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신공 신배너}} {{일본 국회의 원내구성}}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max-width:550px; text-align:center;" |- ! colspan="5" style="width:550px; background:#0070c8; color:#fff;" | 일본의 보수주의 정당 |- | width=33% | [[입헌민정당 (신공)|{{글씨 색|#008800|입헌민정당}}]] | rowspan="3" | → | width=33% rowspan="3" style="background:#E50038; color:#fff;" | '''자유민주당''' | → | width=33% style="background:#E50038; color:#fff;" | '''자유민주당''' |- | [[입헌정우회 (신공)|{{글씨 색|#ff0000|입헌정우회}}]] | rowspan="2" | → | [[차세대당|{{글씨 색|#0263AA|차세대당}}]] |- | [[대정익찬회|{{글씨 색|#be0026|대정익찬회}}]] | [[신생당|{{글씨 색|#037766|신생당}}]]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E50038; color:#000; max-width:435px; float:right; font-size:10.5pt;" |- | colspan="2" align=center style="height:150px;" | [[파일:플로라_자유민주당(일본)_로고.svg|295px]] |- ! colspan="2" style="width:435px; background:#E50038; color:#fff;" | {{large|자유민주당}}<br>自由民主党 |- ! width=30% style="color:#E50038;" | 등록 약칭 | '''자민(自民)''' |- ! style="color:#E50038;" | 영문 명칭 |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 ! style="color:#E50038;" | 슬로건 | {{글씨 색|#E50038|'''政治は国民のもの。<br>정치는 국민의 것.'''}} |- ! style="color:#E50038;" | 창당 | [[1955년]] [[11월]] |- ! rowspan="2" style="color:#E50038;" | 전신 | [[입헌민정당 (신공)|{{글씨 색|#008800|입헌민정당}}]], [[입헌정우회 (신공)|{{글씨 색|#ff0000|입헌정우회}}]] <sub>(1955년 신설 창당)</sub> |- | [[대정익찬회|{{글씨 색|#be0026|대정익찬회}}]] <sub>(1959년 흡수 합당)</sub> |- ! style="color:#E50038;" | 총재 겸 총리 | [[모테기 도시미쓰]] <sub>/ 10선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39]]~[[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48]]대)</sub> |- ! style="color:#E50038;" | 부총재 | [[아소 다로]] <sub>/ 15선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34]]~[[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48]]대)</sub> |- ! style="color:#E50038;" | 간사장 | [[세코 히로시게]] <sub>/ 초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48]]대)</sub><ref>[[와카야마현 선거구|와카야마현]] 참의원 의원을 지내다가 [[니카이 도시히로]]의 은퇴로 빈 중의원 의원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5선 참의원 의원 출신.</ref> |- ! style="color:#E50038;" | 이념 |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구분선}}'''분파:''' [[자유보수주의]], [[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보수좌파]]), [[우익대중주의]] |- ! style="color:#E50038;" | 스펙트럼 | [[중도좌파]] ~ [[극우]]{{구분선}}'''주류:''' [[중도우파]] ~ [[우익]]<ref>대체로 보수 본류파는 중도~중도우파 성향, 방류파는 우익~극우 성향이지만, [[아베 신조 (신공)|아베 신조]]와 [[기시 노부스케 (신공)|기시 노부스케]]를 제외한 모든 자민당 출신 총리가 본류파였던만큼 중도적인 성향이 강햔 편이다. 당 자체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어서, 아예 [[미키 다케오]]의 뜻을 잇는 좌파 성향 파벌도 존재한다.