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관리자.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민국 38]][[분류:설정]]{{틀:민국 38}}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900px; border:2px solid #000095;"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ff;"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중화민국 육군 보병.jpg|600px]]</div></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ff;"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99식 전차.jpeg|600px]]</div></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ff;"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랴오닝급.png|600px]]</div></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ff;"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055형 구축함.png|600px]]</div></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ff;"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H-6.png|600px]]</div></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fff;"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청두 J-20.jpg|600px]]</div></center> |- |} ---- {{나무위키 군사정보 | 너비 = 450 | 테두리 색 = #3d5114 | 틀 색 = #3d5114 | 글씨 색 = #fff | 명칭 = 중화민국 국군 | 원어 명칭 = 中華民國國軍 | 로고 = 중화민국 국방부 문장.png | 표어 = 博愛、奉獻、真誠<br>박애, 봉헌, 진성 | 국가 = {{국기나라|중화민국 (민국 38)}} | 소속 = 중화민국 국방부 | 통수권자 = 중화민국 총통 | 군령권자 = 중화민국 국방부 장관 | 상비군 = 2,185,000명 | 예비군 = 1,850,000명 | 전시 최대 가용 인원 = | 병역제도 = 모병제 | 범례 너비 = 50% | 범례 배경 색 = #d2cfca | 범례 배경 색2 = #b0cecb | 범례 글씨 색 = #000 | 육군 장비 분류 1 이름 = 3세대 전차 | 육군 장비 분류 1 = 1,100대 | 육군 장비 분류 2 이름 = 2세대 전차 | 육군 장비 분류 2 = 3,000대 | 육군 장비 분류 3 이름 = 1세대 전차 | 육군 장비 분류 3 = 1,850대 | 육군 장비 분류 4 이름 = 경전차 | 육군 장비 분류 4 = 450대 | 육군 장비 분류 5 이름 = 전차 총합 | 육군 장비 분류 5 = 6,250대 | 육군 장비 분류 6 이름 = 장갑차 (APCs/IFVs) | 육군 장비 분류 6 = 8,950대 | 육군 장비 분류 7 이름 = 견인포 | 육군 장비 분류 7 = 3,600문 (6,246문) | 육군 장비 분류 8 이름 = 자주포 | 육군 장비 분류 8 = 2,120문 | 육군 장비 분류 9 이름 = MLRS | 육군 장비 분류 9 = 1,550문 | 육군 장비 분류 10 이름 = 수송 차량 | 육군 장비 분류 10 = 5,850대 | 함정·소정 총합 1 이름 = 해군 전투함 총합 | 함정·소정 총합 1 = 777석 | 함정·소정 총합 10 이름 = 잠수함 총합 | 함정·소정 총합 10 = 71 척 (+12척, +α척) | 수상함 유무 = on | 수상함 종류 1 이름 = 1만톤 이상 ~ 1만 5천톤 미만<br>이지스 구축함 | 수상함 종류 1 = 1척 (+7척) | 수상함 종류 2 이름 = 7천톤 이상 ~ 8천톤 미만<br>준이지스 구축함 | 수상함 종류 2 = 21척 (+12척) | 수상함 종류 3 이름 = 7천톤 이상 ~ 8천톤 미만<br>구축함 | 수상함 종류 3 = 4척 (항저우급) | 수상함 종류 4 이름 = 6천톤 이상 ~ 7천톤 미만<br>구축함 | 수상함 종류 4 = 3척 (광저우급, 선진급) | 수상함 종류 5 이름 = 5천톤 이상 ~ 6천톤 미만<br>구축함 | 수상함 종류 5 = 2척 (루후급(Type 052)) | 수상함 종류 6 이름 = 4천톤 이상 ~ 5천톤 미만<br>호위함 | 수상함 종류 6 = 32척 (장카이급) | 수상함 종류 7 이름 = 2천톤 이상 ~ 2천5백톤 미만<br>호위함 | 수상함 종류 7 = 20척 | 수상함 종류 8 이름 = 1천톤 이상 ~ 1천5백톤 미만<br>초계함 | 수상함 종류 8 = 50척 (+20척) | 수상함 종류 9 이름 = 5백톤 이상 ~ 6백톤 미만<br>미사일 고속함 | 수상함 종류 9 = 6척 | 수상함 종류 10 이름 = 4백톤 이상 ~ 5백톤 미만<br>미사일 고속정 | 수상함 종류 10 = 20척 | 수상함 종류 11 이름 = 2백톤 이상 ~ 3백톤 미만<br>미사일 고속정 | 수상함 종류 11 = 83척 (후베이급) | 수상함 종류 12 이름 = 4백톤 이상 ~ 5백톤 미만<br>고속정, 초계정 | 수상함 종류 12 = 78척 | 수상함 종류 13 이름 = 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br>고속정, 초계정 | 수상함 종류 13 = 16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유무 = on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1 이름 = 6만톤 이상 ~ 7만톤 미만<br>항공모함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1 = 1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2 이름 = 5만톤 이상 ~ 6만톤 미만<br>항공모함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2 = (+2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3 이름 = 2만톤 이상 ~ 2만5천톤 미만<br>LPD, LSD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3 = 6척(+2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4 이름 = 3천톤 이상 ~ 5천톤 미만<br>LST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4 = 30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5 이름 = 2천톤 이상 ~ 3천톤 미만<br>LSU, LSM 