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부 (The Eternal Empire)

대한제국
광역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경(京)

중경 한성부
中京 韓城部

상경 장춘부
上京 長春部

동경 강호부
東京 江戶部

서경 평양부
西京 平壤部

성경 심양부
盛京 瀋陽部

남경 부산부
南京 釜山部

화경 대판부
和京 大坂部
부(府)

개성부
開城部

수원부
水原部

양주부
楊州部

성남부
城南部

안양부
安養部

용인부
龍仁部

울산부
蔚山部

대구부
大丘部

전주부
全州部

삼화부
三和部

함흥부
咸興部

청진부
淸津部

의주부
義州部

복강부
福岡部

경도부
京都部

명고부
名古部

횡빈부
横浜部

찰황부
札幌部

합빈부
哈滨部

비사부
卑沙部

길림부
吉林部

해삼위부
海參崴部

백력부
伯力部

대북부
臺北部
도(道)

충청남도
忠淸南道

충청북도
忠淸北道

전라남도
全羅南道

전라북도
全羅北道

경상남도
慶尙南道

경상북도
慶尙北道

황해남도
黃海南道

황해북도
黃海北道

평안남도
平安南道

평안북도
平安北道

함경남도
咸鏡南道

함경북도
咸鏡北道

강원도
江原道

나화도
那花道

대만남도
臺灣南道

대만북도
臺灣北道

복록남도
福鹿南道

복록북도
福鹿北道

광강남도
廣岡南道

광강북도
廣岡北道

대경남도
大京南道

대경북도
大京北道

명장남도
名静南道

명장북도
名静北道

신금남도
新金南道

신금북도
新金北道

고송도
高松道

강횡도
江橫道

우천남도
宇千南道

우천북도
宇千北道

선청남도
仙靑南道

선청북도
仙靑北道

찰함남도
札函南道

찰함북도
札函北道

연용남도
延龙南道

연용북도
延龙北道

국혼남도
國渾南道

국혼북도
國渾北道

단본남도
丹本南道

단본북도
丹本北道

비안남도
卑安南道

비안북도
卑安北道

심요남도
瀋遼南道

심요북도
瀋遼北道

장길남도
長吉南道

장길북도
長吉北道

합목남도
哈牡南道

합목북도
哈牡北道

제대남도
齊大南道

제대북도
齊大北道

화태도
樺太道

가계도
佳鷄道

금조남도
錦朝南道

금조북도
錦朝北道

적통남도
赤通南道

적통북도
赤通北道

백송도
白松道

금묘도
金庙道

해솔남도
海率南道

해솔북도
海率北道

백극남도
伯棘南道

백극북도
伯棘北道
대한제국의 경부(京府)급 부
중경 한성부
韓城府 | Hanseong
부기

지도를 불러오는 중...

부청 소재지
중구 세종대로 110
하위 행정구역
61구
인구
27,551,132명
인구밀도
9,351.22명/km2
면적
2,946.26㎢
GDP
2조3657억$
1인당 GDP
123,713$
부윤
부의회
IATA 도시 코드
HAS
남산과 한성부 시내전경

개요

한성부는 대한제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이다.
조선시대부터 600년간 대한의 수도였으며 뉴욕,런던과 함께 세계 3대 도시중 하나로 손꼽히는 대도시이며,개성부,양주부,안양부,수원부,성남부,용인부,황해북도 남부,충청남도 북부,강원도 서부등의 인근 권역의 인구를 합쳐 약5000만명의 세계 최대규모의 도시권을 형성한다.

명칭

대한의 성이라는 뜻의 한성으로 1857년 칭제건원이후 당시 한족에게서 벗어낫으니 한(漢)이라는 명칭을 바꿔야한다는 여론이 커졌고,당시 의견들은 수도를 의미하는 한문명 경성(京城)으로 바꾸자,아예 순우리말인 서울로 바꾸자는 의견도 있었으나,문조가 명칭변경이 혼란을 유발할수있다며 한자를 이 한(漢)에서 한민족을 의미하는 이 한(韓)으로 변경하기로 했고,그렇게 한성부(韓城部)는 현재의 명칭으로 유지되어오고있다.

