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국회CI.png | 대한민국 국회 원내 구성 |
[ 펼치기 · 접기 ] |
![]() | |
大韓保洙黨 | Korean Conservative Party | |
보수당, KCP | |
1954년 1월 1일 | |
한민당, 대한국민회의 | |
고전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유교보수주의 | |
중도우파 | |
이낙연 | |
유승민 | |
박지원 | |
주승용 | |
정진석 | |
41석 / 113석 (36.2%) | |
193석 / 550석 (35.1%) | |
13석 / 29석 (44.8%) | |
남색 (#00458E) | |
대한민국 보수 통합의 노래 |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
260,000명 (2020년) | |
학생보수연대 |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이자, 현재 대한민국 내 최대 보수 정당이다. 진보민주당과 함께 대한민국 정치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역사
대한보수당의 역사는 김구 초대 총리와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세운 보수 정당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1954년, 김구 총리와 이승만 대통령은 나날이 커져가는 좌파 야당의 당세에 위기감을 느끼고 사분오열 흩어져있던 보수 정당을 통합하였다. 여러 정당들이 참여하였지만 그중 가장 큰 정당은 김구 총리의 중도보수 정당인 한민당과, 이승만 대통령의 보수 정당인 대한국민회의였다. 이렇게 이 두 정당을 중심으로 수많은 우익 정당들이 통합되어 출범한 정당이 대한보수당이다.
1960년대, 장면, 장준하, 윤보선, 유진오 등 수많은 총리를 배출하며 최전성기를 맞았다. 1970년대에는 잠깐 경제 침체로 인해 사회진보당에 잠깐 정권을 내준적이 있으나, 1970년대 중반부터 말까지 약 12년간 김대중 총라가 장기 집권을 하였다. 김대중 총리 시절에는 중도보수, 질서 보수주의를 추구하던 대한보수당답지 않게 강경한 신자유주의 정책을 펼쳐 분란이 있었다. 그 결과 1990년, 김대중 전 총리는 신자유당을 창당해 떨어져나갔다. 이후로 대한보수당은 온건 보수를 표방하는 정당이 되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야당이었고,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총 8년간 여당이었다. 그러나 2016년 총선에서 패배해 진보민주당에게 정권을 내어줬고 2020년 총선에서도 패배했다.
성향
대한보수당은 창당 배경이 배경답게 자유보수주의, 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신자유주의 등 다양한 성향을 가진 우파 정치인들이 모인 빅텐트 정당이다. 다만 1980년대, 김대중 총리의 급격한 경제 우클릭 정책으로 인해 당내 분란이 있었다. 1990년대에도 정통 보수주의를 추구했던 김영삼 총리와 신자유주의를 주장했던 김대중 전 총리가 분란을 겪었고 결국 김대중 전 총리는 신자유당을 창당해 떨어져나갔다. 이 때문에 대한보수당 내부에서 신자유주의 계파는 매우 약화된 상태다.
또한 유교에 기반한 사회적 보수주의를 추구한다. 따라서 동성혼에 반대하고 있으며, 낙태, 마약 합법화 등에도 강경히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시민결합에 한에서 동성애를 인정하는 행보를 보이면서 보수꼴통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1990년대에 비하면 많이 유해졌다.
역대 총재
대수 | 이름 | 임기 | 총리 재임 기간 | 비고 |
---|---|---|---|---|
초대 | 김구 (金九) | 1954년 1월 1일 - 1957년 5월 12일 | 1954년 1월 1일 - 1955년 12월 31일 | 작고 |
제2대 | 신익희 (申翼熙) | 1957년 5월 13일 - 1959년 1월 17일 | 1956년 1월 1일 - 1959년 1월 17일 | |
제3대 | 이기붕 (李起鵬) | 1959년 1월 18일 - 1960년 5월 29일 | 1959년 1월 18일 - 1960년 5월 28일 | |
제4대 | 장면 (張勉) | 1960년 5월 30일 - 1967년 1월 17일 | 1964년 5월 13일 - 1967년 1월 17일 | 재선 |
제5대 | 윤보선 (尹潽善) | 1967년 1월 18일 - 1970년 4월 10일 | 1967년 1월 18일 - 1970년 4월 10일 | |
제6대 | 유진오 (兪鎭午) | 1970년 4월 11일 - 1974년 1월 20일 | 1970년 4월 11일 - 1972년 5월 29일 | |
제7대 | 김대중 (金大中) | 1972년 5월 30일 - 1989년 4월 10일 | 1976년 5월 11일 - 1989년 5월 18일 | 4선 |
제8대 | 김영삼 (金泳三) | 1989년 4월 11일 - 1995년 1월 31일 | 1989년 5월 19일 - 1995년 1월 31일 | 재선 |
제9대 | 김종필 (金鍾泌) | 1995년 2월 1일 - 1997년 4월 3일 | 1995년 2월 1일 - 1996년 9월 30일 | |
제10대 | 이회창 (李會昌) | 1997년 4월 3일 - 2000년 7월 17일 | 1998년 1월 10일 - 2000년 7월 17일 | |
제11대 | 이인제 (李仁濟) | 2000년 7월 18일 - 2003년 9월 10일 | 2000년 7월 18일 - 2003년 9월 10일 | |
제12대 | 이한동 (李漢東) | 2003년 9월 11일 - 2004년 6월 10일 | 2003년 9월 11일 - 2004년 4월 15일 | |
제13대 | 박근혜 (朴槿惠) | 2004년 6월 10일 - 2007년 9월 12일 | ||
제14대 | 김문수 (金文洙) | 2007년 9월 12일 - 2008년 8월 18일 | 2008년 1월 13일 - 2008년 8월 18일 | |
제15대 | 손학규 (孫鶴圭) | 2008년 8월 19일 - 2011년 7월 10일 | 2008년 8월 19일 - 2011년 7월 10일 | |
제16대 | 홍준표 (洪準杓) | 2011년 7월 11일 - 2012년 6월 1일 | 2011년 7월 11일 - 2012년 6월 1일 | |
제17대 | 오세훈 (呉世勲) | 2012년 6월 2일 - 2014년 4월 30일 | 2012년 6월 2일 - 2014년 4월 30일 | |
제18대 | 유승민 (劉承旼) | 2014년 4월 30일 - 2018년 4월 29일 | 2014년 4월 30일 - 2016년 8월 17일 | 임기 만료 |
제19대 | 이낙연 (李洛淵) | 2018년 4월 30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