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 국군 大韓國 國軍 | Korea Armed Forces | |||||
---|---|---|---|---|---|
![]() |
![]() | ||||
군기 | 휘장 | ||||
상비군 | 1,065,100명 | ||||
예비군 | 1,230,200명 | ||||
전시 최대 가용 인원[1] | 90,980,500명 | ||||
육군력 | |||||
병력 | 755,900명 | ||||
전차 | 8,895대 | ||||
장갑차 | 35,259대 | ||||
견인포 | 10,541대 | ||||
자주포 | 4,523문 | ||||
다연장로켓포 | 3,975문 | ||||
수송차량 | 204,997대 | ||||
해군력 | |||||
병력 | 105,300명 | ||||
스텔스 구축함 | 1척 | ||||
이지스 순양함 | 6척 | ||||
방공순양함 | 60척 | ||||
이지스 구축함 | 33척 | ||||
구축함 | 57척 | ||||
이지스 호위함 | 35척 | ||||
호위함 | 48척 | ||||
초계함 | 25척 | ||||
초계정 | 77척 | ||||
미사일 고속정 | 52척 | ||||
고속정 | 15척 | ||||
어뢰정 | 5척 | ||||
항공모함 | 4척 | ||||
경항공모함 | 4척 | ||||
강습상륙함 | 18척 | ||||
공기부양정 | 11척 | ||||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5척 | ||||
공격 원자력 잠수함 | 7척 | ||||
재래식 잠수함 | 29척 | ||||
군수지원함 | 4척 | ||||
기뢰부설함 | 3척 | ||||
소해함 | 16척 | ||||
공군력 | |||||
병력 | 103,900명 | ||||
공격기 | 219기 | ||||
전략 폭격기 | 81기 | ||||
수송기 | 512기 | ||||
조기 경보기 | 31기 | ||||
무인기 | 190대 | ||||
정찰기 | 29기 | ||||
전투기 | 1,127기 | ||||
공중급유기 | 99기 | ||||
다목적기 | 29기 | ||||
훈련기 | 614기 | ||||
헬리콥터 | 180기 |
개요
대한국의 정규군이며, 보통은 줄여서 대한국군 혹은 한국군이라고 부른다. 1861년 대한국 정부 수립 이후 동년 3월 3일 창설되었으며, 창설 이래로 수많은 해외분쟁, 특히 아시아 태평양 전쟁, 제1차 세계대전[2]같은 대전쟁과 사군의 난을 비롯한 쿠데타 진압에 참여하며 실전경험을 쌓았고, 지금까지 매년 군비를 확충하며, 전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강력한 군사집단으로 발돋움했다. 특히 포병전력과 기갑전력에 있어서는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수준이다. 현재 대한국군의 군종에는 대한국 육군 (동방), 대한국 해군 (동방), 대한국 공군 (동방), 대한국 해병대 (동방), 대한국 우주군이 있으며, 사실상 아시아에선 가장 군종이 많은 군대다.
병역제도
1870년대까지 대한국은 조선이 건국될 때부터 존재했았던 군역제를 유지해왔으나, 이후 시대에 발맞춰 근대적인 징병제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시아 태평양 전쟁이 끝난 1950년대부터 대규모 징병의 필요성이 없어지면서 병역제도의 전환이 논의 되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의견이 오고 간 끝에 1955년부터 대한국군은 모병제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이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으며, 다시 한번 대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