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control>Administrators</accesscontrol>
![]() |
이 문서는 스펙터 세계관의 공식 설정입니다. 이 설정에 대한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으며 무단 편집시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스펙터 유니버스 틀이 부착된 문서는 모두 세계관 참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참고해주세요. |
![]() | |
표어 |
Pro Deo et Patria 신과 국가를 위하여. 진리(眞理), 자유(自由), 봉사(奉仕) |
---|---|
건학이념 | 지역과 세계로 열린 교육중시의 연구대학 |
종류 |
황립대학 지방거점황립대학 |
설립 | 1946년 5월 15일 |
제휴 |
![]() ![]() ![]() |
총장 | 금상여제 이주혜 |
부총장 |
교육: 전호환 기획: 우시민 연구: 노맹복 대학원장: 최명인 |
설립자 | 경상남도 (현 부산광역시 분리) |
학교법인 | 황립대학법인 부산대학교 |
학부 수 | 22,168명 |
대학원생 수 | 8,288명 |
교직원 수 | 3,828명 |
국가 |
![]() |
위치 |
부산캠퍼스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양산캠퍼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 밀양캠퍼스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 아미캠퍼스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
규모 |
4 캠퍼스, 13 단과대학, 1 자유전공학부, 1 일반대학원, 7 특수대학원 |
교색 |
녹색 청색 |
“ ”
부산대학교(釜山大學校)는 대한제국의 황립고등교육기관이자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 밀양시에 소재한 종합대학이며, 지방거점황립대학교이다.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장전동)의 부산캠퍼스와 서구 아미동의 아미캠퍼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의 양산캠퍼스,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의 밀양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1946년에 두 개의 학부(지금의 단과대학)로 출발하여 2017년 기준으로 13개의 단과대학, 1개의 대학원, 7개의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대는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의대, 치의대, 한의대, 약대, 법대를 모두 갖춘 대규모의 종합대학이다.
2 역사
1946년 5월 15일 문교부는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승격시켜 종합대학의 수산과대학으로 편입시키고, 그와 별도로 인문과대학을 신설하여 인문계 1개 단과대학과 자연계 1개 단과대학[1]체제의 국립 부산대학교 설립을 인가하였는 데, 학교의 명칭은 ‘부산대학’으로, 학부[2]는 인문학부와 수산학부로 개교하였으며[3] 1946년 7월 예과시험을 거치고, 1946년 8월에는 대학 총장으로 아서 린 베커[4] 박사를 임명하여 1946년 9월 입학식을 거행하고 1년 정도 종합대학으로 운영되었다. 허나 1947년 7월 구 부산수산전문학교 측이 해양대학[5]의 예를 들어 수산교육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주장하며 "국립 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됨으로써 종합대학으로써 '국립 부산대학교'는 사실상 와해되었다. 1948년 7월 '국립 부산대학교 인문과대학'의 명칭을 '국립 부산대학'으로 변경한 뒤 1948년 9월 문리학부, 법학부, 상학부 3개의 학부를 설치하고 4년제 대학으로 운영되다가 그 후 1953년 4월 1일에 국립 부산대학교설립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고, 4월 3일 황제의 재가를 받아 같은 해 9월15일 국립학교설치령이 공포됨에 따라 다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총장으로 같은 해 11월 26일 윤인구 박사가 취임하였다.
허나 5.16 군사정변을 겪으면서 학교재정이 악화되자, 이에 황실에서는 문교부와의 협의 끝에 부산대학교를 황립법인으로 만들면서, 최종적으로 황립대학의 형태를 띄게 됐다.
3 학부
4 역사
5 교통
6 트리비아
- 부산대학교의 입결은 과거 연고대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가끔 한성대를 붙고도 오는 학생이 있었고, 지금도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는 큰 위상을 자랑한다.
- 과거 운동권 세력이 가장 강했던 학교이기도 하다. 현재 수도권 대학들의 총학생회가 비운동권 성향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총학생회의 성향이 아주 뚜렷하다. 부림사건과 같은 공안조작의 피해자가 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