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epavels 2021 ~ 2024

태해월국
太海月國
Haewol
Empire of Haewol
국기 국장
일찍이 태평의 열도, 해월국(海月)
상징
국가 애국가
국조
봉황
국수
해월호랑이
위치
width: calc(100% + 5px)
역사
[ 펼치기 · 접기 ]
  • 기원전 2세기 경 한반도인 정착
  • 기원후 40년 경 거정국(鉅禎國) 성립
  • 334년 소상국(紹相國) 성립
  • 606년 ~ 780년 천하십웅(天下什雄) 시대
  • 780년 ~ 903년 1차 섭정시대
  • 903년 ~ 905년 대신 분쟁
  • 905년 ~ 1374년 2차 섭정시대
  • 1374년 ~ 1854년 3차 섭정시대
  • 1872년 헌법제정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중경(中京)
최대 도시
중경(中京), 천희부(天禧府)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65,348,484명[1]
인종
해월국 제도 토착민 88.3%, 대화계 9.8%, 대륙계 1.9%
출산율
2.20명[2]
평균 수명
82.2세[3]
기대 수명
83.91세[4]
공용어
해월국어, 한국어, 일본어 등등
지역어
해월국 각 지역 토착 방언
공용 문자
한글 문자
종교
국교
없음(정교분리)
분포
무종교 57.8%, 불교 28.4%, 천주교 8.8%, 개신교 5%
군대
태해월국 국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수도부(府)
중경(中京)
주요부(府)
3개
성(省)
10개
군(郡)
62개
여(餘)
137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단일국가
국가 원수 (호월)
대정제
정부
요인
내국필양섭정(內國弼洋攝廷)
박도영
정부총리통정관(副總理統政官)
김준성 (金濬性)
좌의국헌대신(佐議國憲大臣)
성도문연 (珹徒文衍)
동군대신(動軍大臣)
이재경 (李在敬)
동교대신 (童敎大臣)
강순철 (剛純徹)
통경대신 (統京大臣)
우소선 (禹昭璿)
여당
해월국보수당
원내 야당
민주당, 국민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
GDP
(PPP)
전체 GDP
$2,534,410,254,972(2023년 12월)
1인당 GDP
$38,783(2023년 12월)
GDP
(명목)
전체 GDP
$2,500,036,952,388(2023년 12월)
1인당 GDP
$38,257(2023년 12월)
화폐
공식 화폐
해월국 원(圓)
ISO 4217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재위기원
시간대
UTC+9
도량형
표준미터법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수교국
UN 가입
창립회원국(1945년)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99 (SK서린빌딩)
ccTLD
.HW
국가 코드
HW
전화 코드
+80

태해월국(大海月國), 혹은 해월국(海月國)은 아시아의 한반도와 대화 열도 사이 위치한 해월 열도의 입헌군주정 국가이다. 해상 인접국은 북한, 남한과 일본이 있다. 국가 수도는 국토 서남부에 위치한 중경부(中京)이며 별칭으로는 황실이 소재하기도 해서 해정(海廷)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총 인구는 2023년 12월 내무성 집계 행정기록을 기해 65,348,484명이며, 상업 인구는 대도시에 집중해 있으나 주거 인구는 도시의 교외 지역이나 도시와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농어촌 지역에도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편이다. 인구의 대부분인 93% 가량은 고대에서 중세에 걸쳐 한반도에서 넘어온 해월국 열도 토착 주민이며 나머지는 약 6%의 대화계(해월국에서는 일본을 대화라고 부른다.) 주민이거나 한국계 혹은 중국계를 아우르는 약 1% 정도의 소수 대륙계가 뒤따른다. 공용어로는 중세 한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해월국어가 있으며 한국과의 교역 증대와 한국계 이주민들의 영향으로 최종적으로 한국어와 언어 형태가 흡사한 편이다. 문자는 한문을 사용하다가 19세기 말에 한국의 20세기 초에 한국의 한글을 수용 도입하였다. 이러한 사유로 해월국인들과 한국인들은 서로 밀접한 문화적 동질성 때문에 많은 형제애를 느낀다.