</ref> |- ! style="color:#E50038;" | 참의원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50038 42.7%, transparent 42.7%); color:#fff;" | '''135석<ref>지역구 -석, 비례대표 -석</ref> / 316석 (42.7%)''' |- ! style="color:#E50038;" | 중의원 |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aaa;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50038 50.3%, transparent 50.3%); color:#fff;" | '''317석<ref>지역구 -석, 비례대표 -석</ref> / 630석 (50.3%)''' |- ! rowspan="2" style="color:#E50038;" | 당색 | <span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50038; color: #fff;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빨간색 {{글씨 크기|9|(#E50038)}}</span> |- | <span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3CA324; color: #fff;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초록색 {{글씨 크기|9|(#3CA324)}}</span> |- ! style="color:#E50038;" | 당원 수 | 7,955,115명 <sub>(2022년 1월 기준)</sub> |- ! style="color:#E50038;" | 국제조직 | {{국제민주연합}} |- ! style="color:#E50038;" | 당가 | [[우리들]] |- ! style="color:#E50038;" | 홈페이지 | [[파일:플로라_자유민주당(일본)_로고.svg|x22px]] |- ! style="color:#E50038;" | SNS | [[파일:트위터 아이콘.png|22px]]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22px]] |- |} {{목차}} == 개요 == [[일본 (신공)|일본]]의 정당. 현 집권 여당이자 최대의 보수 정당이다. 총재는 현 총리이기도 한 [[모테기 도시미쓰]]. == 역사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1954년 중의원 선거]]에서 [[일본사회당 (신공)|일본사회당]]에게 정권을 다시 내어주게 된 [[입헌민정당 (신공)|입헌민정당]]과 [[입헌정우회 (신공)|입헌정우회]]의 주요 정치인들이 사회주의자에 맞서는 반공주의자들의 구심점을 세우고자 1955년 10월 창당하였다. 초기 당대표는 보수 방류파에 속하는 [[하토야마 이치로]]가 맡았으며 이후 1957년 당대회에서 [[기시 노부스케]]가 하토야마 이치로의 뒤를 잇는 제2대 총재로 선출된다. 그리고 1958년, [[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신공)|제2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결집된 우익의 표심을 바탕으로 사회당을 밀어내고 정권을 되찾게 되면서 기시 노부스케 역시 총리로 지명되었다. 1960년에는 미국과의 [[미일 안보조약]]에서 일본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태평양간 미일 동맹을 체결하면서 지지율이 고공행진했고 기시는 1970년까지 총리로 재임한다. 그러나 12년에 달하는 집권 기간동안 자유민주당 내 온건파들 사이에서는 반기시를 목표로 한 공동 전선이 형성되었고 결국 당내 파워 게임에서 밀린 기시는 1970년 총리직을 사임한 후 온건파인 [[사토 에이사쿠]]에게 정권을 내어주게 되었다. 그러나 사토 내각의 인기는 그리 높지 않았고, 기시 내각 시절 추구한 핵무장을 평화주의 추구를 이유로 일부 파기하면서 국민적인 지지율이 하락했다. 결국 사토가 총리에 취임한지 3년만인 1973년, 총선거에서 사회민주주의와 보장국가를 내세운 [[에다 사부로]] 위원장의 사회당이 무려 15년만에 정권을 되찾으면서 자유민주당은 야당으로 되돌아간다. 사토 에이사쿠 총재가 퇴진한 이후, 다시 기시의 제자였던 [[후쿠다 다케오]]가 총재직을 차지하나, [[나리타 도모미]]와 [[사사키 고조|사사키파]]의 집단 탈당으로 인해 사회당의 과반이 붕괴되어 치러진 1974년의 조기 총선에서 후쿠다의 자민당이 참패하며 위기에 몰렸다. 이후 1975년 당대회에서 후쿠다와 대항하던 [[다나카 가쿠에이]]가 총재로 선출되었고 이에 후쿠다가 반발하며 온건파와 강경파의 싸움인 [[각복전쟁]]이 거의 20년간 이어졌다. 후쿠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방류파는 결국 당권 장악에 실패했으며 [[미키 다케오]]와 연립한 다나카는 1978년 총선에서 승리한 이후 1984년 [[나카소네 야스히로 (신공)|나카소네 야스히로]]에게 총리직을 물려줄때까지 쭉 집권하였다. 1986년에는 [[마돈나 붐]]으로 불리는 [[도이 다카코]]의 사회당 열풍으로 1년간 정권을 내어주나 중국 공산당 정권과 연계가 있던 도이 내각이 결국 내란 논란으로 붕괴하면서, 1987년 당은 다시 정권을 되찾는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Clearfix (원본 보기) 틀:Large (원본 보기) 틀:Resize (원본 보기) 틀:구분선 (원본 보기) 틀:국제민주연합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둥근상자5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신공 신배너 (원본 보기) 틀:여백 (원본 보기) 틀:역대 자유민주당 총재 (원본 보기) 틀:일본 국회의 원내구성 (원본 보기) 자유민주당 (신공)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