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Valdemaro Ligioni/2: 두 판 사이의 차이

(Valdemaro Ligioni (토론)의 237975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8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style="float:right;"
== 역사 ==
| {{여백|0.5em}}
{{본문|만주 민주 공화국/역사}}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500px; float: right; font-size:10pt;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 width:100%;"
만주 민주 공화국의 역사는 만주라는 지역에 존재하였던 모든 국가를 계승한다는 '''속지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의 만주라는 국가의 정체성은 [[만주족]]이 세웠던 금나라, 더욱 나아가 중원과 중국 전체를 점령하였던 [[청나라]]를 계승하여 세워진 [[만주 임시정부 (만민공)]]을 계승하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오족조화(五族調和)'''사상에 따라서 여러 민족이 어울려 살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근대까지 만주의 주인이었던 [[만주족]]의 땅이 만주라는 인식은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있다.
! colspan="6" style="width:50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00F, #66023C 20%, #66023C 80%, #19000F); color: #ffffff" | <center>'''[[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span style="text-shadow: 0 0 2px #fff; color:#white">{{large|{{글씨 색|#fff|ㆍ새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ㆍ}}}}</div>]]'''<br>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br>[[파일:천사들에 둘러쌓여 빛나는 옥좌위에 앉으신 예수 그리스도.png |50px]]<br>'''Νέα Ῥώμη Πατριαρχείο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ς'''</center>
|-
! align=center colspan="5" style="background:#E0E0E0;" width="50%" |<div><div style="margin: -5px -9px"><span style="display: inline-block;">[[파일:3rd revision flag of Constantinople.png]]</span></div>
! align=center colspan="1" "background:#E0E0E0;" width="50%" | <div><div style="margin: -5px -9px"><span style="display: inline-block;">[[파일:Ecumenical Patriarchate Flag 1-.png]]</span></div>
|-
! colspan="5" width="50%" style="background:#66023C;color: #fff" width="50%" | 공식 정부기
! colspan="1" width="50%" style="background:#66023C;color: #fff" width="50%" | 세계총대주교청기
|-
! align=center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파일:Coat of arms of the new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in Rome-ICXC1.png|300px]]
|-
! colspan="6" width="50%" style="background:#66023C;color: #fff" | 국가휘장
|-
! colspan="6" style="width:500px; background:#000; color: #fff" | [[파일:콘스천사왼.png|55px|left]][[파일:콘스천사오.png|55px|right]]{{big|[[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동방 정교회)|<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 color:#white">{{글씨 색|#fff|신앙의 신조<BR><small>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small>}}</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상징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33%;"| 국가
| colspan="4" style="color:black;text-align:left" | [https://youtu.be/q9V3NR5S24g 대 영광송]<br>[https://www.youtube.com/watch?v=t89uW4ZN4DE&t=4s 테오토코스 마리아 ]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33%;"| 수호성인
| colspan="4" style="color:black;text-align:left" | '테오토코스' 마리아<ref>가톨릭 교회에선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 라고 하지만, 먼저 이루어진 공의회엔 에페소 공의회에서 "크리스토토코스(Χριστοτοκος)"를 주장하는 네스토리우스를 단죄하고, "테오토코스(Θεοτόκος)"를 공식적인 수식어로서 동의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33%;"| 국화
| colspan="4" style="color:black;text-align:left" | 흰 백합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국가 지도'''
|-
| colspan="6" style="color:black;" | <div><div style="margin: -5px -9px"><span style="display: inline-block;">[[파일: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한국가상커뮤니티) 지도(위키).png|500px]]</span></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역사'''
|-
| colspan="6" style="background:#F2F2F2; color:black;" |
* 프로토클레토스 안드레아 사도의 교회의 설립 AD.30?~38?
* 밀라노 칙령 AD. 313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AD. 325
* 새로운 로마(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AD.330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AD. 380
* 트롤로 공의회 AD. 692
** 성상 파괴령 AD. 726~842
* 동서 대분열 AD. 1054
* 1차 십자군 AD. 1096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AD. 1453
* 오스만 제국 멸망 AD. 1922
** 위대한 이상의 실현<ref>그리스-터키 전쟁</ref> AD. 1919~1922
*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 AD. 1922
* 아테네 협정 AD. 1923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령 설치 AD. 1923
* 아뉘포탁스 독트린 AD. 1925
* 콘스탄티노폴리스 자주선언 AD. 1930
* 초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 AD. 1936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지리
|-
|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div class="mw-customtoggle-HolySlavicTsardom1"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E0E0E0; color:black;">'''[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olySlavicTsardom1"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2" row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border-right: 2px solid #fff;"| '''수도'''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세계총대주교청 대교구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수도 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해뜨는곳의 십자가)|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법적 수도 및 최대도시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수도 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해뜨는곳의 십자가)|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border-right: 2px solid #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면적'''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71,939km²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border-right: 2px solid #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내수면 비율'''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43.4%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border-right: 2px solid #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기후'''
| colspan="4" style="background:#fff;border-right: 2px solid #DCA600; color:black;text-align:left" | 지중해성 기후 및 온난 습윤기후, <sup>쾨펜 기후구분법 기준</sup><BR> 일부의 고지 지중해성 기후
|-
|}
</div></div></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인문환경
|-
|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div class="mw-customtoggle-HolySlavicTsardom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E0E0E0; color:black;">'''[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olySlavicTsardom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1" rowspan="5"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인구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총 인구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171,964,34명<sup>(2020 통계)</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인구밀도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1800명/km²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출생률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1인/2.1명 <sup>(2018 통계)</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평균 수명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71.8세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기대 수명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80.1세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민족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그리스인 92%, 투르크인 5%, 기타 3%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공용어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코이네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종교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국교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콘스탄티노폴리스 동방 정교회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분포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기독교(동방 정교회) 99.9%, 기타 0.1%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군대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콘스탄티노폴리스 근위기사단