별도로 지정된 국교는 없으나 종교를 가지지 않은 사람의 비율 즉 무종교는 57%, 종교 중에서는 불교가 최대 종파이다.(약 28%.) 정부가 기독교 첫 유입 시기인 18세기 초반부터 박해를 공식적으로 해제한 1870년대까지 시종일관 기독교 박해 정책을 강하게 고수한 면이 있었고 국가의 박해와 복음화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만한 재앙적 상황의 부재 등의 영향을 받아 대중종교로의 발전이 가로막혔으며 내부 신자들의 결집이 강해졌기 때문에 기독교는 복음화에 실패하고 소수 종교로 남았다. 그러나 모든 교파를 합쳤을 때 그 비율이 15% 정도로 결코 무시할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기독교에게는 괄목할 만한 성과라고 해석될 수 있다. 해월국의 군대 겸 방위기관은 국군이 있다. 국군의 주체로는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국가에 있는 육ㆍ해ㆍ공군과 헌병대가 존재하나 다소 특이한 점은 외국의 황제격인 해월국의 군주, 호월의 친위대는 전국적인 치안 유지 기능을 가진다는 점이다. 이는 1945년 대전 종전후 일본의 영향을 받아 약화된 호월의 권한 속에서도 여전히 호월이 가진 가장 막대한 권력으로 손꼽히고 있다.

해월국 정치의 근간 체제라면 입헌군주정과 양원제, 의원내각제를 말할 수 있다. 해월국은 막부 시절부터 시작해 일본 제국에 이르기까지 일본의 동맹국으로써 그들의 영향을 받아 일제 시기에 "장군의 치세"가 철폐되고 호월의 절대 군주권 행사가 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1945년 일본의 패망을 끝으로 호월의 권력 행사 기반은 상당히 약화되고 말았다. 결국 해월국에서도 입헌군주정을 공식적으로 도입하여 국회와 통정관에게 권한을 일임하는 의원내각제가 실시되고 있다.

국가



愛國歌
The National Anthem of Great Haewol
(The Patriotic Song)
[5]

 

- 사용시작 : 1924년 6월

- 작곡 : 의종(재위 1923~1925)

- 작사 : 작사가 영 운


애국가는 해월국의 국가이다. 1924년 작곡에 큰 관심과 높은 재능을 가지고 있었던 젊은 호월인 의종이 러시아의 오케스트라를 불러 작곡을 요청함으로써 작곡되었고, 가사는 황실 음악가인 영 운에 의해 작성되었다. 현재의 노래는 2차 수정되어 황립 오케스트라의 작성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8년 설정이며, 2024년 중 수정예정입니다.)

호월과 황실은 국가를 제창할 때 가사를 부르지 않고 눈을 감고 묵념하는 것으로 국가와 국민에 예를 표한다. 일반 국민들은 국가를 제창할 때 가사를 불러서 국가와 황실에 예를 표한다.


애국가

1절

오 해월의 찬란(燦爛)한 신단(晨旦)은
번창(繁昌)하는 우리 겨레의 축복(祝福)일세
오 해월의 견고(堅固)한 화합(和合)은
번창(繁昌)하는 우리 겨레의 행복(幸福)일세


2절

오 해월의 창대(昌大)한 해도(海島)는
번영(繁榮)하는 우리 민족(民族)의 기상(氣相)일세
오 해월의 공명(公明)한 정부(政部)는
번영(繁榮)하는 우리 민족(民族)의 자랑일세


3절

오 해월의 유구(悠久)한 역사(歷史)는
번성(繁盛)하는 우리나라의 전통(傳統)일세
오 해월의 창창(蒼蒼)한 미래(未來)는
번성(繁盛)하는 우리나라의 희망(希望)일세


4절

오 해월의 훌륭한 국민(國民)은
영원(永遠)토록 우리 해월과 하나일세
오 해월의 숭고(崇高)한 황상(皇上)은
영원(永遠)토록 우리 해월의 군주(君主)일세


후렴

저 순결(純潔)한 태양(太陽)을 보아라
금수강산(錦繡江山)과 동행(同行)하는 우리는
언제나 두려울 것이 없으니
위대(偉大)한 평화(平和)와 함께 자유(自由)의 만세(萬歲)를

