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군사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및 기타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틀:와샤 국가 정보 | |
---|---|
사용문서
|
|
넘겨주기
|
이동하기
|
제작자 전용 국가 정보 틀이며, 나라에 대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습니다. 틀의 뼈대와 형태는 나무위키의 국가 템플릿과 위키에 있는 나무위키 국가 정보 틀을 가져와 설계하였습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의 '사용법'과 '양식'을 참고하십시오.
본 틀은 CC BY-NC-ND(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에 따라 출처 명시와 상업적인 사용 금지, 변경 금지가 적용되었으며, 보급형 틀이 아닌 개인 세계관 활동 목적의 틀임을 알립니다.
업데이트
업데이트 일자 | 내용 |
---|---|
2023-02-14 | 펼접 기능 적용, 일부 틀 수정 |
2023-08-09 | 일부 틀 수정 |
2024-08-14 | 버전 2 업데이트 |
2024-08-16 | 일부 틀 수정 |
사용법
<!---- 중심 변수 및 뼈대 ----> | 테두리 색 = 틀의 테두리 색을 정합니다. | 글씨색 = 좌측 칸에 들어가는 글씨 색상을 정합니다. | 글씨색2 = 틀 배경에 들어가는 글씨 색상을 정합니다. | 글씨색3 = 상단 '국명' 표의 글씨 색상을 정합니다. | 배경색 = 좌측 칸에 들어가는 배경 색상을 정합니다. | 배경색2 = 틀 배경에 들어가는 색상을 정합니다. | 배경색3 = 상단 '국명' 표의 배경 색상을 정합니다. <!---- 언어별 명칭 ----> | 언어명1 = 외국 국명을 기재하기 위한 언어를 기재합니다. (~20) | 언어1 = 외국에서 사용하는 국명을 기재합니다. (~20) <!---- 국명·국기·국장·상징물·역사 ----> | 국명 = 국가 명칭을 기재합니다. | 정식 국명 = 공식 국명을 기재합니다. | 현지 국명 = 현지 국명을 기재합니다. | 심볼 = 상단 오른쪽의 심볼을 기재합니다. | 심볼 크기 = 심볼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 국기 = 국기를 기재합니다. | 국기 크기 = 국기 크기를 조절합니다. | 국장 = 국장을 기재합니다. | 국장 크기 = 국장 크기를 기재합니다. | 표어 = 상징 표어를 기재합니다. | 국가 = 국가를 대표하는 노래를 기재합니다. | 국화 = 국가를 대표하는 꽃을 기재합니다. | 국조 = 국가를 대표하는 새를 기재합니다. | 국수 = 국가를 대표하는 동물을 기재합니다. | 국목 = 국가를 대표하는 나무를 기재합니다. | 역사 = 국가에 대한 역사적 사건을 기재합니다. <!---- 지리 ----> | 지도 = 국가가 위치해 있는 지도를 기재합니다. | 지도 설명 = 지도에 대한 설명을 기재합니다. | 수도 = 국가의 수도를 기재합니다. | 최대 도시 = 국가 최대 도시를 기재합니다. | 최대 수도 = 국가 수도와 최대 도시가 같을 경우, 이를 묶음 처리하여 기재합니다. | 면적 = 영토의 면적을 기재합니다. | 구성국 = 영토 내의 구성국을 기재합니다. | 접경국 = 영토와 접하는 나라를 기재합니다. | 내수면 = 전체 영토 중 육지를 제외한 내수면의 비율을 기재합니다. <!---- 인문 환경 ----> | 총 인구 = 국가의 총 인구 수를 기재합니다. | 인구 연도 = '총 인구'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인구 순위 = '총 인구' 변수에 들어가며, 전 세계 국가들의 인구 순위를 기재합니다. | 민족 구성 = 전체 인구 중 민족 구성 비율을 기재합니다. | 민족 연도 = '민족 구성'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인구 밀도 = '(인구 수) ÷ (면적)'에 따른 인구 밀도를 기재합니다. | 밀도 연도 = '인구 밀도'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출산율 = 국가의 합계출산율을 기재합니다. | 기대 수명 = 국가의 예상 수명을 기재합니다. | 기대 연도 = '기대 수명'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평균 수명 = 국가의 평균 수명을 기재합니다. | 평균 연도 = '평균 수명'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공용어 = 국가의 모국어 혹은 공용어를 기재합니다. | 지역어 = 국가의 지역 언어를 기재합니다. | 방언 = 국가의 지역 방언을 기재합니다. | 외국어 = 국가의 외국어를 기재합니다. | 공용 문자 = 국가에서 사용하는 공용 문자를 기재합니다. | 국교 = 국가가 정한 종교를 기재합니다. | 종교 비율 = 전체 인구 중 종교인 비율을 