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이 문서는 해루 세계관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시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해루사회주의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 | |||||||
---|---|---|---|---|---|---|---|
예화 특별행정구 豫華遐特別行政區 Yehwa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 |||||||
| |||||||
神은 吾와 在하신다。 신은 우리와 함께 계신다. | |||||||
언어별 명칭 | |||||||
일본어 | |||||||
러시아어 | |||||||
한국어 | 예화 특별행정구 | ||||||
상징 | |||||||
국가 | 예화 보국가 | ||||||
위치 | |||||||
역사 | |||||||
수도 | |||||||
예성자치시 | |||||||
면적 | |||||||
km2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2개 자치시, 12개 자치구 1개 군사주둔특구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ISO 3166-1 | |||||||
YS, YSR | |||||||
도메인 | |||||||
행정구역 한자 약칭 | |||||||
華 | |||||||
국제 전화코드 | |||||||
+87 | |||||||
여행 경보 | |||||||
특별여행주의보 | 전지역 (코로나 19) |
개요
해루사회주의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2021년 11월 20일 예화국이 해루에 정복되면서 해루의 일반적인 행정구역으로 편입이 고려되었으나 현지인들의 반발과 국제사회에 시선에 부담을 느낀 박단아의 제의로 공화국회의에서 특별행정구 설치법이 통과되면서 2021년 12월 2일 정식적으로 출범하였다.
온성특별행정구와는 달리 해루의 대통령의 승인 없이도 치안력을 행사할 수 있고 해루에 적대하지 않는 자유로운 정치 활동 및 별도의 정당활동이 보장되는 등 상당한 자치권이 주어졌다.
상세
수도는 예화자치시이며 특별행정구 총인구는 2023년 기준 10,354,954명.
해루-예화 5시간 전쟁에서 패전 직후 해루 인민군에 의해 예화 국가방위군이 해체되면서 예화 경무처가 예화의 경찰 및 군대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군사특구를 중심으로 해루 인민군과 해루 내무군이 '불온세력 소탕'이라는 명목으로 주둔하고 있다.
행정구역
특별행정구 정부청사가 있는 예화자치시를 포함하여 2개의 자치시와 12개 자치구, 해루 내무군의 예화 특별행정구 주둔사령부가 배치된 1개 군사주둔특구로 나뉘어 있다.
2개의 자치시와 12개의 자치구는 각각 시의회와 구의회를 선출할 권한을 가진다. 시의회와 구의회는 전적으로 지역구 의원들로만 구성되며, 의석수는 인구에 비례해 배정된다. 자치시의 경우 시장을 행정장관이 임명하지만 구의회에서 과반을 차지한 정당에서는 구장을 선출하며, 구장이 약 4년간 구정(區政)을 이끌게 된다. 시의회와 구의회는 4년에 한번씩 돌아오는 전국동시지방공직자선거로 선출되며 가장 최근의 선거는 2022년 2월 1일 실시된 제1회 예화특별행정구 전국동시지방공직자선거였다.
일반 자치구와 달리 군이 주둔하여 민간인의 거주 및 출입이 통제된 지역도 존재한다. 이 지역은 1곳이 존재하며 해루 인민군과 해루 내무군이 주둔하고 있다. 이 지역에도 구의회 의원들을 선출하지만 지역 통제권은 전적으로 해당 지역에 주둔하는 해루 인민군과 내무군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