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이 문서는 해루 세계관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시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해루사회주의인민공화국
海樓社會主義人民共和國
Саэра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СНР)
Socialist People's Republic of Saera(SRS)
국기 국장
인민은 조국을 위해 헌신하고, 조국을 위해 희생한다。
상징
국가 인터내셔널가 / 해루 애국가
국조
송골매
국화
매화
위치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적경특별도 (赤京特別都)
최대 도시
적경특별도 (赤京特別都)
면적
125,892㎢
접경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37,073,726명
18,853,145명(본토)
7,865,627명(온성특별행정구)
10,354,954명(예화특별행정구)
밀도
294.2명/km2
인종
해루인 84%, 한국인 8%, 중국인 4%, 일본인 2%, 기타 2%
출산율
2.95명
기대 수명
84세
공용어
해루어
지역어
표준 중국어, 일본어
공용 문자
한글(국한문혼용)
종교
국교
국가무신론
분포
무종교 90%, 가톨릭 5%, 개신교 3%, 기타 종교 2%
군대
해루인민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특별도
1특별도
광역자치구역
3일반시, 3자치시, 2특별행정구
중급자치구역
18구, 13군
기초자치구역
읍/면/동/리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민주집중제, 일당독재, 제한적 다당제(하원에만), 양원제(공화국회의/민족회의), 사회주의, 단일국가, 세습제
민주주의 지수
5.99 (혼합체제)
국가 원수 (대통령)
박단아 (朴緞芽)
정부
요인
각료평의회 의장
이강태 (李康泰)
각료평의회 총리
정아라 (鄭亞羅)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정기룡 (鄭杞龍)
국가부주석
박동근 (朴同近)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사회주의적 시장경제체제(신세대 해루식 사회주의)
GDP
(PPP)
전체 GDP
$ 2,492,212,982,378
1인당 GDP
$ 67,240
GDP
(명목)
전체 GDP
$ 1,282,507,538,854
1인당 GDP
$ 34,514
무역
수입
$ 427,862,000,000
수출
$ 501,865,000,000
예산
세입
18,853,145,583,770 SRH
세출
16,535,415,004,551 SRH
외환 보유고
$ 9,294억
신용 등급
무디스 Aa3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해루 환
ISO 4217
SRH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해루력
시간대
UTC+9(해루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49년(~1956년), 1995년
북한: 1953년
UN 가입
1956년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ccTLD
.sr, .해루
국가 코드
SRS, HR, SR
전화 코드
+87
여행 경보
[ 펼치기 · 접기 ]
특별여행주의보
전 지역 (코로나19)

개요

해루사회주의인민공화국 (영어: Socialist People's Republic of Saera) 또는 해루 영어: 聖華国 Saera[*])은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사회주의 섬나라이다.

수도는 적경특별도, 최대도시는 청성자치시이며 현재 국가원수는 해루 공산당박단아 대통령 겸 국가주석이다. 다만 국가원수의 나이가 너무 어린 관계로 실질적인 국정운영은 모친 김지원 해루 공산당 정치국 상무국원과 해루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겸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 부주석인 정기룡이 맡고 있다.

소련 붕괴 이후 해루사회주의인민공화국은 사회주의 진영의 맹주이자 소련의 후계국가, 이 세계에서 유일한 사회주의 지상낙원을 주장하고 있다.

상징

국호

해루의 국명은 중국식 해루어로 '카이루오'(海樓)에서 유래되었다. '바다의 누각'이라는 의미인데 해루인들이 섬에 처음으로 발을 들일 때 해신들이 머물고 간 터에서 생활했다는 설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공식적인 영문 명칭은 Saera인데 '동쪽에 있는 국가'라는 의미로 기원후 50년에 한반도 계통의 이주민에 의해 건국되어 1323년 역성혁명으로 멸망한 새라국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국기

공화국혁명기
共和國旗

별다른 명칭 없이 '공화국기'나 '공화기혁명기'라고 불린다. 파란 부분은 해루의 드넓은 해양자원을, 빨간색 부분은 혁명과 진취를 상징하며 흰 선은 팔괘 중 건(乾)을 의미한다.