기재합니다. | 종교 연도 = '종교 비율'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군사 ----> | 자국군 = 자국의 군대를 기재합니다. | 주둔군 = 자국에 주둔한 군대를 기재합니다. | 충원방식 = 자국군의 충원 방식을 기재합니다. | 보유 현황 = 핵무기 보유 개수를 기재합니다. | 군사력 = 자국의 군사력 순위를 기재합니다. | 군사력 연도 = '군사력'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국방비 = 자국의 국방비 순위를 기재합니다. | 국방비 연도 = '국방비'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하위 행정구역 ----> | 구역명1 = 행정구역의 명칭을 기재합니다. (~5) | 구역1 = 행정구역의 구성을 기재합니다. (~5) <!---- 정치 및 체제 ----> | 국체 = 국가의 국체를 기재합니다. | 정치 체제 = 정부의 형태나 정치적 체제를 기재합니다. | 법계 = 국가가 채택 중인 법계를 기재합니다. | 민주 지수 = 국가의 민주주의 지수를 기재합니다. | 원수 직명 = 국가원수의 직함을 기재합니다. | 국가 원수 = 국가원수의 이름을 기재합니다. | 수반 직명 = 정부수반의 직함을 기재합니다. | 정부 수반 = 정부수반의 이름을 기재합니다. | 각료 직명1 = 각료의 직함을 기재합니다. (~5) | 각료1 = 각료 인사의 이름을 기재합니다. (~5) | 여당 = 집권 중인 여당을 기재합니다. | 연립 여당 = 집권 중인 연립 여당을 기재합니다. | 신임 보완 = 신임과 보완을 맡고 있는 정당을 기재합니다. | 야당 = 집권하지 않은 야당을 기재합니다. <!---- 경제 ----> | 경제 체제 = 국가의 경제 체제를 기재합니다. | 전체 GDP = 전체 국내총생산지수(GDP)를 기재합니다. | 1인당 GDP = 1인당 국내총생지수(GDP)를 기재합니다. | 전체 PPP = 전체 구매력평가지수(PPP)를 기재합니다. | 1인당 PPP = 1인당 구매력평가지수(PPP)를 기재합니다. | 국부 = 국가자산 금액을 기재합니다. | 수입 = 무역 수입액을 기재합니다. | 수입연도 = '수입'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수출 = 무역 수출액을 기재합니다. | 수출연도 = '수출'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세입 = 국가 예산의 세입액을 기재합니다. | 세입연도 = '세입'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세출 = 국가 예산의 세출액을 기재합니다. | 세출연도 = '세출' 변수에 들어가며, 연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외환보유고 = 국가의 외환보유고를 기재합니다. | 신용 등급 = 국가의 신용등급을 기재합니다. | 통화 = 국가의 유통화폐 단위를 기재합니다. <!---- 외교 ----> | 소속 기구 = 국가가 속한 국제 기구를 기재합니다. | 유엔 가입 = 유엔에 가입한 연도를 기재합니다. | 대한수교현황 = 해당 국가와 남북한 간 수교 현황을 기재합니다. | 무비자 = 양국 간의 무비자 입국 기간을 기재합니다. | 대사관 = 주한대사관 및 총영사관의 주소를 기재합니다. | 수교국 = 해당 국가와 수교한 국가의 수를 기재합니다. <!---- 단위·역법·기타 ----> | 도메인 = 국가 도메인을 기재합니다. | 국가 코드 = 국가 코드를 기재합니다. | 전화 코드 = 국가 전화 코드를 기재합니다. | 법정 연호 = 법정연호를 기재합니다. | 역법 = 국가가 사용 중인 역법을 기재합니다. | 시간대 = 국가의 시간대를 기재합니다. | 서머타임 = 국가의 서머타임 시간을 기재합니다. | 통행방향 = 국가의 차량 통행 방향을 기재합니다. | 도량형 = 국가가 사용 중인 도량형을 기재합니다. <!---- 여행경보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경보제도에 따름) ----> | 여행유의 = 외교부가 지정한 '여행유의' 지역을 기재합니다. | 여행자제 = 외교부가 지정한 '여행자제' 지역을 기재합니다. | 출국권고 = 외교부가 지정한 '출국권고' 지역을 기재합니다. | 여행금지 = 외교부가 지정한 '여행금지' 지역을 기재합니다. | 특별주의보 = 외교부가 지정한 '특별여행주의보' 지역을 기재합니다. | 특별경보 = 외교부가 지정한 '특별여행경보' 지역을 기재합니다. | 홈페이지 = 국가 홈페이지를 기재합니다. }}
'국기/국장' 변수
<!----- 1:2 / 2:1 방식 -----> | 국기3 = | 국기3 크기 = | 국기3 설명 = | 국장3 = | 국장3 크기 = | 국장3 설명 = <!----- 일반적인 국기/국장 변수 -----> | 국기 = | 국기 크기 = | 국장 = | 국장 크기 = <!----- 복수 변수 사용 시 -----> | 국기2 = | 국기2 크기 = | 국기2 설명 = | 국장2 = | 국장2 크기 = | 국장2 설명 =
