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주요 문서 ]
[ 국가 소개 ]
당신의 달 같은 국가, 노르웨이
밴드 가상국가 지성의 총집인 노르웨이, 그 중심엔 국민이, 여러분이 - 모든면에서 다른 국가를 압도하는 파워가 다릅니다. Since. 2020 |
이 문서는 가상국가 노르웨이 왕국의 공식문서입니다.
관계자 외의 사용자께서는 수정 자제 부탁드립니다. |
| ||
[ 펼치기 · 접기 ]
|
노르웨이 내각 Det norske kabinettet | The Cabinet of Norway | |
---|---|
국가 | |
수립일 | 1814년 3월 2일 (1814년 내각) |
출범일 | 2020년 2월 4일 (전자정부 수립) |
설립근거 | 노르웨이 왕국 헌법 (제62조 - 75조) |
정부수반 | 노르웨이 총리 |
행정조직 | 5부 2청 |
링크 | ![]() |
개요
2020년 2월 4일 전자정부 수립 이후 현재까지 존속해온 노르웨이 왕국의 국가통치조직을 말한다. 노르웨이 내각의 중심 역할은 총리실이 담당하고 있으며, 최초의 노르웨이의 내각은 1814년 내각이다.
정부 상징
정부기 | 정부 상징 |
---|
국가행정조직
| ||
5부 2청 [ 펼치기 · 접기 ]
|
내각 구성
| ||
[ 펼치기 · 접기 ]
|
목록
노르웨이 내각 |
---|
[ 펼치기 · 접기 ]
|
노르웨이 왕국에서 체제로 불리우는 것은 실제 대한민국의 몇공화국 할때 공화국과 같은 개념으로, 헌법의 개정 또는 사회적 큰 변화로 인하여 국가체제가 바뀌었을 때 체제가 바뀌었다고 정의한다.
다만, 이 문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편의상 사용한 것으로 위키상으로 실제 법적인 효력은 없다.
노르웨이 제1체제
역대 노르웨이 제1체제 내각 | ||||
---|---|---|---|---|
대수 | 총리 | 내각 | 존속기간 | 비고 |
1 | 마크롱 | 마크롱 내각 | 2020. 02. 04. ~ 03. 15. | |
2 | 이승배 | 제1차 이승배 내각 | 2020. 3. 15. ~ 4. 21. |
- 존속기간 : 2020년 2월 6일 ~ 2020년 4월 14일
- 해당되는 개헌 차수 : 1차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 국왕 : 하랄 5세, 하랄 6세
- 총리 : 마크롱, 이승배
- 주요사건 :
노르웨이 제2체제
역대 노르웨이 제2체제 내각 | ||||
---|---|---|---|---|
대수 | 총리 | 내각 | 존속기간 | 비고 |
2 | 이승배 | 제1차 이승배 내각 | 2020. 3. 15. ~ 4. 21. | |
3 | 제2차 이승배 내각 | 2020. 4. 21. ~ 5. 22. | ||
4 | 박춘식 | 박춘식 내각 | 2020. 5. 22. ~ 6. 21. | |
5 | 이승배 | 제3차 이승배 내각 | 2020. 6. 21. ~ 7. 11. | |
6 | 이재용 | 이재용 내각 | 2020. 7. 11. ~ 7. 17. | [1] |
- | 김사부 | 김사부 권한대행 체제 | 2020. 7. 11. ~ 8. 13. | |
7 | 김명박 | 제1차 김명박 내각 | 2020. 8. 13. ~ 9. 08. | [2] |
- | 최격호 | 최격호 권한대행 체제 | 2020. 9. 8. ~ 9. 14. | |
8 | 이사미 | 제1차 이사미 내각 | 2020. 9. 14. ~ 10. 31. | |
9 | 김사부 | 김사부 내각 | 2020. 10. 31. ~ 2021. 1. 28. |
- 존속기간 : 2020년 4월 15일 ~ 2020년 12월 18일
- 해당되는 개헌 차수 : 2차, 3차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 국왕 : 하랄 6세, 에이리크 3세, 오스카르 3세, 마르그레테 2세, 이무현 (왕호 미상), 루이스 크리스토페르