자연환경

역사

기원전 2세기 경 해월국 열도에 한반도인들이 정착한 이래 여러 부족 국가들이 세워졌고, 기원후 40년 경에는 최초의 문명 군주국으로 알려진 거정국(鉅禎國)이 건국되어 중앙 열도를 통일하였다. 동 열도에서는 소규모 국가인 모난국(募暖國)이 형성되어 지역을 다스렸다. 2세기 초반에 거정국이 모난국을 제후로 삼으며 열도 전체를 통일하는 데에 이르렀고, 2세기 후반에는 중국, 고구려와 신라, 왜하고도 통교하였다. 334년 거정국의 유력장군이었던 안세(安洗)의 쿠데타로 인해 거정국이 멸망하고 소상국(紹相國)이 세워졌으며 이후로 안씨 왕조는 272년간 유지되었으나 606년 대가 끊겨 멸망하였다. 소상국의 멸망으로 열도는 606년부터 780년까지 난세를 평정하기 위한 10명의 대결이 일어났는데, 이를 천하십웅(天下什雄) 시대라고 부른다. 이 가운데 612년 열도의 십웅은 외세의 침략 야욕에 맞서 주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호월(虎月)을 받들기로 하였고, 거정국ㆍ소상국 시대부터 왕가와의 혼인 등으로 번영을 구가하였던 명문 귀족 가문 공씨(珙氏)의 가주이자 당대 해월국의 유력한 영주였던 공상건(珙像健)을 호월로 옹립하였다.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오는 해월국의 군주, 호월의 시작이다.

780년 천하십웅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정국은 호월의 직접 통치로 기울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가장 강한 군대를 가지고 있었던 경씨 가문이 황실을 압박하면서 경씨가 필정청 영관대신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호월은 완벽하게 상징적인 군주로, 필정영관대신은 호월의 신하이자 해월국의 실제적인 통치자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권력을 장악한 경씨들도 그다지 오래 가지는 못했다. 872년 발생한, 연씨ㆍ정씨ㆍ김씨 3 귀족 가문들의 반란으로 이후 약칭 영관대신들의 힘은 약해졌고 3 귀족 가문이 전권을 행사했다. 결국 903년 마지막 필정영관대신인 경선상(瓊璿想)이 차를 먹고 갑작스레 사망(독살로 추정됨.)하면서 영관직의 공위가 있던 분쟁인 대신분쟁이 발발했다. 분쟁은 903년부터 905년까지 지속됐다. 872년 반란의 지도자였던 연씨 가문의 연경우(衍敬祐)가 905년 필정영관대신직에 오르며 혼란은 일단락되었다. 두번째 필정영관대신부였던 연씨 가문은 선대 영관들인 경씨들과 다르게 황실과 혼인하여 권한을 강화하려는 일관적인 정책을 취했지만 황실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해 성사된 적은 거의 없었다. 어찌됐든 연씨의 집권은 약 470년간 지속되었고, 그 기간 동안 필정영관대신이라는 지위는 군주를 보필하는 "실권자"로써 안정적인 정통성을 가질 수 있었으며 호월 역시 불가침의 지위로써 존엄성을 보장받게 되었다.

물론 10세기부터 12세기 동안 호월들이 군주의 실권을 되찾는 정책을 시도했지만 여러번 좌절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19세기 후반에는 일본 막부의 쇼군이 천황에게 통치권을 반납한 사건, 대정봉환이 발생한 것에 대한 정치적 자극으로 인해 결국에는 해월국에서도 필정영관대신직 대신 호월이 실권을 되찾게 되었다.

정치

해월국은 국민이 수반을 간접선출하는 형태의 민주주의 입헌군주정 국가로, 호월이 가지는 권위는 어마무시한 역사적 전통도 한몫하겠지만, 무엇보다도 국민의 총의에 기초한다. [6] 태해월국 정계에서 호월은 여느 나라의 군주들이 그러하듯, 국가원수이자 국정의 통합을 보전하는 역할로 기능한다. 호월은 전시 군통수권과 전국의 통치권을 가지며 평시에는 전통황실의례의 수행과 외국사절 접견, 국회 개ㆍ폐회의 최종명령과 의회에서 선출된 통정관을 임명하는 역할을 한다. 해월국은 일반적인 세습군주국이기 때문에 호월은 선출되는 게 아니라 황위전범에 따라 호월의 친족에게 계승된다. 본래 호월은 20세기 초중반 이웃국 일본에서 발생한 《대정봉환》의 영향으로, 고중세 이후 다시금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되었으나, 일본의 패망 이후 호월의 권력은 일련의 이유로 자연스럽게 위축되었다.

태해월국 통정관[7]은 정부와 내각의 수반으로, 각성ㆍ부ㆍ청ㆍ처급 장(단, 성급 장은 국무대신임.)을 임명하거나 해임하는 등 내각에 관한 최상급 사무를 맡아서 본다. 국가행정의 사실상의 권한은 통정관이 지휘하는 내각부에 있으며, 해월국에서는 이러한 사유로 내각을 국가내각으로 칭하기도 한다. 국가내각의 지도자인 통정관은 대부분 4년의 임기를 마치고 퇴임하거나 연임하는데 이는 지방자치단체장과 국회선거가 4년 주기로 치뤄지기 때문이다.

