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개요 | |
---|---|
함종 | 경순양함 |
함급명 | 밀류코프 |
이전 함급 | 리보프급 경순양함 |
다음 함급 | 어드미럴 콜차크급 경순양함 |
진수일 | 1923년 6월 24일 |
취역일 | 1925년 11월 18일 |
계획수 | 5척 |
운용수 | 3척 |
침몰수 | 1척 |
특징 | |
배수량 | 6,900 톤 |
적재 용량 | 7,500 톤 |
전장 | 158.4 m (519 ft) |
선폭 | 15.3 m (50 ft) |
흘수 | 5.56 m (18 ft) |
속력 | 29,.5 노트 |
항속거리 | 3,476 nm(노티컬 마일) 6,437 km (16 노트로 순항시) |
승조원 | 640 명 |
무장 | 15 x 130mm(5.1 인치) 55칼리버 단장 포탑 x 15 4 x 63.5mm(2.5 인치) 38칼리버 단장 x 4 4 x 7.62mm AA대공기관단총 2 x 457mm(18 인치) 어뢰 발사관 |
장갑 | 현측 장갑: 25 - 78 mm 함교: 77 mm 갑판: 21 mm 포탑: 26mm |
밀류코프급 경순양함(러시아어: Лёгкий крейсер типа 《Милюко́в》)은 과거 러시아 제국이 운용했던 스베틀라나급 경순양함(Лёгкий крейсер типа 《Светлана》)을 재설계한 경순양함으로서 주포가 긴 사거리와 양호한 탄도를 갖춘 점과 함께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은 함포를 다수 무장한 형태로서 계획된 5척 중 총 3척이 제작되어 운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무렵에는 개조하여 더욱 강력한 대공 방어 체계와 사격 통제 장치를 갖추게 되나 당시 운용된 군함보다 상대적으로 속력에서 밀리는 형세를 보였다.
활동
운용 초기에는 오호츠크 해 소함대(Охот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에 편성되었으나, 이반 코자노프(Иван Кожанов) 사령관을 중심으로 일련의 해군 개혁을 감행함에 따라 아무르 소함대(Амурская военная флотилия)로 재편되었다. 이후에는 타타르 해협 해전, 쿠릴 열도 해전<ref>이 중에서 3번함 아나톨리가 침몰하는 격전을 벌인 바 있다.<ref>에서 활약했으며 키스카 섬 작전 당시에는 보리스 얀코프(Борис Янков) 제독에 작전 기함으로 참여하여 유혈 충돌 없이 다수의 일본군을 구출한 전례도 있다. 종전 이후 1950년대까지 주력 함선으로 활약했으나 1956년부터 훈련함으로 사용되다가 함선의 노후화와 함속 문제 등 여러 악재로 인해 1959년에 스크랩 처리 되었다.
밀류코프급 경순양함 목록
※ 다른 경순양함급과 마찬가지로 인명에서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