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연표 프로젝트(영어: Timeline Project Ernst)는 세계관을 보다 세세하고 견고히 작성하기 위한 연습장이자, 집필자[1]만이 사용하는 문서이니, 다른 사람의 편집은 금지하며, 저작권이나 구독에도 주의하십시오.
1 1945년
- 8월 15일
- 8월 19일
- 8월 21일
- 8월 22일
- 8월 29일
- 미군, 일본 본토에 진주.
2 1946년
3 1947년
4 1948년
5 1949년
6 1950년
7 1951년
8 1952년
9 1953년
10 1954년
11 1955년
12 1956년
13 1957년
14 1958년
15 1959년
16 1960년
17 1961년
18 1962년
19 1963년
20 1964년
21 1965년
22 1966년
23 1967년
24 1968년
25 1969년
26 1970년
27 1971년
28 1972년
29 1973년
30 1974년
31 1975년
32 1976년
- 1월 2일 - 동독군, 브라운슈바이크 작전 개시
- 1월 26일 - 신 독일 정부, 독일-뉘른베르크 제일법, 제정
33 1977년
34 1978년
35 1979년
36 1980년
37 1981년
38 1982년
39 1983년
40 1984년
41 1985년
42 1986년
43 1987년
- 1월 3일 - 독일 국가 첩보 기관(NIA), 소련에서 동독으로 전달되는 기밀 문서를 가로챔 (소련군 0급 기밀, 카토비세 공세안)
- 6월 15일 - 안트베르펜 회담 개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호주)[2]
- 11월 - 미국, 독일에 에이브람스 전차 4,000대, M-16 소총 80,000필 지원
- 11월 20일 - 비그리드 작전; 프랑스, 독일에 8만 여명의 병사 지원 확정
- 12월 2일 - 비그리드 작전; 영국, HMS 인빈시블(R-6 해상 타격대), HMS 아크로열(R-7 해상 타격대)을 북해에 배치
- 12월 15일 - 비그리드 작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군사 고위급 장성 회의에서 각 공군에게 목표가 배정
- 12월 26일 - 미국, USS 니미츠(제68 기습전단), USS 아이젠하워(제69 기습전단)을 구성하여 북대서양을 거쳐서 북해로 파견
44 1988년
- 1월 5일 21시 - 비그리드 작전; 미국 제68, 69 기습전단이 작전 위치에 배치
- 1월 5일 22시 - 비그리드 작전; 독일 제일 전략 전술부(TS)는 작전 일자를 1월 6일로 결정
- 1월 6일 07시 - 비그리드 작전; 지즈 공세 1차 공세 시작
- 2월 23일 - 비그리드 작전의 종료
- 2월 28일 - 제 3차 국제 살상무기 제한 및 군축 조약 체결
- 3월 2일 - 비보가 들려왔다.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제제안 통과
- 3월 13일 - 코뢴옹스타크 작전; 모든 부대가 배치, 최상위 보안 상태 발령
- 3월 15일 - 코뢴옹스타크 작전; 작전 개시
45 1989년
46 1990년
- 12월 22일 독일과 일본, 독-일제국동맹조약 체결
47 1991년
48 1992년
49 1993년
50 1994년
51 1995년
- 3월 17일
- 라 아바나에 평화 국제군이 진주
- 일본의 이케하라 천황과 독일의 토비아스 장관, 독-일 연합령 해체 선언
52 1996년
53 1997년
54 1998년
55 1999년
56 2000년
- 8월 31일 - 제3차 세계 대전; 독일 제국 항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