국장

공화국 국장
共和國 國章

별다른 명칭 없이 '공화국 국장'으로 불린다. 본래 해루공산당의 문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1935년 제정되었다. 1945년 섬 모양을 미세하게 개정하면서 국장 가운데에 있는 섬을 해루본도이라고 규정하였다. 그 아래의 새는 해루의 국조인 송골매이다. 자와 컴퍼스는 지식인을, 벼 이삭은 '농업과 인민'을 상징한다

국가

국화

역사

1940년 일본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잠깐 일본의 점령기간을 거쳤으나 일본의 패망 직전인 1945년 7월 29일 임시정부 육군이 수도인 황경특별도를 수복하면서 독립을 맞이했으나 곧바로 미군이 진주하면서 한반도와 더불어 미국의 신탁통치가 시작되었다.

신탁통치 기간 동안 입헌군주제를 유지할지 공화제를 채택할지 각계각층에서 갑론을박이 오갔으나 당시 국민적 지지를 한몸에 받던 황실을 내치기에는 부담을 느낀 미군정 산하 정부수립준비위원회는 천제를 중심으로 하는 입헌군주체제로 가닥을 잡았고 1949년 3월 17일 임시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정윤재가 초대 총리로 선출되면서 미국의 신탁통치를 끝내고 정부가 수립되었다.

하지만 정윤재 총리의 좌익에 대한 숙청에 좌우익의 대립이 심화되었는데 급기야 황경특별도에서 열린 좌우익합작촉구대회에서 경찰이 민중을 향해 발포한 9월 피의 월요일 사건이 발생하면서 그야말로 해루에서의 좌우익 대립은 임계치를 넘어 폭발했다. 해루 공산당은 이를 이용해 세력을 넓히는데 성공하여 1952년 10월 22일 폭동을 일으켜 정윤재 총리를 피살하고 수도 황경을 점령했다.

1956년까지 피비린내 나는 내전 끝에 자유해루의 임시 수도였던 온성행정시가 공산군의 손에 넘어가면서 해루 군주국은 항복을 선언, 공산주의 세력이 승리함에 따라 해루는 적화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있다.

박유성 국가주석의 10개조 선언을 계기로 2001년 총선에서 민주계열 정당인 신민당, 국민자유당이 대거 약진하여 신민당의 이해창 의원이 각료평의회 부주석에 선출되어 첫 비공산당 민주계열 정당의 각료평의회 부주석이 탄생하게 되었다. 각료평의회 부주석 직책이 총리로 변경된 이후 2022년 현재까지 신민당은 각료평의회 총리 자리를 빼앗기지 않고 있다. 하지만 신민당이 내세운 신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사실상 실패하고 이를 박유성 대통령과 공산당이 수습하게 되면서 박유성 대통령의 국정운영지지율과 호감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완전한 민주화는 좌절되었다.

자연환경

기후

지하자원

1980년 해루 상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셰일가스, 석유, 메탄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여 상당한 지하자원이 성해루에 매장되어 있다고 추정했다. 실제로 1989년 상무부와 적경인민대학교, 청성인민대학교 포함한 4개 국립대학의 합동조사를 통해 해당 내용이 사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해루의 석유 매장량은 165,983백만 배럴, EIA 기준 세계 원유 매장량 4위를 자랑한다. 특히 안남자치시 남부 해역과 운봉자치시 전역에 석유 자원이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다.

인문환경

인구

해루인

해루 국적을 가진 사람을 해루인(海樓人)이라고 한다. 한국계 해루인이나 일본계 해루인, 화교의 인구도 꽤 된다.

심각한 여초 문제

해루인들은 생물학적 돌연변이 특성으로 인해 남아 출생율보다 여아 출생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데 거기다 남아의 해외유출까지 더해져 해루는 유소년층부터 여초사회를 이루고 있다.

