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연방당

대한합중국 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연립여당

 132석 258석 

 42석 88석 
야당

 64석 124석 

 32석 71석 

 18석 40석 

 5석 12석 

 3석 10석 
파일:녹색당.svg
 1석 3석 
파일:통합진보당.svg
 0석 2석 
파일:국가사회당.svg
 0석 1석 
무소속  3석 4석 
재적 300석 • 600석
대한연방당
영문 명칭 Korea Federalist Party
슬로건
등록일 1930년 4월 5일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경기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회대로74길 12 (여의도동)
이념 현재:
협력적 연방주의
자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내부 계파:
반공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과거:
전통적 보수주의
토착민주의

스펙트럼 우익 빅 텐트 (중도 ~ 우파)
대표
원내대표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참의회의원 132석 / 300석 (44.00%)
민의회의원 258석 / 600석 (43.00%)
연방자치단체장 12석 / 26석 (46.15%)
광역자치단체장 46석 / 103석 (44.66%)
주의회의원 2374석 / 4050석 (58.62%)
광역의회의원 6257석 / 10300석 (60.75%)
당 색 연방빨간색 (#CD313A)
연방파란색 (#0047A0)
정책연구소 연방정책연구소
청년조직 청년연방당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당원 수 13,473,795명


개요

대한합중국의 집권 여당.

전신은 자유당을 포함한 대한제국 보수정당의 연정이다. 1차 대전 직후 하노이 봉기로 인해 보수진영에서 연방국가로의 체제 전환을 요구하면서 대한연방 연정을 만들게 된다. 이후 1930년 4월 5일 연정에 참여한 정당 간 합의 하에 단일 정당을 창당하기로 하고, 대한연방당을 창설한다.

기원

대한연방당은 자유당을 공식적인 기원으로 두고 있다. 정확히는 자유당을 중심으로 한국독립당, 전대한연합당 등의 보수정당이 모인 대한연방 연정이 그 기원이지만, 한국독립당을 제외한 정당은 당시 큰 영향력이 없어 자유당 중심으로 기원이 정의되었다. 초기에는 대한국민당도 연정에 참여했으나, 노선 차이로 대한국민당이 연정을 탈퇴하고 한국민주당과 합당한다. 이후 민주국민당의 이승만 보이콧에 반발한 대한국민당 잔여 세력이 대한연방당에 입당하며 한국 보수 세력을 완전히 규합한다. 이때부터 좌우 갈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본다.

현황

성향

대한연방당은 대한합중국의 양당인 정의민주당의 좌익 빅 텐트에 반대되는 우익 빅 텐트를 표방하는 정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