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d164a; max-width:500px;"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d164a; border:1px solid #FFFFFF; " |'''<span style="color:#FFFFFF"><big><big>2008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big></big><br>2008 Republic of Korea presidential election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FFFFFF; border:1px solid #FFFFFF; " | [[파일:2008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결과.png|500px]]<br><div style="margin: -10px 0px">{{글씨 크기|8|▼}}</div>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aaaaaa; text-align:left;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65.7%, #fff 65.7%, #fff 65.9%, #00A6EF 65.9%, #00A6EF 100.0%);" | {{align|left|{{글씨 크기|11.5|이명박}} {{글씨 크기|8.5|30,661,075표 (64.6%)}} {{글씨 크기|10|✔}}}} {{align|right|{{글씨 크기|8.5|(33.6%) 15,967,320표}} {{글씨 크기|11.5|정동영}}}}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d164a; border:1px solid #FFFDFF; " | |- |colspan="5"| <div class="wikipedia-ko shortcuts main-box"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30px;"> <small>2004년 11월 2일</small><br>[[2004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2018년 선거]]</div> <div class="wikipedia-ko shortcuts main-box"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0px; "> →</div> <div class="wikipedia-ko shortcuts main-box"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30px; "> <small>2008년 11월 4일</small><br>[[2008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2020년 선거]]</div> <div class="wikipedia-ko shortcuts main-box"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0px; "> →</div> <div class="wikipedia-ko shortcuts main-box"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30px; "> <small>2012년 11월 6일</small><br>[[201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2022년 선거]]</div>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d164a; " | |- | width=25%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d164a; " | '''투표율''' | colspan="4" align=left | 66.95% |- | width=25%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d164a; " | '''투표자 수''' | colspan="4" align=left | 47,458,944표 |- |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d164a; " | '''선거 일시''' | colspan="4" align=left | 2008년 11월 4일 6시 ~ 18시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d164a; " | {{글씨 색|#fff|'''선거 결과'''}} |- |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d164a; " | '''정당 및 지도부''' | colspan="2" | {{민주당 (국민세계관)}}<br><small>'''대통령'''</small> '''[[정동영]]'''<br><small>'''부통령'''</small> '''[[노웅래]]''' | colspan="2" | {{공화당 (국민세계관)}}<br><small>'''대통령'''</small> '''[[이명박]]'''<br><small>'''부통령'''</small> '''[[김황식]]'''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f5f5f5; color:#0d164a; " | '''득표수'''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AAAAAA; text-align:left; color:#FFF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6EF 33.6%, #f5f5f5 33.6%, #f5f5f5 35.4%, #E81018 35.4%) | |- | colspan="2" | 33.64%<br>15,967,320표 | colspan="2" | '''64.61%<br>30,661,075표'''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aaaaaa; text-align:left;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4a 49.9%, #fff 49.9%, #fff 50.1%, #0d164a 50.1%, #0d164a 100.0%);" | {{align|left|{{여백|5em}}{{글씨 크기|10|대통령 당선인}} }} {{align|right|{{글씨 크기|10|부통령 당선인}} {{여백|5em}}}}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FFFFFF; border:1px solid #FFFFFF; " | <div><div style="margin: -4px -9px"><span style="display: inline-block;">[[파일:이명박-김황식.png|500px]]</span></div>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E81018; color:#fff; border-bottom:1px solid #E81018;" | '''공화당'''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aaaaaa; text-align:left;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81018 49.9%, #fff 49.9%, #fff 50.1%, #E81018 50.1%, #E81018 100.0%);" | {{align|center|{{글씨 크기|14|이명박{{여백|10em}}김황식}} }} |- |} == 개요 == [[대한민국 (국민세계관)|대한민국]]의 12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2008년 [[11월 4일]]에 실시 되었고, 2000년대에 치뤄진 마지막 대선이다. '''그 결과 [[이명박]] 후보가 [[정동영]] 후보를 득표율 30.97%p, 득표차는 14,693,755표로 양당체제 출범 이후 현재까지 최다 득표차로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어 네 번째 정권 교체'''를 이루게 되었다. 득표수와 득표율 차이 모두 '''2008년 대통령 선거가 최고치이다.''' 투표율은 67%로 평균 수준을 기록했다. '''[[노무현]] 정부 후반에서 말기는 부동산 정책의 실패와 임기 말 권력누수 현상, 그리고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따른 대침체로 인해 여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공화당에서는 개가 나와도 당선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고, 임기 7년 차에는 대통령 지지율이 10%대까지 하락하기도 했었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에다 여권에 대한 실망감까지 더해져 [[민주당 (국민세계관)|민주당]]은 [[2006년 대한민국 중간선거|2006년 중간선거]]를 포함한 모든 선거에서 연달아 패배하며 과반 의석이 붕괴되었다. 대선 참패를 느낀 민주당 의원들은 개혁파인 임종인, 천정배 의원을 시작으로 조기 경선 실시를 주장했다. 당시 민주당 내 보수파의 영수 격 인물이었던 김한길과 그를 따르는 초재선 의원들을 주축으로 중도개혁통합모임, 중도통합모임 등을 따로 당내에 차려 당의 권력 집중을 방해하며 민주당 내부에서 이합집산을 거듭했으며, 두 차례 민주당의 전국위원회 의장을 지낸 [[정동영]] 전 장관과 하원의장을 지낸 문희상, 김근태 의원도 새로운 모임에 가담함으로서 기존 노무현 정부와의 차별성을 추구하려고 했다. 하지만 결국 계파 대통합을 주장하며 하나로 합쳐진 모임은 민주당의 한자리수 지지율로 응대받았으며, 설상가상으로 노무현 대통령과는 차별적이고 안정적인 행보로 국민들에게 큰 인상을 남겨 여권에서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였던 현직 부통령인 고건마저 불출마를 선언함으로서 여권에서는 [[박근혜]], [[이명박]] 대세론을 뒤집을만한 여력을 가진 뚜렷한 유력 대권주자 없이 정동영(전 주택도시개발부장관), 손학규(전 경기부지사), 이해찬(전 부통령), 유시민(전 보건사회복지부장관) 등이 최종경선에 참여했고 지지율과 조직력 측면에서 앞서있던 정동영이 승리함에 따라 여권의 대권주자로 나서게 되었다. 야당인 '''[[공화당 (국민세계관)|공화당]]은 [[이명박]]과 [[박근혜]]의 치열한 경선 끝에 이명박이 승리'''를 거머쥐어 대선후보로 확정되었다. == 경선과정 == === 공화당 === ==== 결과 ==== === 민주당 === ==== 결과 ==== == 본선 == === 극단적인 선거운동의 차이 === == 출구조사 == == 개표 과정 == == 결과 == == 각주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Align (원본 보기) 틀:공화당 (국민세계관)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민주당 (국민세계관) (원본 보기) 틀:여백 (원본 보기) 틀:정렬 (원본 보기) 틀:중앙 (원본 보기) 2008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