호월

국회

태해월국의 입법부인 국회는 양원제로써, 양원은 서민원과 귀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헌법에 따르면 1879년 설립된 서민원 의원의 임기는 4년으로, 직선이고 기간이 다 되기 전에 해산됐다면 임기는 더 짧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민원과 동년에 설립된 귀족원 의원의 임기는 6년이고 국가원수인 호월이 그 중 3분의 1의 의원을 직접 임명하고, 통정관이 국회의 동의를 받아 나머지 3분의 2의 의원을 직접 임명한다. 귀족원 의원의 경우 3년마다 총 의원의 반수를 개선(改選)해야 한다. 양원의 의원이라면 동시에 서로 겸임할 수 없으며, 국고에서 일정 부분의 세비를 자신의 임금으로 받는다. 또한 재임 중 내란 등의 죄를 범하지 않았다면 체포당하거나 구속될 수 없고 회기 전 체포된 의원은 자신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할 권리가 있으며 국가는 이를 거부할 수 없다. 또한 양원의 의원은 자기가 국회에서 행한 연설 또는 토론 또는 표결에 대하여 원외에서 책임질 필요가 없다.

태해월국 국회의 상회(常會)는 매년 1회 소집하며, 국가 내각은 국회의 임시회의 소집을 결정할 수 있다. 양원 의원 중 어느 한쪽의 총 의원의 4분의 1이 요구가 있을 때 내각은 즉각적으로 소집을 실행해야 한다. 내각은 서민원의 해산으로부터 45일 내에 의원의 총선거를 시행하여야 하고 총선거 시행으로부터 30일 내에 국회를 소집해야 한다. 서민원이 해산됐을 때 귀족원은 즉시 해산되며 내각은 국가 긴급 사태 시에 귀족원의 긴급 집회를 요청할 수 있다. 양 의원은 각각 1/3 이상이 출석하지 않았을 때 의결할 수 없다.

정당


근대화 이래 태해월국의 정치를 이끌고 있는 사실상의 양당.


해월국의 현존하는 정당은 매우 많지만 그 와중에도 빅사이즈 정당은 단 둘뿐인데 바로 해월보수당해월의민당이다. 이 둘은 해월국 정당사에서 가장 터줏대감이자 영향력 있는 존재로써 집권 시에 가장 극심하게 경쟁ㆍ견제하였다.

헌법기관

행정부

《태해월국 정부총리 통정관 휘하
내각부 산하 11성 4부 5청 1국》

태해월국 내각부

사법부

《태해월국 사법 기관》

영예로운 제국대총최고재판소(帝國大總最高裁判所)
The Honourable Imperial Supreme Court

제국 검찰청 (帝國 檢察廳)
Imperial Prosecutors' Public Office

│ 

헌법수호원(憲法守護院)

Service of the Constitution Defends


태해월국은 위 3가지의 독립 기관을 운영하여 서로간에 견제하고 더 올바른 사법처리 및 헌법심판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전통적인 최상급 법원은 약칭 최고재판소이며 제국 검찰청과 헌법수호원은 최고재판소 밑의 동일격이고, 전통적으로 헌법수호원이 검찰을 견제하는 구도이다.

영예로운 제국대총최고재판소(帝國大總最高裁判所, The Honourable Imperial Supreme Court)는 1872년 8월 21일에 설립되었다. 국가 내에서도 최상위 법원이다. 영예로운 제국대총최고재판소(*약칭 최고재판소)의 수장은 최고재판소장이며, 구성요소로는 중앙의 최고재판소장과 좌측 및 우측 총 14명의 최고재판위원으로 15명이다. 최고재판소장의 임기는 지명 이후 종신제이다. 하지만 최고재판소장의 직무수행에 문제가 되는 사항이 있을 경우 14명의 최고재판위원의 투표로써 현직 최고재판소장의 탄핵과 파면을 의결할 수 있다. 최고재판소장의 직무수행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국회는 탄핵 또는 파면을 거부할 수 있으며, 최고재판위원은 현직 최고재판소장의 직무수행에 문제가 됨을 증명하여 현직 최고재판소장을 불신임할 수 있다. 그 경우 최고재판소장은 최후의 절차로써 5일 내 재신임받지 못할 경우 사임하여야 한다.