1980년 적경인민대학교 진선규(陳瑄揆) 진화생물학 교수에 의해 대략 서기 10년을 전후로 '어떠한 이유'로 인해 해루인들의 유전자 정보에 돌연변이가 생겼으며 해당 돌연변이가 자연선택되어, 남성이 출산될 확률이 줄어들었다는 주장이 처음 제기되었다. 아직까지는 그 원인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는 가설이기에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000년대에 이르러 민관의 각종 노력에 전체 인구를 급증시킴과 동시에 겨우 3:7까지 성비를 맞추는데는 성공한 상황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남아출산율 자체는 계속 저점을 찍으면서 성비 격차는 더 벌어지기 시작했고 급기야 2022년에는 남녀 출생 성비가 57명까지 떨어지면서 그야말로 해루 정부는 비상이 걸렸다.

동양권 미남미녀들의 나라

전세계적으로 해루는 동양권 미녀의 나라라는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다.

해루인의 특성상 나이에 비해 동안인 여성들이 많고 몸의 체모가 매우 적은 편이기 때문에 해루인을 모델로 찾는 수요는 꽤나 많다. 때문에 전문 패션모델을 비롯해 쇼핑몰, 홈쇼핑 모델, 누드모델, 각종 행사 도우미 등으로 많이 활동하곤 한다. 미녀만큼이나 미남도 굉장히 많고, 역시 국내에서 모델 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평균수명

언어

법적으로 정해진 공식적 언어는 없었으나 사실상 해루어가 공용어 역할을 하면서 주로 사용되었다.

종교

해루는 '신을 주장하는 자는 어리석은 자'라는 레닌의 말에서 알 수 있듯, 공식적으로 무신론을 내세우고 있으며 종교청을 설립하여 여러 종교를 탄압하는 정책을 고수했다. 하지만 2000년 해루 정치위기를 거치면서 10개조 선언을 통해 종교에 대한 규제를 일부 해제하면서 종교의 자유화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개신교, 천주교, 불교, 유교가 허용되어 있다.

교통

사면이 바다에 둘러싸인 섬 국가 특성을 가진 해루는 해상교통과 항공교통 모두가 발달했고 철도시스템을 포함하는 육상교통의 경우에는 일본 다음으로 유명하다.

경제성장기에는 도로 교통과 해운 교통을 중점적으로 발달시켰다. 그러다가 '철도체계구축현대화계획'이 발표되면서 본격적으로 철도 교통에도 대대적인 투자가 진행되었고, 동시에 항공 산업을 위한 공항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서 적경특별도제1국제공항, 청성국제공항 같은 대규모 허브공항이 나왔다.

해상교통

해루의 해운산업은 해루의 지리적 상황에 의해 항공산업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막대한 보조를 받으며 세계 각지의 크고 작은 해운사들을 인수하면서 엄청난 규모로 성장했다.

항공교통

해루는 섬 국가인 관계로 외국으로 가기 위해서 항공은 필수적인 존재이다.

철도

철도교통 자체가 국영기업이 운영하고 있다. 해루의 모든 철도를 총괄하는 해루철도공사 (海樓鐵道公社)가 있고 도시철도가 있는 지역에 지역별 도시철도공사를 자회사로 두고 지자체와 지분을 나눠서 운영하고 있다.

도로

해루의 고속도로는 민자노선 없이 전 구간을 도로교통관리공사 (道路交通管理公社)가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국토교통법, 국토교통법 시행령). 한국처럼 국토 면적에 비해 매우 촘촘하게 고속도로망이 짜여져 있으며, 대부분의 노선이 왕복 4차로 이상이다.

교육

초중등교육

해루에서는 초등학교를 소학교라고 한다. 모든 초등학교가 성별 관계없이 다니는 한국과는 달리, 해루는 초등학교도 남녀별학(男女別学)문화가 강해서, 해루의 초등학교 중에는 남학교, 여학교도 있다.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남녀별학 문화가 더 철저해져서 한국과 일본 같은 남녀공학 학교가 드물다. 물론, 남녀공학 시행하는 학교는 있는데 주로 수도권 소재 학교들이 그렇다.

해루의 학제는 소학교(6년), 중학교(3년), 고등학교(3년)으로 대한민국 및 일본과 동일하고 취학연령도 같다. 만 나이를 쓰기 때문에 취학기준을 생년월일 기준으로 3월 2일 ~ 3월 1일로 보고있다.