|-
|}
</div></div></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행정 구역
|-
|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div class="mw-customtoggle-HolySlavicTsardom3"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E0E0E0; color:black;">'''[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olySlavicTsardom3"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border-right: 5px solid #003049;"| 광역시 급(廣域市/μητροπολιτική πόλη)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1(Ѡ)개,3개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border-right: 5px solid #02407D;"| 현(縣/περιφέρειες)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13개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border-right: 5px solid #92B7D1;"| 자치주(自治州/αυτόνομο κράτος)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1개
|}
</div></div></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정치
|-
|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div class="mw-customtoggle-HolySlavicTsardom4"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E0E0E0; color:black;">'''[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olySlavicTsardom4"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정치 체제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신권정치, 정교일치, 과두정, 양원제, 왕권신수설 주장, 종교법 우선, 거국내각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민주주의지수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0 {{둥근상자|절대적 권위주의 체제|#FFFFFF|#A50026|#A50026}}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파일:Old Orthodox Bishop Crown 1.png|30px]]<br>새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br>세계 총대주교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그레고리우스 14세]]<sup>Γρηγόριος ΙΔ</sup> 성하
|-
! colspan="1" rowspan="5"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정부요인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신성종무원 의장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아리스토텔레스 페트로스<sup>Αριστοτέλης Πέτρος</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각내평의회 의장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알렉산드로스 테오도코스<sup>Ἀλέξανδρος Θεοτόκος</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주권안보위원장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마타이오스 모로코스<sup>Ματάιος Μαρόκο</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대법원 최고판관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엘리아스 콘스탄티노스<sup>Ἠλίας Κωνσταντίνος</sup>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근위기사단 대장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헤라클레스 마타이시오스<sup>Ηρακλής Ματαΐσιος</sup>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여당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그리스 정교회 보편파<br>{{정당 정보/의석|290|300|#66023C|per=1|width=100%}}
|-
|}
</div></div></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경제
|-
|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div class="mw-customtoggle-HolySlavicTsardom5"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E0E0E0; color:black;">'''[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olySlavicTsardom5"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경제 체제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수출중심 자유시장경제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GDP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전체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 180,253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1인당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 10,482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PPP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전체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 181,000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1인당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 10,500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신용등급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S&P:'''Ac-<br>'''Moody's:'''Aa3<br>'''Fitch:'''AB-<br>'''DBRS:'''AA (high)<big>'''↓'''</big>
|-
! colspan="1" rowspan="3"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화폐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법정화폐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center>노미스마 | νόμισμα<center><big>ɴꜱ,Ⰹ</big></center>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ISO 4217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NS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중앙은행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콘스탄티노폴리스 국가은행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f;""| 국가 예산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1년 세입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
|-
! colspan="1"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1년 세출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
|-
|}
</div></div></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 | 단위
|-
| colspan="6" style="background:#E0E0E0;"|
<div class="mw-customtoggle-HolySlavicTsardom6"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E0E0E0; color:black;">'''[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HolySlavicTsardom6"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법정연호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율리우스력<ref>교회력</ref><br>그레고리력<ref>정부력</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시간대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UTC+3
|-
! colspan="2" style="background:#66023C;color:#fff;width:16%;border-right: 2px solid #ffd700;"| 도량형
| colspan="4"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text-align:left" | 국제단위계 (SI)
|-
|}</div></div>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00F, #66023C 30%, #66023C 70%, #19000F); width:500px; color: #66023C" | [[파일:cross orthodox table decoration.png|50px]]
|}
|-
|}
<br>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border:2px solid #66023C;"
|-
! colspan="7"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66023C;" | '''콘스탄티노폴리스 전경<br>Constantinopolis |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ς '''
|-
! colspan="5" | [[파일:콘스탄티노폴리스 위키 전경.png|400px]]<br><small>콘스탄티노폴리스 전경<ref>Grand Palais (Μέγα Παλάτιον, Great Palace) de Constantinople, 삽화, 앙투안 헬 베르트</ref>, 테오도시우스 막시무시아 대경기장, 아야 소피아 대성전</small>
|-
! colspan="7"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66023C;" |
|-
|}