이하 고등 법원, 도시 법원 및 지방 법원 역시 1872년 8월 21일 최고재판소가 설립된 직후 중경에 고등 법원과 지방 법원이 설립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재는 각 지역에 지방 법원이 존재하고 이외 고등 법원과 도시 법원, 지원 등이 설치되어 있다. 고등ㆍ도시ㆍ지방법원장 및 지원장은 최고재판소장이 임명을 제청하며 호월이 이를 승인하는 절차로 임명된다.

 

제국 검찰청(帝國 檢察廳, Imperial Prosecutors' Public Office)은 1888년 1월 13일 설립되었다. 범죄의 수사 및 공소 제기, 재판결과 집행 등을 담당하는 국가의 형사사법기관이다. 수장은 제국대검찰청장(帝國大檢察廳長)이다. 약칭 대검찰청장의 임기는 3년이며, 중임할 수 없다. 내각수상대신에 의해 임명받고 수상이 이를 호월에게 제청하면 호월이 이를 승인하는 절차로 임명된다. 제국 검찰청의 중앙 기관은 대검찰청이며, 그 아래에 고등검찰청과 지방검찰청을 둔다.


헌법수호원(憲法守護院, Service of the Constitution Defends)은 위 2개 기관에 비하여 늦게 만들어졌다. 1932년 4월 21일 설립되었으며, 최고재판소와 검찰청의 판단에 대하여 국민이 억울히 불이익 당하는 일이 없게 하는 일, 그리고 헌법 조항 및 그 의도를 해석하여 합/위헌을 결정한다. 헌법수호원의 수장은 헌법수호원장이며, 의회가 지명한 자를 호월이 임명한다.

군사

인문환경

교육

태해월국의 교육
The Education of Haewol

태해월국의 교육 설정. 해월국의 교육에 관한 업무를 행하는 기관은 교무성(敎務省)과 각 성(省)ㆍ시(市)ㆍ군(郡)에 설치되는, 교무성 산하의 교육청(敎育廳)이다. 아래는 해월국 교육기관의 소개와 그 역사를 다루며, 현대(1886 개혁) 이전(그 이전) 해월국의 교육체계는 2가지로 나뉘었다.

교육개혁사

교육개혁(1886) 이전
태해월국 교육기관

소학(小學)

소학(小學)

첫번째 기관은 소학으로써 과거에 아직 합격하지 않았거나 과거에 참여하기 이전, 어린 연령의 아이들이 다녔던 기관이다.


대학(大學)

월경감(月京監)

931년 설립되었다. 현대의 국자감은 1886년 교육개혁 이후 이듬해에 국립대학으로써 전환되었으며, 이는 본 국자감의 공식적인 후신이다. 국자감은 960여년간 해월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중앙고등교육기관이자 대한민국의 카이스트와도 같은 국가인재 육성 및 연구 기관이었다고 볼 수 있다.

현대의 교육체계와 제도의 정비시기

현대의 교육 체계와 제도가 정비된 시기는 1886년이다. 

1886년 교육개혁 이후를 현대 해월국 교육의 밑거름이자 현대 해월 교육의 완전한 정착 시기로 보고 있다. 현행 교육과정은 8차 교육과정(2017 고시, 2021)이다. 

교무성은 이후 2021년 3월 1일을 기준으로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2014년생들, 중학교에 입학하는 2008년생들부터 적용되는 8차 교육과정(2021)을 전과목 교과서에 적용시키기로 결정했다. (2019.12.16 기사)


현대 해월 교육

'2차 교육개혁(1886) 및 최종 신 학제 공고(1886) 이후 현대 태해월국의 교육기관'

현대 해월국의 교육기관은 소학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순으로 나누어져 있다. 

유학원

1. 유학원 (幼學院)

해월국의 유아교육기관이다. 처음 개혁 당시에는 없었고, 1970년대 이후 형성되었다.

  초등교육기관 입학 자격 학령이 되지 않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심신ㆍ정서 발달과 사회 생활의 기초를 닦기 위하여 소학원은 4세부터 소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다니게 된다.

(초등교육법-유아교육에 대한 조항에 근거)

소학교

2. 소학교 (小學校)

해월국의 학문교육체계에서 가장 근본적인 뿌리가 되는 교육기관이다. 유학원이 유아들의 기본적인 교우관계 형성과 생활지식을 익히는 곳이라면, 소학교에서는 기본적인 생활지식을 넘어 넓은 교양, 많은 지식, 보다 깊은 대인관계 및 적응력, 체력 등을 키워 올바른 사회인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한 기초적인 교육을 진행하는 기관이다. 