고등학교는 대부분 지역에서 고등학교 평준화 제도를 실시중이다. 하지만 완벽하게 평준화 시스템이라고는 볼 수 없는게, 국제고, 외고, 과학고 등 특수목적인재양성고등학교와 자율형기숙학교(=한국의 자사고) 등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영재학교도 존재하며, 기술특성화고교도 있다.

명문 중고등학교 중에는 대학입시에 가까울 정도로 빡센 입시를 치러야 입학할 수 있는 곳도 있지만, 역으로 미달 나는 곳도 많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입시에서 재수하게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한국처럼 중고일관교 시스템이 없는 국가에 속하며 인문계 명문 고등학교 외에 국제고, 외고, 자율형기숙학교 등은 평준화 시스템 아래 있는 일반고와는 별도의 입학 시험을 거쳐 학생을 선발하며, 때문에 이들 특수목적인재양성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위한 치열한 고등학교 입학 경쟁이 일어난다.

해루에서는 영어는 소학교 2학년, 과거 소련과의 관계 때문에 러시아어를 준공용어로 지정했기 때문에 러시아어를 소학교 3학년부터 배운다. 특히 영어의 경우 한국과 일본의 문법 중심의 고리타분한 영어가 아닌 실용영어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결코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건 러시아어 교육도 마찬가지다. 최근들어 국제화 시대에 발을 맞춘다는 정부의 '국제화에 따른 외국어교육지침'에 따라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4기능을 모두 측정하는 영어교육과 러시아어교육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등 사소한 변화가 보이고 있다.

수학의 경우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순차적으로 '새천년 교육과정 개편사업'을 실시하면서 고교과정까지의 학습분량은 한국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한국에서는 문과생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벡터를 하지 않지만 해루는 문과수학에 포함된다. 한국에서는 안 배우는 체바 정리와 메넬라오스 정리와 복소평면도 수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과학탐구 영역을 일본처럼 이과(理科)로 지칭하며, 한국과 똑같이 물리(물리학), 화학, 생물(생명과학), 지학(지구과학) 과목이 존재한다. 이과영역의 학습량은 해루가 더 많다. 초등학교 1, 2학년 사회와 과학은 탐구(探究)라는 교과로 통합되어 있다.

OECD가 주관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해루는 첫 실시년도부터 계속해서 한국과 일본보다 종합순위에서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고등교육

해루의 각 대학들은 예외없이 대학교(大学校)라고 칭한다. 국립대학 성격을 지닌 '인민대학교'를 중심으로 확고한 대학 서열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의 대학 학제와 거의 동일하게 대부분의 학부는 4년제이며 의학과, 치학과, 수의학과, 약학과의 경우 특수목적학부로 분류하여 6년제이다.

대학원은 일반적으로 석사과정 2년, 박사과정 3년이다. 또한, 고등고육법에 의거하여, 한국에서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빠른 나이에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것처럼 해루는 '고등학교졸업학력인정시험'에 합격하면 대학진학이 가능하다.

대학진학은 한국의 수시처럼 학생생활기록부에 의해 대학에 진학하는 방법인 '서류진학'과 국공립·사립에 관계 없이 치르는 국가주관의 대학입학 통일시험인 '대학입학기초학력평가'(통칭 '학평')로 결정된다.

대표적인 국립대학교에는 적경인민대학교, 청성인민대학교가 있으며 공립대학교에는 안남공업대학교, 수지원구립대학교가 있다. 사립대학교의 경우 붉은별대학교, 운봉대학교가 있는데 대부분 종합대학이 아닌 전문대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문화

성문화

해루의 성문화는 억압의 소용돌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민정서보호법에 의거하여 공안 당국의 심의를 거치지 않는 이상 포르노를 법적으로 엄격히 금지함과 동시에 해외 대부분의 포르노 사이트들을 유해사이트 차단으로 모조리 막고 있고, 매춘 역시 인민정서보호법으로 막고 있으며 '여성의 순결을 파괴하며 짓밟고 인민의 사회주의적인 가치관을 흔드는 행위'로 규정하여 성에 대해 다소 보수적인 편이며 알선자는 이유불문 사형, 매수자 최소 징역40년 이상, 매도자는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자발적이었다면 최대 징역25년을 선고하는 등 꽤나 무거운 형량을 내리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래도 2000년대 이후로는 서구의 개방적인 성문화가 퍼지면서 해루 국내 성인물 시장도 크게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음지에선 이미 퍼질대로 퍼져 있고, 풍선효과로 인해 단속을 해도 끝이 없을 지경이다. 포르노를 다운로드를 하거나 시청하는 것 자체는 합법이지만, 업로드와 공유를 막거나, 크게 제한을 걸어 세대간에 논란이 크다.

