16대
김홍집
대정 시대
16대 17대 18대 19대
김홍집 이완용 김옥균 서재필
20대 21대 22대 23대
김옥균 이완용 여운형 여운형
선화 시대
24대 25대 26대 27대
이승만 김창암 여운형 김규식
28대 29대 30대 31대
안창호 이승만 박정희 최규하
32대 33대 34대 35대
유진산 장준하 장준하 유진산
36대 37대 38대 39대
이기택 김영삼 홍성남 김홍일
40대 41대
김대중 이철승
건덕 시대
42대 43대 44대 45대
이회창 이회창 이인제 이회창
건원 시대
46대 47대 48대 49대
김세나 김세나 김세나 정세균
50대 51대
안진삼 안진삼

잃어버린 대의

펼치기 접기
우리는 대의를 지켜내었습니다.

위대한 신대륙에 건국의 아버지들이 만든 '위대한 대의'는 한차례 위협을 받았습니다. 바로 북부의 간악한 물질만능주의자들과 그들의 대장이자 사탄의 자식, 링컨에 의해서 말이지요.
하지만 하느님께서는 아메리카가 대의를 잃지 않게 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이 축복받은 남부땅에 제퍼슨 데이비스 대통령과 로버트 리 장군을 보내주셔서 이 남부땅을 지켜내게 하셨습니다.
종전 이후, 남부는 하느님께서 축복하는 아름다운 낙원이 됐습니다. 자유와 민주주의, 청교도 정신과 도덕정신, 기독교 문명과 보수주의가 이 위대한 대의의 땅에서 살아숨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때가 되었습니다. 유럽에서 황태자가 살해당하고 전세계가 혼돈에 빠져있는 지금. 우리 위대한 미연합국은 저 간악한 물질만능주의자들을 무찌르고 위대한 대의의 낙원, 아메리카 연합국을 건설할 것입니다.

위대한 대의는 거짓이다.

그들은 땡볏이 내리쬐는 뜨거운 목화밭에서 매일같이 일하도록 시킨다.
그들은 남자에게는 채찍을 내리치며 여자에게는 자신들의 더러운 것들을 닦게 시킨다.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우리를 인간이하의 존재로 다루는 그들은 그런 끔찍한 행위들을 백인의 짐이라는 소리로 정당화한다.
그들의 채찍질을 피해 도망치는데에 실패한다면 그들은 그들에게 보장된 자유로 우리를 처분할 것이다
그들이 백인들만의 자유를 찾은 것처럼 우리도 흑인만의 자유를 찾아야 한다. 우리도 우리의 자유를 확보해야 한다.

개요

잃어버린 대의는 '남부연합이 남북전쟁에서 생존하였다면 어떨까?' 에 대한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설정

잃어버린 대의 세계관에서는 남북전쟁에서 로버트 리 장군이 원역사 이상으로 분전을 거듭하고 이로인해 워싱턴이 함락된다는 전제를 두고 생각한다.
로버트 리 장군의 전략으로 워싱턴D.C.가 함락되자 북부연방은 남부의 독립찬성에 사인하게 된다.(워싱턴 조약)
이렇게 남부연합은 미국으로부터의 독립에 성공한다.
새롭게 정식건국된 남부연합은 초기에는 각주들간에 갈등으로 분열의 조짐을 보였지만 로버트 리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연방제가 아닌 중앙집권적 국가를 만든다.
로버트 리 대통령 이후 남부는 면화산업과 발달된 1차 산업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1차 산업에 의존하느라 공업이 발달하지 못하였고 때문에 북부와 경제적 격차는 걷잡을 수 없이 커져갔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유럽에 대전쟁이 발발한다.

대한의 미래

"박정희 당신은 압니까? 정의와 사랑이 없는 곳에 평화와 기쁨이 있을 수 없습니다. 평화가 없는 곳에 사회 안정과 질서는 없습니다."
-김수환 추기경 예수 성찬 대축일에서-

개요

동북아 민주주의의 보루였던 남한은 무너졌다.
'유신헌법'으로 박통의 영구집권을 막을 수 있는 세력은 대한민국에서 소멸되었고 김부장의 총탄은 박통의 몸을 스쳐지나가면서 민주세력 제거의 명분만 준 채 허무한 최후를 맞이했다.
김대중, 김영삼 등, 박통을 막아서던 민주세력은 간첩제거라는 목적 아래에 일소되었고 대한민국의 대의민주주의는 박통이 제시한 '한국식 민주주의'라는 이름 아래에 무너졌다.
대한민국은 이후, 경제발전을 위한 재벌특혜정책, 자주국가를 위한 핵무기 개발, 사회안정을 위한 반대파 탄압을 실행하면서 점점 기형적이고 끔찍한 국가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대한민국의 '국가 대원수'인 박정희는 김제규의 총탄으로 인한 건강악화로 생사의 기로에 서있고 박통의 첫째 아들 박지만과 퍼스트 레이디 박근혜의 권력다툼, 그리고 그 둘의 다툼을 조장하고 이로 인한 권력의 균열에서 정점을 향해 도전하는 국무총리 김종필, 기무사령관 전두환, 국가원수부장 차지철의 경쟁은 대한민국을 불완전하게 만들고 있다.
결국 대한의 미래는 거대한 싱크홀로 끝없이, 끝없이 들어가고 있다.