소학교는 7세부터 13세까지 다니게 되며, 7년제 의무과정이다. 

(초등교육법에 근거)

중학교

3. 중학교 (中學校) 

초등학교를 졸업한 자, 혹은 그와 동등하게 인정되는 학력인정시험에 합격한 자가 입학하는 중등교육 기관이다. 초등학교에서 받은 기초 위의 중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기관이다.


해월국의 중학교는 소학교를 졸업한 다음 해인 14세부터 16세까지 다니게 되며, 3년제로 의무교육과정이다. 국ㆍ공립 학교는 무상이며, 사립 학교의 경우 유ㆍ무상의 의무를 별도로 정하지 않았다.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는 한 학년 두 학기(1ㆍ2학기)에 걸쳐 중간고사 2번과 학기말고사 2번을 치뤄야 한다.

(중등교육법에 근거)

고등학교

4. 고등학교 (高等學校)*1*2


중학교를 졸업한 자, 혹은 그와 동등하게 인정되는 학력인정시험에 합격한 자가 입학하는 중등교육 기관이다. 

중학교에서 받은 근본적인 지식 위의 중등교육과 사회 진출, 혹은 고등교육기관 진학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기관이다. 고등학교는 17세부터 19세까지 다니게 되며, 3년제로 의무교육과정이다.

고등학교 1ㆍ2학년은 한 학년 두 학기(*1ㆍ2학기)에 걸쳐 중간고사 2번과 학기말고사 2번을 치르나,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지 않고 중요과목(*국ㆍ영ㆍ수)에 한하여 1년에 4번(*3월 말, 6월 말, 8월 말, 9월 중반) 모의고사(며칠 정도 시험을 운영할지는 학교장의 재량.)를 치르고 선택과목에 대하여 한 학기에 한 번 시험(*5월 중반, 11월 초반)을 치른다. 다만 국내에서는 고3 역시 사실상의 고사를 치르는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1*고등학교 3학년은 10월 말 즈음에 고등교육기관진학시험(*高等敎育機關進學試驗, 약칭 고진)을 치르는데 이는 학생 스스로가 고등교육 수준의 지식과 교양에 접근할 수 있는지,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 입학할 자질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2* 고진의 실시 날짜는 교무성과 교과평가원(Haewol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HICE)이 주관한다.

(중등교육법에 근거)

대학교

5. 대학교 (大學校)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등교육기관진학시험, 혹은 학교 정규고사 내 경쟁(정시)모집에서 대학에서의 수학(修學)을 잘 할 수 있는 자, 또 대학 입학의 자질(資質)이 있는 자가 진학해 고등학교 수준 이상의 구체지식과 교양을 교육하여 전문적인 사회인을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다. 국자감 또한 5번 항목 격의 기관이다.

(고등교육법에 근거)

대학원

6. 대학원 (大學院) 


대학원(大學院)은 대학을 졸업한 사람(학사)이나 그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다고 인정된 사람을 대상으로, 심화된 학술 이론과 실험을 교수, 연구하는 과정이다. 석사, 박사 등의 전문 학위를 수여한다. 

 

대학 교육의 목적을 심층 추구하는 동시에 학술연구의 지도능력과 독창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대학과정보다 한층 더 심오한 연구와 교수(敎授, 학문이나 기술, 기예의 가르침을 의미)를 실시하는 교육기관이다.

(이하 분류)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 전문 직업 영역 (법학, 의학, 경영학 등)
특수대학원 - 직업인 및 일반 성인 대상 (석사 과정)

제9차 교육과정 논란

자세한 내용은 제9차 교육과정/비판 및 논란 을 확인하십시오.

언어

문화예술

외교

  1. 2023년 12월 기준, 내무성 인구조사국.
  2. 2024년 1월 기준, 내무성.
  3. 2023년 12월 기준, 내무성 인구조사국.
  4. 2023년 12월 기준, 내무성 인구조사국.
  5. 본 설정은 해월국의 국가에 대한 약식설정입니다.
  6. ᆢ국가의 주권을 가지는 온 국민들의 호월 및 황실에 대한 총의적 경의에 기초한다., 태해월국 헌법 제1조 《호월》제1항 中.
  7. 정식명칭은 태해월국정부총리 내각부통정관(太海月國政府總理 內閣府統政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