통계에 의하면 해루인의 첫 성경험 평균 나이(만 나이)는 25.3세로 세계 평균인 17.3세보다 많이 높은 편인데 해루 여성들의 평균적인 결혼연령과 동일하다. 이는 여성의 순결을 중요시하는 문화와 성관계=결혼이라는 관념이 뿌리깊게 박혀 있기 때문인데 이런 문화의 영향으로 미성년자 여성의 경우에는 아예 0건으로 집계된 통계자료도 있다.

해루는 이 점에서 의외로 엄격한 법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아동청소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아청법)이라는 법률이외에도 '아동청소년 음행에 관한 조례'라는 것이 모든 지자체마다 있어서 실질적으로 법률이나 다름없는데 만 19세 미만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행을 금하고 법률이 정하는 음행을 한 경우 처벌을 받는다. 또한 이 법들에는 연애 자체를 불건전한 것으로 규정해놓고 있기 때문에 연애를 통한 성교의 경우에도 강력히 금지하고 있으며 위반시 최대 징역 1년을 선고받게 된다. 이 조례에서 바로 고삐가 풀리는 게 만 19세, 대학교 1학년 생일부터이다. 이 아동청소년 음행에 대한 조례는 지자체마다 다 내용이 거의 비슷한데 공통적으로 '여성'에게만 적용되는 조항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동청소년 음행에 관한 조례의 영향을 받는 10대 여성들이 사회의 묵인하에 동성애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영향으로 여성의 동성애 자체는 남성의 동성애보다는 비교적 관대하게 보는 편이다.

좀 더 나아가서 성인 남성이 청소년과 같이 돌아다니는 경우에도 아동청소년 보호와 복지에 관한 법률에 위반한다고 의심받아 불심검문을 당할 수도 있다. 특히 늦은 시간에는 더 그렇다. 성인 남성과 미성년자의 성관계의 경우 남자 쪽은 사형이 선고될 정도로 엄격하다. 이 음행 조례는 같은 청소년끼리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서브 컬쳐만 봐도 알 수 있는데 학교에서는 일단 교칙으로 곧바로 귀가할 것, 그리고 불순 이성교제 금지도 자주 거론되는데 이건 거짓말이 아니다. 해루 대부분의 학교들은 일단 교칙으로 곧바로 귀가할 것, 그리고 불순 이성교제 금지도 자주 거론되는데 이건 어느 정도 사실이다. 성인 대 청소년의 관계가 거의 범죄 같은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이러한 영향이 크다.

성문화에 대해 숨기고 부끄러워하고 가리는데 급급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반대로 성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사람들도 많다. 포르노와 성생활에 대해서도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선만 넘지 않는다면 흔히 농담의 소재가 될 만큼 의외로 자유로운 나라이다.

경제

화폐

소비재

공업

2000년대 전까지 해루는 여타 사회주의 국가들이 해오던 것처럼 중공업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국민의 생활에 밀접하게 관계되는 경공업 생필품의 질은 서방 세계에 비해 떨어졌다. 이러한 영향으로 국민들의 불만이 쌓여 2000년 해루 정치위기이 일어나게 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2002년 경공업 강화를 위해 각료평의회 중공업부 산하에 있던 경공업분과위원회를 경공업부로 확대개편하면서 경공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늘려 2010년 이후로는 해루제 경공업 생필품의 질이 어느정도는 서방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사회

치안

해루는 현행범으로 체포된 중범죄자에 대해서는 1심만으로 사형을[1] 시행하는 국가이며, 범죄에 대한 처벌이 매우 강한 나라 중 하나다. 또한 사회보장정책이 광범위하게 보장되는 해루 사회에서 일반인이 범죄인으로 되는 일은 극히 드물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해루 사회는 범죄율이 매우 낮고, 치안이 강한 사회로 평가되고 있다.

