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padding: 6px -1px 11px; text-align: center; max-width:100%; border: 2px solid #...)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cd2e3a;" | " | {|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cd2e3a;" | " | ||
|- | |- | ||
| align=right colspan="2" style="background:#cd2e3a; color:#fff;" width="30%" | [[파일:한국 고속도로 15번 표지.png| | | align=right colspan="2" style="background:#cd2e3a; color:#fff;" width="30%" | [[파일:한국 고속도로 15번 표지.png|50px]] | ||
| align=left colspan="3" style="background:#cd2e3a; color:#fff;" width="70%" | '''{{large|서해안고속도로}}<br>西海岸高速道路<br>SeoHaean Expressway''' | | align=left colspan="3" style="background:#cd2e3a; color:#fff;" width="70%" | '''{{large|서해안고속도로}}<br>西海岸高速道路<br>SeoHaean Expressway''' | ||
|- |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 color: #fff" | 종점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 color: #fff" | 종점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평안남도 (도시 프로젝트)|평안남도]] [[안주시 (도시 프로젝트)|안주시]] [[안주JC (도시 프로젝트)|안주JC]]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평안남도 (도시 프로젝트)|평안남도]] [[안주시 (도시 프로젝트)|안주시]] [[안주JC (도시 프로젝트)|안주JC]]<ref>[[안주함흥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안주함흥고속도로]]와 직결</ref>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 color: #fff" | 연장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 color: #fff" | 연장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 color: #fff" | 개통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0047a0; color: #fff" | 개통 |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1964.10.1 |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북여현JC (도시 프로젝트)|북여현]]-[[해주JC (도시 프로젝트)|해주JC]]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북여현JC (도시 프로젝트)|북여현]]-[[해주JC (도시 프로젝트)|해주JC]] | ||
|- | |-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14차로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14차로 |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상도-흥교,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0" | 상도-흥교, 여서-북여현<ref>[[경의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경의고속도로]] 중첩 구간</ref> | ||
|} | |} | ||
==개요== | |||
'''서해안고속도로'''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 |||
==역사== | |||
[[북여현JC (도시 프로젝트)|북여현]]-[[해주JC (도시 프로젝트)|해주]] 구간은 원래 1964년 '''토해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 원래 이 두 JC는 트럼펫형이었다. | |||
그러나 1970년 서해안고속도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이 구간은 서해안고속도로로 변경된다. | |||
1970년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1976년 [[해주JC (도시 프로젝트)|해주]]-은율 구간이 개통했으며, 1982년에는 인천-서안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95년에 [[안주JC (도시 프로젝트)|안주분기점]]-[[안주IC (도시 프로젝트)|안주IC]] 구간<ref>현재 해당 구간은 2001년 8월 25일 이후 [[안주함흥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안주함흥고속도로]]로 편입된 상태이다.</ref>이 최종적으로 개통됨으로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
==구간==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100%; width: 100%; float: center" | |||
! colspan="6"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large|서해안고속도로 전체 구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번호 | |||
!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이름 | |||
!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접속 노선 | |||
!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비고 | |||
|- | |||
| rowspan="5"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전남 | |||
! rowspan="5" style="background-color:#fff; color: #0047a0" | 목포시 무안구 |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ff" |[[고하대로 (도시 프로젝트)|고하대로]] 직결 | |||