- 총리 : 이승배[3] 박춘식, 이재용, 김명박, 이사미, 김사부
- 주요사건 :
노르웨이 제3체제
역대 노르웨이 제3체제 내각 | ||||
---|---|---|---|---|
대수 | 총리 | 내각 | 존속기간 | 비고 |
9 | 김사부 | 김사부 내각 | 2020. 10. 31. ~ 2021. 1. 28. | |
10 | 이승배 | 제4차 이승배 내각 | 2021. 1. 28. ~ 2. 27. | |
11 | 리틀 | 리틀 내각 | 2021. 2. 28. ~ 2023. 7. 24. | |
- | 이미미 | 이미미 권한대행 체제 | 2022. 12. 31. ~ 2023. 6. 18. | [4] |
- 존속기간 : 2020년 12월 19일 ~ 2023년 7월 23일
- 해당되는 개헌 차수 : 4차, 5차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 국왕 : 루이스 크리스토페르, 프레데리크 7세, 올라프 6세, 하랄 7세
- 총리 : 이승배, 리틀
- 주요사건 :
노르웨이 제4체제
역대 노르웨이 제4체제 내각 | ||||
---|---|---|---|---|
대수 | 총리 | 내각 | 존속기간 | 비고 |
12 | 이사미 | 제2차 이사미 내각 | 2023. 7. 27. ~ 10. 29. | |
13 | 김명박 | 제2차 김명박 내각 | 2023. 10. 30. ~ 2024. 1. 30. | |
14 | 김희성 | 김희성 내각 | 2024. 1. 31. ~ 3. 17. | |
15 | 이승배 | 제5차 이승배 내각 | 2024. 3. 18. ~ 6. 7. | |
16 | 을파소 | 을파소 내각 | 2024. 6. 8. ~ 8. 25. | |
17 | 이미미 | 이미미 내각 | 2024. 8. 30. ~ 11. 29. | |
18 | 이사미 | 제3차 이사미 내각 | 2024. 11. 30. ~ 2025. 1. 24. | |
19 | 리틀 | 제2차 리틀 내각 | 2025. 1. 25. ~ 2. 25. |
- 존속기간 : 2023년 7월 24일 ~ 2025년 2월 25일
- 해당되는 개헌 차수 : 6차, 7차, 8차
- 정부형태 : 의원내각제
- 국왕 : 하랄 7세, 호콘 8세, 마르그레테 3세, 테오필리스
- 총리 : 이사미[5], 김명박, 김희성, 이승배, 을파소, 이미미, 리틀
- 주요사건 :
- 2023년 12월 9일 : 노르웨이-테티스 전쟁 발발
- 2023년 12월 9일 : 노르웨이-테티스 전쟁 발발에 따른 김명박 총리의 전국 비상계엄 선포
- 2023년 12월 17일 : 중앙군사법원 판결에 의한 여적죄의 죄명으로 도비 국내 사형 선고
- 2023년 12월 31일 : 법인 부동산 보유 의무제를 골자로 하는 총리 긴급재정경제명령 발표
- 2024년 3월 22일 : 부흥당 분당 파동
- 2024년 8월 1일 : 부흥 양당 통합 (여소야대 정국 형성)
- 2024년 8월 8일 : 제11대 노르웨이 의회 해산
- 2024년 9월 1일 : 이사미-을파소 갈등 발생. 을파소 전 총리의 전향으로 인해 야권의 정계개편이 이뤄졌다.
- 2024년 9월 24일 : 내각조직법 개정에 따른 내각조직 대개편
- 2025년 1월 16일 : 제13대 노르웨이 의회 해산
노르웨이 제5체제
역대 노르웨이 제5체제 내각 | ||||
---|---|---|---|---|
대수 | 총리 | 내각 | 존속기간 | 비고 |
19 | 리틀 | 제2차 리틀 내각 | 2025. 2. 26. ~ 4. 24. | |
20 | 김명박 | 제3차 김명박 내각 | 2025. 4. 25. ~ 현재 |
여담
- 현재 업무지시, 회의, 내각의 소통창구로 쓰이는 내각청사 채팅방은 제2차 이사미 내각이 출범한 2023년 7월 27일 개설된 것으로 총리가 바뀔 때마다 내각청사 채팅방이 바뀐 이전과 달리 오래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