<div style="position: Absolute; margin-left:-115px;">
실제로 전근대 이전에는 만주라는 분리된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의 청나라가 만주 민족주의를 최대한 기반으로 삼아 제국을 유지하려 하였으나 결국 파멸을 맞이하고 강남에서 강북으로, 강북에서 만주로 이주해오는 많은 만주족들로 인해 민족주의에 감명받은 지도자들은 만주 임시정부를 통해 사실상의 만주 민족국가를 다시 세우려 하였고 이로 인해 만주라는 분리된 개념으로서 역사의식이 생기는 기초가 되었다.
<div style="position: fixed; top:48.5%; width:200px; height:80%; background: none; border:0px double; transform: translate(-50%, -50%);>
===고대===
<div align="center" style="margin-top:0px;font-size:13pt;border-bottom:2px solid #66023C;padding-top:10px;margin-right:10px;margin-left:10px;"">
산융(山戎), 동호(東胡), 숙신(肅愼), 예맥(濊貊), 한(漢) 이란 만주지역에 정주하던 다섯개의 주된 민족집단이 있었다. 이들중 현대 만주의 영토에 있어서 확실히 만주에 정주했다고 여겨지는 민족은 중부의 예맥(濊貊), 동부의 숙신(肅愼), 서부의 동호(東胡)이다.
'''<span style="color:#66023C;letter-spacing:0pt;">[[파일:Cross orthodox table decoration1.png|30px]]<br>[[{{{광역자치단체명|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color|#66023C|{{{광역자치단체명|콘스탄티노폴리스}}}}}]] {{{기초자치단체명|<br>세계총대주교청}}}</span>'''
</div>
<div align="center" style="overflow:auto; height:100%;">
<div align="center" style="margin-top:-1px;font-size:10pt;padding-top:10px;margin-right:10px;margin-left:10px;">__TOC__
</div>
</div>
</div>
</div>
<br><br><br>
== 개요 ==
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 ''(터키어:Konstantinopolis Kutsal Yeni Roma Patrikhanesi)'',''(그리스어:Ιερό Νέο Ρωμαϊκό Πατριαρχείο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ς)'', ''(러시아어:Священный Ново-Римский Патриархат Константинополя)'', ''(라틴어:Novi Romani Patriarchatus Constantinopolitanus Sanctus)'', 줄여서 콘스탄티노폴리스''(터키어:Konstantinopolis)'',''(그리스어: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ς)''는 발칸반도의 트라키아 지역과 아나톨리아 지역의 서쪽 지역 사이에 걸쳐있는 기독교 신정국가이다.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넬레스 해협을 끼고 있으며, 수도는 "새로운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이다. 발칸 방면으로는 불가리아와 그리스가 있으며, 아나톨리아 방면으로는 튀르크 민주파와 튀르케스탄이 있다. 주요 도시로는 앞서 소개한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 트라키아 지역에서 주요 교통의 요충지인 아드리아누폴리스, 전통적인 아나톨리아 지역의 요충지인 니케아, 역사적인 장소이자 기초산업의 부흥지인 칼케돈, 나르다넬스 해협의 입구인 칼리폴리스와 주요 해안지역인 트로이가 있다.
이중 동호는 기원전 8세기 즈음 부터 중국의 역사에 등장한다. 동호는 수렵채집을 주된 생활 양식으로 삼는 이들로 요서 인근에서 거주한 이들로 중국의 역사 서술 특징상 몽골 일대 동쪽에 있어 동호라 불렀으므로 좁게는 퉁구스계나 만주 토속계통, 더욱 넓게는 시베리아 까지도 동호라고 볼 수 있다. 동호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이 되어 중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집단은 중국의 제나라(齊)에게 멸망당하였다. 이들은 이후 선비족(鮮卑)이란 이름으로 다시금 역사에서 만주 일대에 거주하는 이들로 등장한다. 이들은 향후 [[몽골]]의 조상이 되어 몽골을 세우고 [[동몽골 자치주]]의 조상이 된다.


