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다작성 세계관 세컨드 시즌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 사용되는 이미지의 저작권은 이미지를 제작하거나 배포하는 각 권리자에게 있습니다.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통일세계관 세컨드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대연국

청화국

대한제국

만화국

대청제국

중화민국

일본제국

탐라국[1]
  1. 대한제국대연국의 통제 및 간섭을 받는 자치국 형태에 놓여 있다.
파일:Dakiang.png.png
대연국
대연국
다롄궈
大連國
State of Dakiang
14091920
국기 국장
표어 천도유무(天道有無)
하늘과 도리는 있고 없다.[1]
국가 왕도흥화가王道興和歌

붉은색으로 칠해진 것이 대연국의 세력권이다.[2]
수도 태천부太天府
정치
공용어 중국어[3], 대연어[4]
정부 형태 제한적 입헌군주정
연왕連王 전회全恢
내각재상內角宰相 김세윤金世潤
지리
1913년 어림 면적 87,870 ㎢[5]
내수면 비율 2.6%
인구
1913년 어림 1,743만 명
기타
  1. 이이(李耳)의 저서, 《도덕경》(道德經)에서 언급된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2.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대한제국과 공동 속국인 탐라국을 두고 있다.
  3. 오어(吳語), 휘어(徽語)와 같은 남방 계통 방언을 많이 사용한다.
  4. 한반도의 서남 방언탐라 방언의 영향을 받았으나, 현재는 한성 방언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추세다.
  5. 본토가 아닌 합병지인 타이완과 그 일대 부속도서는 포함하지 않는다.

대연국(중국어: 大蓮國 다롄궈[*])은 청해(靑海)에 위치한 국가로서 동쪽으로는 일본 열도만화 열도, 북쪽으로는 한반도, 서쪽으로는 중국 대륙과 접해 있다. 수도는 태천부(太天府)이며, 입헌군주정[1]을 채택한 왕정 국가이기도 하다.

고려(高麗) 시기의 무관이었던 완산백(完山伯) 전집(全潗)[2]공민왕 시기의 홍건적을 지금의 주호도(州胡島)[3]에서 몰아내면서 독자 세력을 구축한 것을 시작으로 보고 있다. 그 뒤, 고려가 멸망하자 한반도와의 결별을 선언[4]한 뒤 '대연'(大連)이라는 국호를 정하고 독립 왕국[5]으로 성장하였으며, 류큐(琉球), 아랍(阿拉伯), 인니(印尼) 등을 통한 남해 교역의 중심지의 역할을 행했다. 이후 포르투갈, 에스파냐와 교류하여 선진 문물을 습득하였으며 이주 정벌(夷州征伐)과 만화 정벌(滿華征伐)을 감행하는 등, 대외 팽창 정책을 추진하기도 했다

현재는 서구 열강과의 교류 아래 입헌 정치와 이른바 '홍현개화'(鴻賢開化)[6]라 불리는 개방 정책을 통한 근대화로 범한세계(汎韓世界)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상당한 지역 강국으로 성장한 추세이다.[7]

개요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존속했던 국가이며 범한세계를 이루는 구성 국가 중에서 대한제국과 함께 핵심이자 중추적 역할을 행했다. 약칭은 '연'(連)이며, 때로는 '제국주의 대연'(帝國主義 大連)이라고도 불리나, 1920년을 기점으로 선종(宣宗)이 황제 즉위를 선포하여 대연제국(大連帝國)을 수립함에 따라 두 명칭에서 혼동이 올 수 있다고 여기기에 일반적으로 '대연국'(大連國)이라고 부른다.

'대연'(大連)이라는 명칭은 태조 전엽(全曄)이 즉위 교서에서 '만리(萬里)를 잇는다(連)'라는 의미를 뜻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며, 실제로도 '만연'(萬連)이라는 명칭을 1412년 이전까지 줄곧 사용했다는 점[8]을 볼 때, '대연'이라는 명칭은 이후에 사용되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동아시아의 조공 무역 체제에서 국명을 통한 분쟁이 야기되던 경우가 잦았던 점을 볼 때, 소극적인 칭제(稱帝) 형태의 일부가 아니었냐고 추측되고 있다.

각주

  1. 서구의 입헌군주정과는 달리, 총리에 대응되는 내각재상(內角宰相)의 권한이 약하며, 국왕의 헌법적 권한이 강력하기 때문에 국내 학계에서는 '대연식 입헌정'(大連式 立憲政)이라고 칭한다.
  2. 중시조 전섭(全聶)의 30대손이며, 고려에서는 추충정난공신(推忠靖扈亂聖功臣) 및 주호대섭국주(州胡大攝國主) 지위에 봉해졌다. 자신의 손자였던 대연 태조(大連 太祖)에 의해 '대연 덕조'(大連 德祖)로 추증되었다.
  3. 본래는 진수(陳壽)가 쓴 삼국지 《위서동이전》(魏書 東夷傳) 한(韓)에서 탐라(耽羅)를 가리키는 지명인 것으로 오해되기도 했다.
  4. 《태조기록》(1409) 1권, 태조 1년 6월 3일 기축년 1번째 기사 "상국(上國)을 멸한 이조(李朝)를 따를 이유가 없다."
  5. 《태조기록》(1412) 1권, 태조 4년 정월 6일 임진년 1번째 기사 "대국(大國)에 조공을 하니 영락(永樂) 폐하께서 시산(柴山)하여 국성을 '전'(全)으로, 국호를 '대연'(大連)이라 했고, 이에 태조께서 '대연왕'(大連王)을 칭하셨다."
  6. 홍현왕 흥종(鴻賢王 興宗)이 시행한 일련의 근대적 개혁을 일컫으며, 특히 군사적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는 모습을 보인다.
  7. 단순한 지역 강국에 머무른 수준이 아닌, 타이완 일대를 흡수 합병하고 속국을 두는제국주의적 면모를 키워 나가고 있다.
  8. 《덕현원속기》(德賢院速記) 一年 八月 七日 第一記事, 태조께서 창국사절(創國使節)을 보내어 상국 황상(皇上)께 "그 이름의 의미와 유래가 짐의 마음에 든다."라 하여 '만연'(萬連)을 사용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