역사

고대의 백제시대부터 위례성이라는 이름으로[1]백제의 수도로 기능했고 이후에도 삼국시대에는 삼국이 차지하려는 요충지로서,신라가 남부를 장악한 이후로는 한양이라 불리며[2]변방취급을 받았으나 고려시대부터 남경으로 변경되며 요충지로서 성장하다가,조선시대부터는 수도로서 기능했다.수백년간 수도이자 최대도시로서 기능하던 한성은 제국주의의 시대에 돌입하면서 전차가 다니고 밤에는 조명이 들어오는 근대도시로서 발전했고,그 과정에서 한성의 부역또한 대대적으로 확장되었다.한성도심인구가 과밀되자 1895년 한성부는 현 강남3구및 서초,관악을 병합했고,1914년 강서,양천,구로를 병합했다.이후 군사정권시기인 1940년 고양,광명,과천,하남등 주변도시를 병합,1950년 경인통합으로 인천일대를 병합,1970년에 남양주,의정부를 합병하며 현재의 부역을 완성했다.동아대전이후 중원에서 착취한 부로 한성은 빛나는 발전을 이루었다.1964년엔 올림픽을 개최하며 이를 세계에 과시했고,그 60년대에 이르러선 한성에는 인구수용이 더이상 어려운수준에 이르러 주변지역에 아파트와 상업지구로 가득한 신도시들이 지어지며 한성이라는 도시는 한성부 그이상으로 뻗어가고 현재에도 2천만 인구를 자랑하는 제국 최대의,아시아 최대,세계 제1도시로 우뚝서게되었다.

하위 행정구역

한성부
기초자치구역
[ 펼치기 · 접기 ]
용산구 중구 종로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일산서구 일산동구 벽제구 삼송구 행주구
대덕구 덕양구 구리구 미사구 위례구
과천구 광명구
한성부 지도
구명 인구 비고
중구 291,322명
종로구 309,378명
용산구 452,175명
성동구 517,090명
광진구 575,335명
동대문구 582,983명
중랑구 622,284명
성북구 664,916명
강북구 527,490명
도봉구 546,722명
노원구 737,237명
은평구 706,474명
서대문구 545,857명
마포구 603,679명
양천구 605,548명
강서구 753,550명
구로구 632,311명
금천구 467,457명
영등포구 614,985명
동작구 618,360명
관악구 721,872명
서초구 647,768명
강남구 789,154명
송파구 843,989명
강동구 699,389명
서일산구 440,610명
동일산구 343,740명
고봉구 372,366명
삼송구 353,076명
행주구 292,189명
대덕구 416,147명
덕양구 346,753명
구리구 426,846명
미사구 395,344명
위례구 254,344명
과천구 251,071명
광명구 519,943명
제물포구 203,424명
미추홀구 458,885명
연수구 376,241명
송도구 356,737명
남동구 585,619명
계양구 381,101명
부평구 504,485명
검단구 403,438명
청라구 282,099명
석남구 273,103명
영종구 302,962명
소사구 248,977명
원미구 248,977명
오정구 412,260명
김포구 486,258명
통진구 434,955명
강화구 275,564명
장흥구 110,741명
의정부구 644,397명
별내구 325,416명
진접구 401,856명
미금구 366,391명
산동구 314,124명

한성부는 61개 자치구로 구성되어있다.

교통

한성철도공사및 코레일 관할노선들

노선명 색상 개통년도 기점/종점 연장
1호선 1920년 철원역
신창역,인천역,조치원역
269.2km
2호선 1936년 순환선
시청-강남-여의도-시청
48.8km
3호선 1955년 대화역
덕풍역
67.4km
4호선 1956년 진접역
오이도역
67.4km
5호선 1969년 방화역
팔당역,마천역
69.6km
6호선 1973년 응암역
신내역
36.4km
7호선 1970년 석남역
포천역
105.1㎞
8호선 1972년 별내별가람역
모란역
33.4km
9호선 1988년 양촌역
샘터공원역
65.6km
10호선 1980년 개성역
원주역
188.9km
11호선 1990년 한양대안산캠퍼스역
토평역
46.8km
12호선 1992년 신월역
광교역
62.6km
13호선 1986년 인천역
상계역
117.9km
14호선 2002년 우이역,광운대역
춘천역
105.6km
15호선 2009년 서울대역
용산역
12.53km
  1. 이때부터 한성이라고도 불렸다.
  2. 해당 명칭은 조선시대까지 한성과 함께 사용된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