남유럽의 발칸반도 동편의 아시아와 유럽이 교차점에 위치하는 국가로 트라키아라 불리는 유럽의 지역과 아나톨리아라 불리는 아시아의 지역으로 국토를 거대하게 가로지르며 동서편으로 나누는 보스포루스 해협과 마르마라해, 다르다넬스 해협이 존재하며 흑해에서 지중해로 나가는 유일한 지점이기 때문에 냉전시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한 흑해 연안 국가들의 주요 관심사이다. 내수면 면적이 매우 크며 해안선도 2033km나 될 정도로 국토의 대부분이 바다나 강에 접해있다. 내륙에는 석호가 많으며 주요 도시인 니케아도 석호에 존재하는 도시이다.
숙신은 동쪽에 사는 이들이었다. 주나라(周)때 처음 등장하는데, 이들 또한 정주보단 반수렵-농업 생활을 한것으로 추정된다. 정주하는 곳은 여름에는 나무 위, 겨울에는 동굴이라는 기록에서 알 수 있다. 더불어 이들이 농업을 한 증거로는 쌀로 밥을 지어먹었고, 돼지를 기른 점에서 이들이 농업을 하였다고 볼 수 있고, 이들은 현재의 [[러시아]]의 극동관구에 속하는 연해주 지역에서 거주하였다. 이들은 이후 [[고조선]]에게 멸망당한다. 하지만 숙신은 주된 민족으로, 현대 [[만주족]]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역사에서 큰 폭을 차지한다. 이들은 향후 건주여진과 해서여진이 되고, 금나라(金)를 세우고 [[청나라|청나라(靑)]]를 세우며 만주족의 조상이 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천천히 오르던 전체적 성장률은 개방정책과 더불어 유입된 해외 자본과 기존에도 경쟁력을 유지하던 해운업이 성하였으며 항구도시인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주요 도시들로 인해 성장율은 꾸준한 3%대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절대적인 과두정 체제와 신권정치는 같은 정치체제에 가까운 바티칸과 달리 넓은 국토와 많은 인구로 인해 민주주의가 요구되는 지역이기도 하며, 독립 이후 2000년대에 들며 심각한 사회적인 민주화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예맥은 만주의 중부나 [[한반도|조선반도]]의 북부에 거주하던 이들로, 이들은 남쪽의 조선반도에서 살던 이들과 동화되어 향후 [[한민족|조선족]]이 된다. 이들은 만주 일대에 고대국가 [[고조선]]을 세웠고 꽤나 오랜 역사동안 만주의 패자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자취를 남겼다. 현재의 조선족의 직계조상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대체로 조선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학자에 따라선 사실상 고조선과 다를 바가 없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향후 [[고조선]]과 [[부여]], [[고려]]와 [[조선]]을 세우고 현대의 [[대한제국]]의 조상이 된다.


