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실용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실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수정이나 왜곡은 불가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수정이나 왜곡은 불가합니다.
록 음악의 장르 | |||
---|---|---|---|
로큰롤 | 서프 록 | 포크 록 | 사이키델릭 록 |
블루스 록 | 하드 록 | 헤비 메탈 익스트림 메탈 글램 메탈 |
프로그레시브 록 크라우트록 |
팝 록 | 소프트 록 | 루츠 록 | 재즈 록 |
펑크 록 뉴웨이브 |
얼터너티브 록 브릿팝 |
익스페리멘탈 록 | 글램 록 |
블루스 록 Blues rock | |
---|---|
등장 시기 | 1960년대 초중반 |
전성기 | 1970년대 후반 - 1970년대 중반 |
국가 | ![]() |
상위 장르 | 록 음악, 블루스 |
관련 장르 | 루츠 록, 사이키델릭 록 |
파생 장르 | 하드 록, 헤비 메탈 |
주요 음악가 | 에릭 클랩튼, 애니멀스, 지미 헨드릭스, 비틀즈, 롤링 스톤스, 레드 제플린, 에어로스미스, 로리 갤러거, 개리 무어 |
개요
"Brown Sugar", The Rolling Stones (1971) |
---|
블루스 록(Blues rock)은 1960년대 초중반 영국의 블루스 기타리스트들이 블루스 음악의 구조를 록 음악에 접목시킨 장르를 뜻한다.
역사
음악적 특징
레드 제플린의 "Whole Lotta Love" (1969). 블루스 록이 헤비 메탈로 넘어가는데에 있어서 상당히 큰 영향력을 행사한 곡이다.
로리 갤러거의 "Shadow Play" (1978). 이쪽은 좀 더 근본에 가까운 블루스 음악을 들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