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조(중국어: 武祖, 1368년 12월 6일~1416년 6월 23일)는 재위기간인 1402년부터 1416년까지 동화(東和)를 통치한 군주이다. 안변부사(安邊府使)로 지내던 중, 이성계(李成桂)의 지원과 동북면 주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무인정사(戊寅靖社)로 인한 조선(朝鮮, 1392-1402) 지배층 사회의 혼란으로 인한 민심의 동요와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목으로 임오거병(壬午擧兵)을 일으켰다.

청천강 전투(淸川江戰鬪)에서 이성계가 지원한 가별초(家別抄)[1]를 비롯해 올량합(兀良哈) 등의 여진족의 도움을 받아 이숙번(李叔蕃)이 이끌던 조선 중앙군을 패퇴시키고 한양에 입성하였다. 이후 이방원(李芳遠)이 항복을 선언함으로서 스스로 '동화군왕'(東和君王)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2] 왕위에 오른 후에는 그동안 유지되고 있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3]를 폐지하고 의정부(議政府)를 설치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지기도 했으나, 이서(李舒)를 크게 중용한 이후부터 군약신강(君弱臣强)으로 인한 군신공치(君臣共治)[4]를 야기하여 왕권을 크게 약화시켰다.[5]

각주

  1. 이성계의 개인 사병으로서 역성혁명의 기반을 마련한 군사 조직이다. 동북면 고려인과 귀순했던 여진인들로 구성되었으며, 대략 2천 명에 인원을 상시 유지했다고 한다.
  2. 이방원이성계를 비롯한 전주 이씨(全州李氏) 가문은 무조 치세 동안 세력 기반을 빼앗기고 몰락했으나, 뒤를 이어 즉위한 현종(顯宗)의 구 왕실 복권 정책에 의해 동북면의 성주(城主)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3. 고려(高麗) 후기부터 조선까지 있었던 최고 의결 기관. 고려 초기 도병마사(都兵馬使)의 후신이며 '도당'(都堂)이라고도 한다. 여러 기관의 관원이 회의에 참여하는 관청이며 정무를 아우르는 국가 기관의 역할을 행했다.
  4. 왕과 신하가 함게 나라를 다스림.
  5. 현종(顯宗) 대에는 개국공신이라는 지위와 적장자(嫡長子)라는 정통성을 바탕으로 유례없는 왕권을 휘둘렀으나, 이후 왕들은 세도 정치(勢道政治)에 나선 관료들의 허수아비 노릇으로 전락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