국가의 뿌리를 나사렛의 예수의 제자 안드레아가 세운 교회를 시작으로 규정하며, 전통적이고 또 공식적으로 비잔티움의 문화가 자신들의 전신임을 밝히고 있다. 오스만 투르크에 대해 자신들에게 끼친 영향력을 부인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투르크 문화를 많이 쇠퇴시키었어도 생활 곳곳에는 그리스 문화와 투르크 문화가 섞인 특이한 지중해 연안 문화가 존재한다.
===중세===
 
===근대===
교회가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으며, 국가의 역사적인 근본은 고대 그리스에 두고 있고, 비잔티움 시대에도 존재했고 지금도 존재하는 정교회의 후손이다. 근대에 그리스에서 로마란 명칭을 자칭하던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스스로 로마를 칭한 바가 있으나, 새로운 로마라는 칭호를 콘스탄티누스 황제 시절부터 사용하고 있다. 전체적 사회는 기독교 신정국가답게 중세시대의 분위기에 머물러 있으나 지식개방화 정책을 통한 여러 해외 문물 수용 및 다문화적 문화수용은 국가를 빠르게 변화시키었다. 그 결과 민주주의의 요구와 함께 여러 문화를 무분별적으로 받아들인 결과 여러 사회문제가 일어났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민자 문제가 짙기도 하다.
===현대===
 
바티칸 시국과 같은 국가체제와 운영은 비교적 광대한 영토의 크기로 인한 물리적 인구 증가와 여러가지 사회적 수요로 인해 체제변화가 이루어지는 중이며, 이 과정에서 근대 공화주의 사상에 입각한 문민통치를 요구하는 민간 세력과 오래전부터 이 지역에서 있으며 지금에 와선 국가의 근간으로서 존립하는 교회 사이의 큰 불협화음이 있다.
 
특이점으로는 근대의 메갈리 이데아로 인해 세워진 국가이므로 그리스 우선주의적 성향과 민족주의의 정서가 짙게 깔려있어 다민족 국가적인 면모는 크게 없으나 문화적으로는 전통문화의 쇄국에 가까울정도의 보호를 기반으로 여러 문화를 들여오며 독특한 문화정서가 형성되었다. 민간에서의 개방적 정서와는 다르게 교회 내에서는 비잔틴 전례 복고와 함께 전통전례를 이어나가며 매우 보수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
 
== 국가 상징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국가상징은 국가적 상징과 교회적 상징이 법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교회가 곧 국가라는 인식이 국내외적으로 짙게 깔려있으므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실제 동로마 제국에서 키로(크리스토그램)이 쓰여진 깃발을 제국의 상징격으로 사용한것과 비슷한 사례이다. 실제로 국가적 상징인 깃발에도 기독교적 상징이 분명히 들어가 있으므로 교회에서도 혼용하여 국기를 개양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발견된다.
 
하지만 이를 혼용하는 것 자체에는 국가의 근간이 교회라는 사상에 따라 별 문제가 없다는 공식적 입장<ref>행정부 내무성 입장문 2018.10.3</ref>에 따라서 묵인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다. 국가적 상징으로는 국호(國號), 깃발(旗), 국장(國章)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실상 혼용되는 교회의 상징으로는 교회(Orthodox Church), 성가(聖歌)<ref>사실상 관습상 국가로도 불리는 테오토코스 마리아와 대영광송은 공식적으로는 성가로서 쓰인다.</ref>, 주보(主保)<ref>수호성인(守護聖人)과 동의어이다.</ref>가 있다.
 