식당에서 가방이나 핸드백, 휴대폰을 놔두고 화장실에 갔다와도 그대로 있는 나라는 해루나 한국을 제외하면 없다. 이것은 해루 거주 외국인도 인정하는 부분이며 술을 마신 여자가 홀로 밤 11시에 지하철을 타도 문제 없는 나라가 해루다.

의료와 복지

공산혁명 직후 1952년 해루공산당의 중앙위원회는 "의료는 국가의 관리 하에 둘 것이고, 무료로 모든 해루 인민들에게 제공될 것이다."라며 공공보건의료특별인민위원회를 설립하였다. 이때 위원장에 취임한 정준호(鄭駿濠, 1899~1987)의 주도로 국가 주도 의료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해루 공산당은 공중보건에 관심을 기울여 결핵, 티푸스, 소아마비같은 질병을 예방하는데 큰 성과를 거두었다.

모든 의료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당시 해루인들은 별도의 세금 없이 의료 및 약제비까지 모두 무료로 진료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의료 체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휴식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요양원 체계도 잘 갖추어져 있었다. 특히 급할 때 치료는 물론이고 돈 많이 들어가는 수술도 무료로 받을 수 있어 접근성도 높았다. 하지만 이후 과도한 재정지출로 인해 문제가 되자 후술할 인민건강의료보험공사를 통해 발생하는 비용의 전부가 아닌 비용의 절반 이상을 부담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해루의 의료보험은 사회보장제도이자 공공의료보험의 하나로서 각료평의회 후생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인 인민건강의료보험공사가 총괄하고 있으며 세계에서도 손꼽을 만큼 격조가 높아서, 해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있지만 정작 해루 안에서는 의료보험의 편의성을 인지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복지제도는 공산국가라는 특성답게 잘 갖추어져 있었다. 탁아소 같은 보육시설은 전국적으로 체계적인 수준으로 잘 갖추어져 있었으며 임산부에 대한 배려도 매우 잘 되어 있고[2], 아이를 기르는데에도 보조금을 충분히 지급해주어 적어도 아이를 기르는데 부담이 크지 않다.

'노동자'의 나라답게 노동자들의 복지도 굉장히 잘 되어있다. 전국에 '노동복지센터'가 설치되어 노동자들이 휴식을 취하고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휴가도 충분히 보장되었는데, 단순히 휴가를 보장하는 수준을 넘어 휴가 비용까지 국가에서 대부분 보조해주며, 필요하다면 국가소유건물을 일정기간 동안 별장으로 유상으로 공급하고 있다.

국방

"나는 엄숙히 맹세합니다. 사회주의 공화국과 인민의 지도자이며 인민군의 최고사령관이신 박단아 최고사령관 각하에게 무조건적인 복종을 바치며, 언제든지 이 맹세를 지키기 위해 나의 목숨을 바칠 준비를 할 것을 서약합니다."
해루 인민군 군인 선서

해루는 주변의 자유진영 국가들과 소련과 갈등하던 중국이라는 존재로 인해 일찍부터 군사력을 증강시켜 왔으며 건군 초기에는 양적 위주의 성장을 추진했으나, 1980년대 들어 양적 위주의 성장에 한계가 보이자 새로운 무기 기술의 개발에 집중하여 2000년대에는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해루는 공산화 직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징병제를 시행해왔고, 따라서 해루의 국적을 가진 성인 남녀는 신체적, 정신적 문제나 기타 특수한 면제 사유가 없다면 예외없이 군에 입대하여 2년 간 복무해야한다. 해루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복무기간 선택 징병제'라는 독특한 제도를 운영해왔는데 최소 6개월부터 최대 2년까지 본인이 신청한 기간만큼 복무하는 제도였으나 시행 이후 병력자원의 급감으로 현재는 해당 제도가 폐지되고 의무복무기간이 2년으로 고정되어 있다.

정규군인 해루인민군 외에도 해루 내무군이라는 준군사조직도 존재한다. 해루 내무군의 경우 적진의 후방에 침투하여 후방을 교란, 국가중요시설의 경비임무가 주된 목적이나 급변사태나 전시에는 인민군의 군사작전 보조임무, 증원, 신병교육 주관, 치안 유지 임무 등을 맡아 수행한다.

