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아포비아




문서 열람 시 세계관 특성 상 극도록 혐오스럽거나 잔혹하고 민감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저작자는 등장하는 특정 집단, 개인, 사상을 지지하거나 찬양하지 않습니다.
[ 트리거 목록 열기 ]
동물 살해, 살인, 자살 및 자해, 약물사용, 음주 및 흡연, 욕설, 폭행, 고문, 신체훼손, 시체훼손, 식인, 납치, 병리학적 정신증상
가정폭력, 존속살해, 오컬트, 공포, 고어 및 그로테스크, 가스라이팅, 왕따, 광과민성 요소, 멀미를 유발하는 요소, 흉기 및 총기
전쟁범죄, 차별, 신체변형, 교통사고, 강제화된 사상 및 행동



 







대람국
大岚国






“ 黄龙飞天 龙泪成雨 诸方满华
황룡비천 용루성우 제방만화 ”

람은 동방에 존재하는 제국으로 옥제를 그 군주로 둔다. 오랜 역사의 수인들이 사는 제국이었으며,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하지만, 람의 현 상황은 국가 붕괴 직전의 혼란 상황이며, 군벌하며 여러 세력들이 각지에서 이권을 다투며 황실의 권위가 통하지 않는 상황이다.



RECORD#01
정치



RECORD#01-01
옥제
玉帝


람의 옥제는 람을 다스리는 전제군주로 람의 전권을 쥐고 있으며, 람이 숭상하는 ‘하늘(天)’을 떠받드는 존재로, 하늘의 뜻, 즉 천명(天命)을 쥐고 있는 존재로 해석된다. 모든 법률에서 람의 전권은 옥제에게 있다고 명시되지만, 실상은 강력한 제후들과 신하 그리고 여타 세력들에 의해서 휘둘리는 허수아비나 다름 없다. 과거에만 해도 충분히 전제군주로서의 권위가 있었지만, 그 역사는 이제 찬란했던 과거일 뿐이다.

옥제에 대한 경칭은 폐하(陛下)를 사용하며 3인칭으로 칭할 때에는 옥상(玉上)이라는 표현도 사용하는 편이다.

현재 재위 중인 옥제는 영한제(永汉帝)이다.

RECORD#01-01-01
역대 옥제

  • 초대 - 시초조 열산제(始初祖 烈山帝)
  • 3대 - 열조 개세제(烈祖 盖世帝)
  • 18대 - 혜종 희융제(慧宗 禧隆帝)
  • 19대 - 영한제(永汉帝) - 현임



RECORD#01-01-02
사사
四师


사사는 역대 옥제들의 스승이자 정신적 지주로 군자의 덕, 인의예지신, 충효에 대해서 옥제가 아직 태자이거나 태녀일 당시 가르친다. 이들은 람의 건국 이전부터 존재해온 존재들로 일반적인 수인은 아니고, 영물에 가깝다고 전해진다.

사사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태사 성춘철간선사 매향(太師 醒春鐵幹仙师 梅香)
  • 태부 천산유향선사 난곡(太傅 闡山柔香仙師 兰曲)
  • 태보 위령은일선사 국형(太保 慰灵隐逸仙师 菊炯)
  • 태도 천세상춘선사 죽선(太徒 千世常春仙师 竹鲜)

사사는 직접적으로 정치에 개입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도 사사가 태자와 태녀를 가르칠 때를 제외하고 직접 입궐한 경우가 극히 드물게 몇 차례를 제외하고 없으며, 이마저도 국가 규모도 아닌, 초국가적, 즉 대륙규모 이상의 비상 상황이 존재할 때만 직접 조언해왔다.

평상 시에 사사는 초야에 스스로를 묻고 흘러가는 운취와 풍류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이들의 개인 무력도 상당한 수준이기 때문에, 이들을 암살하려는 시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

RECORD#01-01-03
금위
禁衛


금위는 옥제의 개인 근위대를 의미한다. 기존 금의위와 백의위라는 두 집단이 존재했으나,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매우 축소되어 현재의 금위만 남게 되었다. 금위는 의전과 사열의 역할도 하지만, 실제 전투 훈련도 마친 전문 전투요원들이므로 이들의 무력은 상당한 수준이다. 하지만 최근 옥제의 권력 하락과 함께 금위의 무위 수준도 점점 낮아지는 실정이다.

금위는 크게 내금위와 외금위로 나뉘는데, 내금위는 옥제의 바로 옆에서 근접경호하는 이들이며, 외금위는 옥제가 기용할 수 있는 특수부대라고 이해하면 된다. 내금위의 인원은 6명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중 3명 만이 근접경호를 하고 나머지는 교대를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내금위 조차도 다른 세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되려 옥제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 등 현 시국이 좋지 않다.

