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슈레트 이데아포비아




문서 열람 시 세계관 특성 상 극도록 혐오스럽거나 잔혹하고 민감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저작자는 등장하는 특정 집단, 개인, 사상을 지지하거나 찬양하지 않습니다.
[ 트리거 목록 열기 ]
동물 살해, 살인, 자살 및 자해, 약물사용, 음주 및 흡연, 욕설, 폭행, 고문, 신체훼손, 시체훼손, 식인, 납치, 병리학적 정신증상
가정폭력, 존속살해, 오컬트, 공포, 고어 및 그로테스크, 가스라이팅, 왕따, 광과민성 요소, 멀미를 유발하는 요소, 흉기 및 총기
전쟁범죄, 차별, 신체변형, 교통사고, 강제화된 사상 및 행동



 







신성한 두 땅의 권역
Πⲓⲉⲣⲟⲩ Ⲧⲁⲓ Ⲉⲑⲟⲩⲁⲃ Ϫⲉⲛ Ⲙⲁⲛⲧⲉ






“ Ⲡⲓⲥⲟⲩⲓ ⲣⲉⲙⲛⲭⲏⲙⲓ ⲕⲟⲩⲱⲓ ϣⲏⲣⲉ ⲉⲓ ⲥ̀ⲛⲁⲓ ⲉⲑⲟⲩⲁⲃ ϭⲟⲓⲥ
영원불멸한 태양이 사막을 뒤덮어 두 땅의 주인 되심이라 ”

데슈레트는 신정적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강력한 일인 전제 체제 하에 데슈레트의 모든 시민은 군주인 이텐 넨 타위에게 종교적, 정치적 광신과 충성을 받친다.



RECORD#01
정치



RECORD#01-01
이텐
Ⲓⲧⲉⲛ


이텐은 데슈레트를 다스리는 절대군주로 정식 명칭은 ‘두 땅의 이텐’, 즉 이텐 엔테 타위(Ⲓⲧⲉⲛ ⲛ̀ⲧⲉ Ⲧⲁⲱⲩⲉ)이다. 이텐은 데슈레트의 전권을 쥐고 있는 전제적 절대군주로 이텐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수단은 데슈테르의 제도 상 그 어느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텐의 권위는 의심할 수 없는 신성불가침의 영역에 있는 것인지라, 이텐의 권위를 의심하거나 이텐에 대한 모욕적인 언행과 행동은 즉각적인 처형 대상이다. 단순히 언급하는 것조차 꺼려지며, 이텐의 외모를 묘사하는 것조차도 금기시되어서 매체에서는 이텐의 외모는 밝은 빛무리 정도로 묘사하는 편이다. 또한 이텐은 역사상 한 번도 교체된 적 없기 때문에, 현 이텐이라는 단어 자체가 모순이며, 이텐은 데슈레트의 군주를 칭하는 일반명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단 하나뿐인 이텐을 칭하는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이텐은 평소 얼굴을 보여주지 않으며 보통은 흰색 장막으로 가려 온 몸이 보이지 않지만 심지어 흰 장막 안에서조차 황금가면을 쓰고 얼굴을 가리고 있기에 이텐을 받드는 시종들조차도 이텐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지 못한다.






Copyright 2025. 금태자. All rights reserved.
이곳을 클릭해 라이선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이데아포비아 라이선스



이데아포비아의 이름으로 창작된 모든 형태의 지적재산(이하 "본 저작물")은 금태자(이하 "저작자")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자는 본 세계관과 관련된 모든 저작권, 사용권, 편집권을 포함한 일체의 권리를 소유합니다. 본 저작물에 대한 어떠한 제3자의 권리 주장도 인정되지 않으며, 저작자의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본 저작물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설정, 역사, 문화, 종교, 철학, 지리, 정치 체계 등 세계관 전반.
  • 고유 용어, 개념, 명칭 및 독창적인 표현.
  • 캐릭터, 사건, 조직 등 본 저작물에 기반한 모든 서사적 요소.
  • 고유한 특징을 가진 이미지, 음악, 영상 등.

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저작물에 대한 절대적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으며, 개인적인 감상 및 비공유 목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의 명시적 허가 없이 본 저작물의 요소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본 저작물을 기반으로 한 2차적 저작권, 상표권, 기타 지식재산권의 등록 또한 금지됩니다.

비상업적 2차 창작(팬아트, 팬픽션 등)은 저작자의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를 수익화하는 행위(예: 후원, 광고 게재)는 원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될 경우, 저작자는 경고 후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취할 권리를 가집니다. 또한, 본 저작물에 기반한 설정, 문서, 창작물 등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재배포하거나 수정·배포할 수 없습니다. 출판, 영상화, 게임화 등 본 저작물을 활용한 프로젝트 또한 저작자의 사전 승인 없이 진행할 수 없습니다.

저작자가 직접 발표한 설정만이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며, 제3자가 창작한 콘텐츠는 비공식 설정으로 간주됩니다. 공식 설정과 충돌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저작자는 해당 창작물이 비공식적 성격임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국제 저작권 협약(베른 협약 등)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사용이 적발될 경우, 저작자는 사전 경고 없이도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피해 금액 산정을 포함한 민·형사상 대응을 진행할 권리를 가집니다. 저작자의 동의 없이 본 저작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해당 창작물의 삭제 및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작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저작자가 허가한 영역에 한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제작할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에 사용된 위키미디어 및 CSS 문법, 제이위키에 작성된 문서 자체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제이위키의 CC-BY-SA 3.0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