정치

본래 국가주석과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서로 견제하며 1인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는 집단지도체제로 운영되었지만 박단아 주석 취임 직후부터 당 차원의 신격화 시도와 맞물려 민족회의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공화국회의 독단으로 국가주석이 가진 권한을 확대시키는 법안들을 발의하고 가결시킴으로서 그 결과 국가원수를 향한 권력집중화 현상이 점차 빠른 속도로 가속화되고 있다.

대통령 겸 국가주석

국가원수 모독죄

해루에는 2001년 제정된 표현의 자유법에 따라 크게 적용되지는 않지만 '국가원수 모독 금지법'이라고 불리는 형법 조항이 존재한다. 해당 조항의 내용은 "국가주석, 그 친인척을 비방하거나 위협한 자는 최소 30년에서 최대 사형까지 형이 선고될 수 있다"로, 이 형법 조항에 따라 해루 내에서 국가원수을 모욕하는 사람들은 중범죄 정치범으로 간주되어 최대 사형이 선고 될 수 있다.

입법부

최고인민회의

해루 최고인민회의는 해루의 핵심 권력기관 중 하나로 법률을 제정하거나 폐지, 국가예산을 관할하는 등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해루는 공화국회의(상원)와 민족회의(하원)의 양원제를 택했으나 소련의 방식처럼 하원 가결 후 상원 가결의 방식을 거치는 양원제에 부합되지 않는 사실상 형식에 불과하며 공화국회의의 권한이 월등히 강하다. 임기는 공화국회의의 경우 6년, 민족회의는 4년이다.

정당
해루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공화국회의
원내 구성
의장 : 마삼우
부의장 : 정희오
여당

해루공산당
63석
재적 63석
공석 0석
해루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민족회의
원내 구성
의장 : 박규건
부의장 : 조정우, 강만규
여당

108석
관제야당

19석

19석
야당

102석

43석
무소속 9석
재적 300석
공석 0석

본래 2000년 해루 정치위기 당시의 성난 민중을 달래기 위해 발표된 10개조 선언의 결과로 제한적 다당제가 실시되기 전까지는 해루공산당, 관제야당인 국가민주당, 민주사회당을 제외한 어떠한 형태의 정당도 창당이 금지되어 있었지만 10개조 선언을 통해 부분적인 개헌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헌법에 따라 자유롭게 창당준비위원회를 만들 수 있으며 내무부의 승인과 대통령의 최종승인만 있다면 자유롭게 정당을 결성할 수 있으며, 하원에서 제한적으로 복수정당제가 보장된다.

상원인 공화국회의는 해루 공산당 소속만이 피선거권을 가지기 때문에 모든 의석이 해루 공산당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사법부

행정구역

해루의 행정구역은 1특별도 3자치시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도(都), 시(市)의 광역자치단체와 행정시- 구(区), 군(郡)- 정(町), 촌(村), 동(洞), 읍(邑) - 리(里)- 반(班)의 기초자치단체로 구분된다.

각 광역지방자치단체를 관리하는 수장은 도(都)는 지사, 시는 시장이 붙는다. 기초자치단체장의 경우 시(市)의 경우에는 시장, 구(区)의 경우에는 구장으로 불리는 것처럼 장(長)이 붙으나 행정수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외교

해루는 자신들의 국가와 수교한 국가들을 수교국 (Diplomatic relations)- 상호보완적협력관계 (Complementary Cooperation)- 선린(善鄰) 우호관계 (Friendly Relationship)- 특별 동반자 관계 (Special Partnership)- 포괄적 동맹 관계 (Comprehensive Partnership)와 미수교국은 미수교국- 미수교특수협력우호관계로 분류한다.

이 분류체계가 최종적으로 완성된 것은 1985년으로, 현재까지 국제정세에 따라 국가별로 등급이 자주 조정되어 바뀌는 편이다.

각주

  1. 대체적으로 교수형으로 집행한다.
  2. 임산부-어린이 전용좌석이 법적으로 효력을 가지는 국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