RECORD#01-01-03-4
명부
命妇


명부는 옥제의 배우자나 외척, 종실 등을 합쳐 부르는 명칭이다. 현 옥제인 영한제가 어린 소녀라 혼약자마저 없는 상태이기에, 현 명부의 지도자는 영한제의 어머니이자 혜종 희융제의 배우자였던 수덕황태후(受德皇太后)이다. 수덕황태후는 십이권벌 중 하나인 인허 진씨 출신으로, 역대 옥제의 배우자가 그러하였던 것처럼 본명은 말소되어 성씨만 남았다. 게다가 인허 진씨가 역대 배출한 황후의 수가 지나치게 많다보니, 특정할 수 있는 공식 명칭은 수덕황태후가 전부다.

명부는 이미 하나의 세력화가 된 지는 오랜 세월이 흘렀다. 특히 영한제의 즉위 이후 이러한 경향은 매우 확대되었으며, 영한제의 나이 탓에 임조칭제 정권인 현 상황 특성 상 수덕황태후의 권한은 영한제의 권한도 압도하는 것이 실상이다.


RECORD#01-02
육부
六部


육부는 람의 내각이다. 육부는 명목상으로 옥제의 직속에 있는 기관들로 이름처럼 여섯개의 부를 합쳐 부르는 이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상국(相国)이 의장으로 있는 추밀문하성(枢密门下省)이 육부의 활동을 조정하므로 상국-추밀문하성-육부 체제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각 부의 수장을 상서(尚书)라고 부르며, 모든 상서는 추밀원의 의원으로 참여한다. 추밀문하성의 의장은 상국이며, 상국은 좌상(左相)과 우상(右相)을 둔다. 의전 상 좌상이 우상보다 높지만, 실질적인 실권은 비등하다.

육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이부(吏部)
  • 호부(户部)
  • 예부(礼部)
  • 병부(兵部)
  • 형부(刑部)
  • 공부(工部)




RECORD#01-03
십이권벌
十二权阀


십이권벌은 람을 지배하는 가장 강력한 권력의 열두 제후가문을 두고 부르는 명칭이다. 십이권벌은 각자의 지역에서 옥제보다도 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 주요 분야에 진출해 강력한 권력을 휘두른다.



RECORD#03
주요 도시와 지역



RECORD#03-01
천수
天水


“ 大岚不夜城
대람불야성 ”




RECORD#03-02
묵해성
默海城







Copyright 2025. 금태자. All rights reserved.
이곳을 클릭해 라이선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이데아포비아 라이선스



이데아포비아의 이름으로 창작된 모든 형태의 지적재산(이하 "본 저작물")은 금태자(이하 "저작자")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자는 본 세계관과 관련된 모든 저작권, 사용권, 편집권을 포함한 일체의 권리를 소유합니다. 본 저작물에 대한 어떠한 제3자의 권리 주장도 인정되지 않으며, 저작자의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본 저작물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설정, 역사, 문화, 종교, 철학, 지리, 정치 체계 등 세계관 전반.
  • 고유 용어, 개념, 명칭 및 독창적인 표현.
  • 캐릭터, 사건, 조직 등 본 저작물에 기반한 모든 서사적 요소.
  • 고유한 특징을 가진 이미지, 음악, 영상 등.

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저작물에 대한 절대적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으며, 개인적인 감상 및 비공유 목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의 명시적 허가 없이 본 저작물의 요소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본 저작물을 기반으로 한 2차적 저작권, 상표권, 기타 지식재산권의 등록 또한 금지됩니다.

비상업적 2차 창작(팬아트, 팬픽션 등)은 저작자의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를 수익화하는 행위(예: 후원, 광고 게재)는 원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될 경우, 저작자는 경고 후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취할 권리를 가집니다. 또한, 본 저작물에 기반한 설정, 문서, 창작물 등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재배포하거나 수정·배포할 수 없습니다. 출판, 영상화, 게임화 등 본 저작물을 활용한 프로젝트 또한 저작자의 사전 승인 없이 진행할 수 없습니다.

저작자가 직접 발표한 설정만이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며, 제3자가 창작한 콘텐츠는 비공식 설정으로 간주됩니다. 공식 설정과 충돌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저작자는 해당 창작물이 비공식적 성격임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국제 저작권 협약(베른 협약 등)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사용이 적발될 경우, 저작자는 사전 경고 없이도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피해 금액 산정을 포함한 민·형사상 대응을 진행할 권리를 가집니다. 저작자의 동의 없이 본 저작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해당 창작물의 삭제 및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작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저작자가 허가한 영역에 한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제작할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에 사용된 위키미디어 및 CSS 문법, 제이위키에 작성된 문서 자체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제이위키의 CC-BY-SA 3.0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