국가 정보 틀에서는 국기와 국장을 기재할 수 있는 변수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만약 '국기/국장' 변수에서 복수의 변수가 필요할 경우, '국기/국장2' 변수를 사용하여 국기나 국장을 하나 더 기재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점은, 국기/국장이 세 개인 경우 셀을 1:2, 2:1로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를 대비해서 '국기/국장2' 변수를 적용해 국기/국장 칸을 1:2, 2:1로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양식
{{와샤 국가 정보 | 테두리 색 = | 글씨색 = | 글씨색2 = | 글씨색3 = | 배경색 = | 배경색2 = | 배경색3 = | 언어명1 = | 언어1 = | 국명 = | 정식 국명 = | 현지 국명 = | 심볼 = | 심볼 크기 = | 국기 = | 국기 크기 = | 국장 = | 국장 크기 = | 국기2 = | 국기2 크기 = | 국기2 설명 = | 국장2 = | 국장2 크기 = | 국장2 설명 = | 국기3 = | 국기3 크기 = | 국기3 설명 = | 국장3 = | 국장3 크기 = | 국장3 설명 = | 표어 = | 국가 = | 국화 = | 국조 = | 국수 = | 국목 = | 역사 = | 지도 = | 지도 설명 = | 최대 수도 = | 수도 = | 최대 도시 = | 면적 = | 구성국 = | 접경국 = | 내수면 = | 총 인구 = | 인구 연도 = | 인구 순위 = | 민족 구성 = | 민족 연도 = | 인구 밀도 = | 밀도 연도 = | 출산율 = | 기대 수명 = | 기대 연도 = | 평균 수명 = | 평균 연도 = | 공용어 = | 지역어 = | 방언 = | 외국어 = | 공용 문자 = | 국교 = | 종교 비율 = | 종교 연도 = | 자국군 = | 주둔군 = | 충원방식 = | 보유 현황 = | 군사력 = | 군사력 순위 = | 군사력 연도 = | 국방비 = | 국방비 순위 = | 국방비 연도 = | 구역명1 = | 구역1 = | 국체 = | 정치 체제 = | 법계 = | 민주 지수 = | 원수 직명 = | 국가 원수 = | 수반 직명 = | 정부 수반 = | 각료 직명1 = | 각료1 = | 각료 직명2 = | 각료2 = | 여당 = | 연립 여당 = | 신임 보완 = | 야당 = | 경제 체제 = | 전체 GDP = | 1인당 GDP = | 전체 PPP = | 1인당 PPP = | 국부 = | 수입 = | 수입연도 = | 수출 = | 수출연도 = | 세입 = | 세입연도 = | 세출 = | 세출연도 = | 외환보유고 = | 신용 등급 = | 통화 = | 소속 기구 = | 유엔 가입 = | 대한수교현황 = | 무비자 = | 대사관 = | 수교국 = | 도메인 = | 국가 코드 = | 전화 코드 = | 법정 연호 = | 역법 = | 시간대 = | 서머타임 = | 통행방향 = | 도량형 = | 여행유의 = | 여행자제 = | 출국권고 = | 여행금지 = | 특별주의보 = | 특별경보 = | 홈페이지 = }}
예시
[ 언어별 명칭 ]
| ||||||||||||||||||||||||||||||||||||
| ||||||||||||||||||||||||||||||||||||
| ||||||||||||||||||||||||||||||||||||
Dieu et mon droit 신과 나의 권리 | ||||||||||||||||||||||||||||||||||||
상징 | ||||||||||||||||||||||||||||||||||||
국가 | God Save the Queen | |||||||||||||||||||||||||||||||||||
국화 | 없음 | |||||||||||||||||||||||||||||||||||
국수 | 사자 | |||||||||||||||||||||||||||||||||||
국조 | 꼬까울새 | |||||||||||||||||||||||||||||||||||
역사 | ||||||||||||||||||||||||||||||||||||
영국 통일 1707년 5월 1일 아일랜드 왕국 합병 1801년 1월 1일 아일랜드 자유국 분리 1922년 12월 5일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군사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및 기타 | ||||||||||||||||||||||||||||||||||||
[ 펼치기 · 접기 ]
| ||||||||||||||||||||||||||||||||||||
여행 경보 | ||||||||||||||||||||||||||||||||||||
여행유의 | 전 지역 | |||||||||||||||||||||||||||||||||||
홈페이지 | ||||||||||||||||||||||||||||||||||||
정부, 관광청 |
둘러보기
와샤 제작 틀 |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