상세

대한의 미래는 박정희가 김제규의 총탄에 사망하지 않고 생존한 뒤 대한민국에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 대체역사 세계관이다.

대한민국


대한민국 * 유신대한

유신체제 대한민국

통일주체국민회의


김종필파-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연갈색
차치철파- 진한갈색
중립파- 회색

박정희


대한민국 국가 대원수
박정희

대한민국의 '국가 대원수'이자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장, 대한민국 제 9대 대통령인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최고권력자이다.
여러 외신들이 말하듯이 대한민국은 사실상 '박씨왕국'이라고 표현해도 좋을 정도로 1인 독재 체제 국가로 만든 장본인이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대체하여 한국식 민주주의라는 용어를 제창한 사람이다.
하지만 그가 일군 '박씨왕국'은 그가 김제규의 총탄을 맞고 급격하게 건강이 악화되면서 자츰 균열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무총리 김종필은 이미 민주공화당, 유신정우회, 관제야당들의 국회의원들을 포섭하면서 대한민국 의회권력을 차지하였고 하나회의 전두환과 원수부장 차지철은 서로 협력하면서 군부의 무력과 중정의 정보력을 합치고 있다.
그러한 상황속에서 박정희는 누구에게 자신의 권력을 승계시킬지 생각해야 한다.
박근혜에게 물려준다. 박지만에게 물려준다.

최태민


영세교 교주
최태민
대한민국 최대의 사이비 종교인 영세교의 교주이자 스스로를 '미륵'이라고 호칭하는 사람이다. 또한 최태민은 대한민국 정재계의 거물이다.
육영수 여사가 사망한 뒤, 박정희의 퍼스트 레이디인 박근혜에게 접근하고 그녀를 이용하여 수많은 정치인사들과 경제인들을 만난 최태민은 박근혜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자신을 각인시키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무수한 교인들에게서 나오는 재력으로 정치권의 인사들에게 로비스트 활동을 펼쳤고 그렇게 얻게 된 정치권력을 바탕으로 여러 사업들을 펼치면서 대한민국의 가장 영향력이 강한 사이비교주가 되었다.
하지만 그런 그의 전성기도 점점 종식되어가고 있다. 박정희의 생명이 꺼져가는 현재, 그의 권력은 순전히 박근혜의 총애덕인 것으로 박근혜의 권력이 무너지게 된다면 최태민은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다..
이제 그는 자신의 정치권력과 재력을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김종필


대한민국 국무총리
김종필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이자 대한민국 정치의 제왕, 통일주체국민회의의 3/2를 거느리는 거대한 공신연대의 수장이고 수많은 재벌가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대한민국 정치계의 최정점에 서있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박정희의 건강상태가 안좋은 지금의 상황에서는 대한민국의 정점에 서있다고 보아도 무방한 인물이다.
하지만 그런 그의 권력은 오히려 박정희가 생사를 모르는 지금, 더욱 그 영향력이 흔들리고 있다.
군대에서는 하나회가, 중정에서는 차지철이 그의 영향력을 줄이고 있고 정점에 서있던 그의 권력은 다른 경쟁자들에게 나뉘어지고 있는 현재, 김종필은 자신을 위협하는 경쟁자들을 무너뜨리고 청와대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박지만


육군생도
박지만

박지만은 현재 대한민국의 왕자이다. 박정희의 아들로 차기 권력으로 여겨진다.

후계

영향을 받은 매체

소설

정렬하여 보기

A

대한뉴스 1983. 5. 6
1-1

<대한뉴스>통일주체국민회의 의원들과 국군장병들과 대한민국 국민들, 대한민국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장이시자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의 국가 대원수이자 대한민국 민족의 영도자이신 박정희 각하께서 1983년 5월 6일인 오늘, 박정희 국가 원수님께서 급병으로 서거하셨다는 것을 가장 비통한 심정으로 알립니다.
민족혁명과 근대화와 경제발전의 완성을 위하여 한평생을 바쳐오시었으며 한민족 강성국가 건설과 국민의 행복을 위해, 나라의 통일과 세계의 자유화를 위하여 불철주야 정력적이게 활동하셨던 박정희 국가 원수께서 너무도 갑작스럽게, 너무도 애석하게 우리곁을 떠나셨습니다. (중략) 각하께서 갑작스럽게 서거하셨기에 대한민국 국무총리이신 김종필씨가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무를 대행하실 것입니다.
우리의 차례군...

1


정렬하여 보기

A

유신의 심장이 멈추다.
1-2

대한민국 서울지구병원에 갑자기 수십명의 남성들이 한명의 사람을 업고서는 병원으로 들이닥쳤다.

2
  1. 중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