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가공 국가'''({{llang|zh|加工國家}})는 [[만화]], [[소설]], [[영화]]를 비롯하여 각종 [[대중매체]]에 폭넓게 자리잡은 나라 혹은 그에 준하는 정치집단, 기구들을 말한다. '가공'(加工)의 의미가 '인공적으로 처리되는'<ref>네이버 어학사전 '가공'(加工)의 의미<br>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EA%B0%80%EA%B3%B5&query=%EA%B0%80%EA%B3%B5&target=dic&query_utf=&isOnlyViewEE=</ref>을 포함하는 만큼 '인공국가'(人工國家), '가상국가'(假想國家)로 불러도 무방하다. 국내에서는 자체적인 인터넷 상의 존재하는 국가들을 [[가상국가]]로서 정의하는 만큼<ref>국내 위키에서 정의한 가상국가<br> https://namu.wiki/w/%EA%B0%80%EC%83%81%20%EA%B5%AD%EA%B0%80</ref><ref>[[제이위키]] 내 [[가상국가]]의 문서에서는 '가상국가는 인터넷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가공의 나라로, 문학이나 영화 등 다른 대중문화 컨텐츠에 등장하는 가공의 나라와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라고 언급하여 차이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ref> 의미에 대해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창작물 속 설정의 존재하는 국가들이기에 '허구의 국가'(Fictional countries)<ref>한국 위키백과에서 정의한 허구 국가<br>https://ko.wikipedia.org/wiki/%ED%97%88%EA%B5%AC_%EA%B5%AD%EA%B0%80</ref>라는 개념과 일맥상통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이위키]]에서의 가공 국가== [[제이위키]]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 국가의 개념이 정립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창작자]]의 이상 혹은 특정한 목적(예를 들면 창작자가 생각하는 '이상향')을 갖추고 만들어지는 허구 사회, 허구의 존재를 말하며, [[리반|본인]]은 이를 '창작가공국가'(創作加工國家)라고 정의하고 싶다. 또, 창작가공국가의 개념과는 상당 부분 일치하나 특정한 [[소설]], [[만화]] 등을 비롯한 [[대중매체]](특히 [[하위문화]])의 요소나 창작된 [[설정]]들을 기반으로 모티브를 하거나 오마주, 패러디를 통해 만들어 나가는 것을 [[리반|본인]]은 '희인가공국가'(喜引加工國家)라고 본다.<ref>본 정의는 오로지 위키 작성자 개인의 뇌피셜이므로 여러 번 다듬어질 필요성이 있습니다.</ref> '창작가공국가'의 정의는 '창작자의 이상 및 목적을 바탕으로 한 허구 사회 건립'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희인가공국가'의 정의된 '오마주, 패러디, 모티브를 기반으로 한 이상 및 특정한 목적을 갖춘 허구 사회 건립'이라는 맥락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볼 수 있다. 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창작가공국가'는 순전히 [[창작자]]의 생각에서 구현되는 것이고, '희인가공국가'는 특정한 매체에서 영감이나 존경을 기반으로 [[창작자]]가 새로이 써내려 간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ref>여기서 논의될 수 있는 점은 [[창작가공국가]]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특정 매체에서 바탕되는 설정을 인위적으로 넣거나 특정 매체에서 언급되는 가공의 인물, 개념을 활용하게 될 시 이것을 창작가공국가의 특수한 범주로서 포함시켜야 할 지, 희인가공국가의 또 다른 부류로 보아야 할 지 정의하기 애매하다. 이 또한 특정 개인의 뇌피셜이 아닌, 다양하게 다듬어질 필요성이 있다.</ref> '창작가공국가'의 정의를 위에서 다시 살펴 보자면 ''''허구 사회 건립''''을 중점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현실에]] [[일본|이미 존재하는]] 국가들도 그 정의에 맞게 새로이 써내려 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창작가공국가' 내에서의 '정의'에 부합시켜 보자면 '창작'의 기준이 [[창작자]]가 완전히 새로운 [[판타지]] 세계를 건립하거나, [[미래]] 세계를 창조해야 한다는 필수 조건으로 작용해야 된다는 것은 아닌 셈이다. 또, '희인가공국가'의 모든 설정과 개념을 비롯하여 창작자가 적용시킬 특정 매체에서 진행된 스토리나 상황을 무조건적으로 표현할 필요성은 없다. 이 또한 '특정 매체와 영감, 존경을 기반으로 '''[[창작자]]가 새로이 써내려 간다''''라는 정의에 부합시켜 보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제이위키]] 내 가공 국가 분류<ref>위에서 정의된 가공 국가의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함.</ref>=== * ==각주==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Lang (원본 보기) 틀:Llang (원본 보기) 틀:각주 (원본 보기) (보호됨)틀:각주/styles.css (원본 보기) 틀:다른 뜻 (원본 보기) 틀:다른 뜻 설명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모듈:Langname (원본 보기) 모듈:Langname/data (원본 보기) 가공 국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