|- | |||
! style="background-color:#fff" |1 | |||
! style="background-color:#fff" |[[목포IC (도시 프로젝트)|목포IC]] | |||
! style="background-color:#fff" |1 | |||
! style="background-color:#fff" | | |||
|- | |||
! style="background-color:#fff" |2 | |||
! style="background-color:#fff" |[[목포JC (도시 프로젝트)|목포JC]] | |||
! style="background-color:#fff" |[[남해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10]] | |||
! style="background-color:#fff" | | |||
|- | |||
! style="background-color:#fff" |3 | |||
! style="background-color:#fff" |[[일로IC (도시 프로젝트)|일로IC]] | |||
! style="background-color:#fff" | | |||
! style="background-color:#fff" | | |||
|- | |||
! style="background-color:#fff" |4 | |||
! style="background-color:#fff" |[[무안IC (도시 프로젝트)|무안IC]] | |||
! style="background-color:#fff" | | |||
! style="background-color:#fff" | | |||
|- | |||
|} | |||
==교통량== | |||
===[[북여현JC (도시 프로젝트)|북여현JC]]-[[해주JC (도시 프로젝트)|해주JC]] 구간=== | |||
'''서해안고속도로의 가장 오래된 구간이자 최대 정체 구간.''' 그나마 이 구간은 대체도로로 8차로 고속화도로인 [[50번 국도 (도시 프로젝트)|50번 국도]]가 있기 때문에 교통량 분산이 잘 되는 편이다. | |||
[[북여현JC (도시 프로젝트)|북여현JC]]는 경기 서북권의 고속도로 거점으로, 서울/개성 방향과 사리원/평양 방향, 해주/남포 방향이 이곳에서 갈라진다.<ref>나머지 한 방향도 [[개성북부순환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개성북부순환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중부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중부고속도로]]와 [[개성고성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개성고성고속도로]]를 연결해 주기 때문에 이곳도 매우 중요하다.</ref> [[평안도 (도시 프로젝트)|평안도]]에서는 이 역할을 [[안주JC (도시 프로젝트)|안주JC]]가 한다. | |||
[[분류:도시 프로젝트 설정]] |
2022년 3월 15일 (화) 14:30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 고속도로 | |||||||||||||||||||||||||||||||||||||||||||||||||||||||||||
---|---|---|---|---|---|---|---|---|---|---|---|---|---|---|---|---|---|---|---|---|---|---|---|---|---|---|---|---|---|---|---|---|---|---|---|---|---|---|---|---|---|---|---|---|---|---|---|---|---|---|---|---|---|---|---|---|---|---|---|
[ 펼치기 · 접기 ]
|
|}
| |||||||||
파일:서해안고속.png | |||||||||
노선 번호 | |||||||||
---|---|---|---|---|---|---|---|---|---|
15번 | |||||||||
기점 | |||||||||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IC | |||||||||
종점 | |||||||||
평안남도 안주시 안주JC[1] | |||||||||
연장 | |||||||||
개통 | |||||||||
1964.10.1 | 북여현-해주JC | ||||||||
관리 | |||||||||
한국도로공사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학익JC-옥련JC | ||||||||
6차로 | 목포JC-함평JC, 부안IC-당진JC, 옥련JC-강화 | ||||||||
8차로 | 목포IC-목포JC[2], 당진JC-서평택, 서평택JC-안산JC, 서창JC-학익JC, 강화-문산JC, 북여현JC-연안JC, 해주JC-은율, 남포JC-안주JC | ||||||||
10차로 | 서평택-서평택JC, 안산JC-서창JC, 연안JC-해주JC, 은율-남포JC, 문산-상도[3] | ||||||||
14차로 | 상도-흥교, 여서-북여현[4] |
개요
서해안고속도로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역사
북여현-해주 구간은 원래 1964년 토해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 원래 이 두 JC는 트럼펫형이었다.
그러나 1970년 서해안고속도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이 구간은 서해안고속도로로 변경된다.
1970년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1976년 해주-은율 구간이 개통했으며, 1982년에는 인천-서안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1995년에 안주분기점-안주IC 구간[5]이 최종적으로 개통됨으로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구간
서해안고속도로 전체 구간 | |||||
---|---|---|---|---|---|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전남 | 목포시 무안구 | 고하대로 직결 | |||
1 | 목포IC | 1 | |||
2 | 목포JC | 10 | |||
3 | 일로IC | ||||
4 | 무안IC |
교통량
북여현JC-해주JC 구간
서해안고속도로의 가장 오래된 구간이자 최대 정체 구간. 그나마 이 구간은 대체도로로 8차로 고속화도로인 50번 국도가 있기 때문에 교통량 분산이 잘 되는 편이다.
북여현JC는 경기 서북권의 고속도로 거점으로, 서울/개성 방향과 사리원/평양 방향, 해주/남포 방향이 이곳에서 갈라진다.[6] 평안도에서는 이 역할을 안주JC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