수송함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5 = 11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6 이름 = 1천톤 이상 ~ 2천톤 미만<br>LSU, LSM 수송함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6 = 12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7 이름 = 5백톤 이상 ~ 1천톤 미만<br>LSU, LSM 수송함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7 = 45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8 이름 = 5백톤 이상 ~ 1천톤 미만<br>LCM, LC 수송함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8 = 100척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9 이름 = 1백톤 이상 ~ 2백톤 미만<br>LCM, LC 수송정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9 = 200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10 이름 = 50톤 이상 ~ 1백톤 미<br>LCM, LC 수송정 | 모함, 상륙함, 수송함, 상륙함 종류 10 = 30 | 잠수함 유무 = on | 잠수함 종류 1 이름 = 1만톤 이상 ~ 1만 5천 톤 미만<br>SSBN | 잠수함 종류 1 = (+ ?) | 잠수함 종류 2 이름 = 8천톤 이상 ~ 9천 톤 미만<br>SSBN | 잠수함 종류 2 = 5척 (+4척) | 잠수함 종류 3 이름 = 6천톤 이상 ~ 7천 톤 미만<br>SSBN | 잠수함 종류 3 = 1척 | 잠수함 종류 4 이름 = 7천톤 이상 ~ 8천 톤 미만<br>SSN | 잠수함 종류 4 = (+5척) | 잠수함 종류 5 이름 = 4천톤 이상 ~ 5천 톤 미만<br>SSN | 잠수함 종류 5 = 8척 (+1척) | 잠수함 종류 6 이름 = 2천5백톤 이상 ~ 3천 톤 미만<br>BM SSB | 잠수함 종류 6 = 1척 | 잠수함 종류 7 이름 = 2,300톤 이상 ~ 2,400톤 미만<br>SSK | 잠수함 종류 7 = 12척 | 잠수함 종류 8 이름 = 1900톤 이상 ~ 2천 톤 미만<br>SSK | 잠수함 종류 8 = 15척 (+5척) | 잠수함 종류 9 이름 = 1천5백톤 이상 ~ 1천6백톤 미만<br>SSK | 잠수함 종류 9 = 17척 | 공군 장비 분류 1 이름 = 5세대 전투기 | 공군 장비 분류 1 = 12기 | 공군 장비 분류 2 이름 = 4.5세대 전투기 | 공군 장비 분류 2 = 220기 (+90기) | 공군 장비 분류 3 이름 = 4세대 전투기 | 공군 장비 분류 3 = 627기 | 공군 장비 분류 4 이름 = 3세대 전투기 | 공군 장비 분류 4 = 636기 | 공군 장비 분류 5 이름 = 조기경보관제기 (AWACS) | 공군 장비 분류 5 = 4기 | 공군 장비 분류 6 이름 = 조기경보기 (AEW) | 공군 장비 분류 6 = 25기 | 공군 장비 분류 7 이름 = 공중급유기 | 공군 장비 분류 7 = 18기 | 공군 장비 분류 8 이름 = 공군기 총합 | 공군 장비 분류 8 = 약 1,483기 | 공군 장비 분류 9 이름 = 헬리콥터 | 공군 장비 분류 9 = 1,257기 | 공군 장비 분류 10 이름 = 항공기 총합 | 공군 장비 분류 10 = 3,210기 | 국방비 총합 = 2610억 달러 }} {{목차}} <ref>출처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4%91%EA%B5%AD%20%EC%9D%B8%EB%AF%BC%ED%95%B4%EB%B0%A9%EA%B5%B0 중국 인민해방군] 문서</ref> ==개요==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3d5114;"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text-align:right;" | {{youtube|CNSa-f6qHSM}} |- ! colspan="2" style="background:#3d5114; color:#fff;" "text-align:right;" | 중화민국 국방부의 홍보영상 |- |} '''중화민국 국군 (中華民國國軍)'''은 중화민국의 국군이자 세계 최대의 상비군 집단이다. 초기에는 국민혁명군 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으며 이 당시에는 중국 국민당의 당군이였다. 현재의 강군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당시에는 부패와 비리가 만연한 무능한 군대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국공내전이 종결되고 장제스가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추구하면서 군벌들을 싹다 정리하고 속군작업을 펼치며 부패의 싹을 뽑았으며 군 현대화 작업을 통해 현재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육군, 해군, 공군, 해군육전대(해병대)의 주요4군(主要4軍)과 헌병, 정보전략군, 전략로켓군, 해안경비대의 보조4군(步調4軍) 그리고 예비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병제를 실시하고 있다. ==육군== ==해군== ==공군== ==해군육전대== ==헌병== ==정보전략군== ==전략로켓군== ==해안경비대== ==예비군== ==전구== {| class="wikitable" style="width:6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3d5114;"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text-align:right;" | [[파일:중화민국 5대전구.png|600]] |- ! colspan="2" style="background:#3d5114; color:#fff;" "text-align:right;" | 중국군의 5대전구 |- |} 중화민국 국군은 전국은 5개의 관구로 나뉘어 관리하고 있으며 서북, 서남, 동북, 동남, 중앙전구가 그것이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Large (원본 보기) 틀:Resize (원본 보기) 틀:Youtube (원본 보기) 틀:국기나라 (원본 보기) 틀:국기나라/구현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나라자료 중화민국 (민국 38) (원본 보기) 틀:나무위키 군사 정보 (원본 보기) 틀:나무위키 군사정보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민국 38 (원본 보기) 중화민국 국군 (민국 38)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