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특정인 혹은 특정 집단이 작성한 공식 설정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문서 작성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다만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 |
주의.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은 가상국가 동아연방의 공식 설정입니다. 이 문서는 East Asian을 비롯한 동아연방 누리망 운영진이 작성한 공식 설정이기 때문에 함부로 편집을 시도하시면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정 가능 여부를 가상국가 동아연방 관련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 이러한 규칙은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을 위한 수정에도 적용됩니다. |
![]() |
이 문서는 해성국 운영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는 해성국 운영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많은 운영자들과 회원들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
주의. 이 문서는 칼루국 세계관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일부 사람들이 만들고 있는 세계관입니다. 주의. 이 문서는 제작에 참여 중인 멤버(사용자:Zwjatopx,사용자:Japanmania2)만 편집할 수 있습니다. 비 허가 수정 시 반달로 간주하여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일본어(일본어: 日本語 にほんご 니혼고[* 1] 또는 일본어: 日本語 にっぽんご 닛폰고[*], 듣기 (도움말·정보))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말한다. 줄인 말로 일어(日語)라고도 하며, 글자로 표기할 때는 가나와 한자(일본어: 漢字 かんじ 칸지[*]}를 사용한다. 일본 내 법규에서 공용어로는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일부 법령(재판소법 제74조, 회사계산규칙 제57조, 특허법시행규칙 제2조 등)에서는 일본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등 사실상의 공용어로 쓰이고 있고, 일본의 학교 교육 내 국어 과목에서도 교육되고 있다.
사용 인구에 대해서는 정확한 통계가 없지만 일본 국내의 인구 및 일본국 국외에 거주하는 일본인과 일본계 외국인, 일본국이 일찍이 통치했던 지역의 일부 주민 등을 포함하여 약 1억 4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고 여겨진다.[6] 통계에 따라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러한 사용 인구 수에 따르면 일본어는 모어 화자 수순 언어 목록에서 상위 10위 이내에 든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배운 대부분의 사람은 일본어를 모어로 한다.[주해 2] 일본어의 문법 체계나 음운 체계를 반영한 수화로는 일본어대응수화(일본어: 日本語対応手話 にほんごたいおうしゅわ 니혼고 타이오 슈와[*])가 있다.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언어별 사용자 수에서 일본어는 아홉 번째로 사용자 수가 많다
일본어를 사용하는 국가
- 일본
- 세이카
- 첨관
- 아키시오
동아연방(
제주도,
일본자치국)
- 해성국[1]
호우안 합중제국[2]
양화민국[5]
세이운제국
- 신성 후소 제국
- 앵본 (앵본국)[6]
- 남앵본 (나기시마 공화국)[7]
- 일본제국
칼루 연방[8]
각주
- ↑ 일부 용어나 왕실에서 일부분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제 강점기를 겪은 만큼 일부 일본 용어 혹은 언어가 정착된 경우도 있다.
- ↑ 호우안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 ↑ 봉래국 그 자체가 일본계의 영향을 많이받아 정식적인 언어로 사용중이다.
- ↑ 안남국의 공용어로 쓰이고 있다.
- ↑ 서경 성과 이화직할시에서 많이 쓰이는 편이다.
- ↑ 앵본의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앵본어라고 한다. 어나더어스는 이 언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한다.
- ↑ 앵본의 일본어와는 달리 이 나라는 일본어 외에도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10~30세 엘프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여서 엘프 앵본어를 사용한다.
- ↑ 공식적이진 않으나, 일본계 칼루인들의 대표언어로 인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