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
스웨덴 대공국 Grand Duchy of Sweden Storfurstendömet Sverige | ||||||||||||||||||||||||
---|---|---|---|---|---|---|---|---|---|---|---|---|---|---|---|---|---|---|---|---|---|---|---|---|
국기 | 국장 | |||||||||||||||||||||||
신뢰로써 나아간다 Vidare genom tro | ||||||||||||||||||||||||
상징 | ||||||||||||||||||||||||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is | ||||||||||||||||||||||||
국가 코드 | ||||||||||||||||||||||||
352, IS, ISL | ||||||||||||||||||||||||
국제 전화 코드 | ||||||||||||||||||||||||
+354 | ||||||||||||||||||||||||
개요
노르웨이와 동군연합을 체결한 국가. 2025년 1월 22일 전자정부가 출범했다.
역사
88 랜드 ~ 아이슬란드 공국
영토를 헌납한 88의 이름을 붙여 지은 '88 랜드'의 영토에 스웨덴 대공국을 2025년 1월 23일 출범시켰다. 사실 본국과 88랜드는 왕래가 거의 없다시피 했는데, 제2차 김명박 내각 시절 김명박 총리가 2023년 11월 19일 김사부 과학 기지를 내방한 것 외에는 드물었다.
그리하여 명맥을 이어오다, 전자정부관리실에서는 88랜드를 아이슬란드 공국으로 그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였고, 2025년 1월 16일 본격적으로 제1회 전자정부관리회의를 거쳐 속령 설정변경을 공식적으로 의결하였다.
그러나, 아이슬란드 공국의 자치권 문제와 관련해 아리프 알비 공작과 본국 정치권 사이 간 다툼이 벌어졌다. 아리프 알비 공작은 노르웨이가 통치하는 영토에 관한 법률(이하 영토법)이 공국 헌법 간 충돌을 일으킨다면서, 입법과 행정, 외교 전영역에 걸친 고도의 자치권 보장을 요구했다. 이는 리틀 당시 외무장관이 본국의 법률인 영토법을 게시함으로써 공국의 자치정부가 유감을 표명한 것에 감정이 실린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결정타로, 본국에서 의원직을 맡고 있던 당시 미미혁신당의 이미미가 아이슬란드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폐지하자는 주장을 펼쳐 아리프 알비는 아이슬란드 공작직에서 자진 하야하였다. [1]
스웨덴 대공국
전자정부관리실은 기존 아이슬란드 공국의 설정 변경을 과감히 결정했고, 이를 대공국으로 격상하여 스웨덴 대공국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2025년 1월 22일 스웨덴 대공국과 노르웨이 왕국은 공식적으로 동군연합의 결성을 천명하며, 기존 노르웨이 왕실은 연합왕국 왕실을 겸하게 되었다.[2]
2025년 1월 23일 국왕 테오필리스는 아리프 알비를 스웨덴 대공국의 초대 대공으로 봉하면서, 다시금 자치권을 아리프 알비가 행사하게 되었다. 그리고 헌법을 선포하며 건국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얼마 못가 또다시 자치권의 질곡에 빠지게 되었는데, 스웨덴 대공국의 자치권을 더 보장받고 싶었던 아리프 알비는 자신의 밴드를 스웨덴 대공국의 산하국으로 두는 등 계속해서 엇나가는 행동을 보였고 본국의 의원 다수와 정치권, 그리고 행정각계와 의견 차를 보이며 끝내 2025년 1월 27일 대공 임기 4일차 되던 때 돌연 스웨덴 대공국 전자정부와 본국의 전자정부를 탈퇴하며 사망하게 되었다.
초유의 공백사태의 시기에 2025년 1월 31일 에르빈을 주축으로 시민 다수가 모여 스웨덴 대공국 구국위원회를 궐기하였다.[3] 또, 전자정부관리실은 이를 바탕으로 대공국을 모의전 체계로 전환하였다.
2025년 2월 21일, 국왕 테오필리스는 앙겔라 메르켈을 제2대 대공으로 봉하고, 기존 사태를 수습하게 함으로써 공백사태를 종식시켰고, 다음 날인 22일 스웨덴 대공국 구국위원장인 에르빈은 구국위원회의 해산 선언을 하였다.
정치
스웨덴 대공 |
---|
[ 펼치기 · 접기 ]
|
경제
외교
사회
문화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