실제로 《'''교회의 대한 품위유지에 관한 규율(새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관구 관구장령 12호)'''》과 《'''국가상징에 대한 보호법'''》에 의하여 국가의 상징 및 교회의 상징이나 영적 성물을 훼손 및 파괴하거나 사회통념상 바르지 못하게 사용될 시 법적으로 처벌받으며, 특히 국기에 그려진 크리스토그램(Χριστόγραμμα)이 들어가 있으므로 위에 발췌한 두 법률에 모두 저촉되어 함부로 훼손 할 수 없으며, 도안에 대한 편집도 경우에 따라 처발받을 수 있다.
 
이외의 모든 종류의 이콘, 성화나 성가, 그리고 교회에 대한 모든 형태의 모욕 및 비윤리적 행태에 대해 엄격한 법률을 적용하고 있다. 단순히 교회에 대한 불만이나 욕설보다는 이를 2차 창작 등의 불명예스러운 방법으로 변형되는것에 대한 예방에 가까운 법률이며, 법률의 적용 또한 사법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곳에서도 이러한 개념의 법률로서 판단하고 또 판결한 선례가 존재한다.
=== 깃발 ===
{| class="wikitable" style="border:4px solid #66023C;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align=center colspan="5"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fff;" | [[파일:cross orthodox table decoration.png|30px]]<br><big>콘스탄티노폴리스의 국기</big>
|-
! width=50% style="background:#E0E0E0; color:#D39128;" |[[파일:3rd revision flag of Constantinople.png|250px]]
! width=50% style="background:#E0E0E0; color:#D39128;" | [[파일:Ecumenical Patriarchate Flag 1-.png|250px]]
|-
!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fff;" | ① 공식 정부기
!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fff;" | ② 세계총대주교청기
|-
! width=30%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 "text-align:right;" | 지위
| align="left" | ① 국가 상징, 함수기, 상선기<br>② 세계총대주교청 상징
|-
!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align="left" | ① [[1936년]] [[1월 3일]]<br>② [[1978년]] [[7월 31일]]
|-
!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 "text-align:right;" | 근거 법령
| align="left" | 국기및 상징에 관한 조례 1호 개정
|-
! style="background:#66023C; color:#fff;" "text-align:right;" | 비율
| align="left" | 2:3
|-
|}
 
== 각주 ==

2022년 6월 2일 (목) 18:42 기준 최신판

역사

만주 민주 공화국의 역사는 만주라는 지역에 존재하였던 모든 국가를 계승한다는 속지주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의 만주라는 국가의 정체성은 만주족이 세웠던 금나라, 더욱 나아가 중원과 중국 전체를 점령하였던 청나라를 계승하여 세워진 만주 임시정부 (만민공)을 계승하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오족조화(五族調和)사상에 따라서 여러 민족이 어울려 살고 있지만 역사적으로 근대까지 만주의 주인이었던 만주족의 땅이 만주라는 인식은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있다.

실제로 전근대 이전에는 만주라는 분리된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의 청나라가 만주 민족주의를 최대한 기반으로 삼아 제국을 유지하려 하였으나 결국 파멸을 맞이하고 강남에서 강북으로, 강북에서 만주로 이주해오는 많은 만주족들로 인해 민족주의에 감명받은 지도자들은 만주 임시정부를 통해 사실상의 만주 민족국가를 다시 세우려 하였고 이로 인해 만주라는 분리된 개념으로서 역사의식이 생기는 기초가 되었다.

고대

산융(山戎), 동호(東胡), 숙신(肅愼), 예맥(濊貊), 한(漢) 이란 만주지역에 정주하던 다섯개의 주된 민족집단이 있었다. 이들중 현대 만주의 영토에 있어서 확실히 만주에 정주했다고 여겨지는 민족은 중부의 예맥(濊貊), 동부의 숙신(肅愼), 서부의 동호(東胡)이다.

이중 동호는 기원전 8세기 즈음 부터 중국의 역사에 등장한다. 동호는 수렵채집을 주된 생활 양식으로 삼는 이들로 요서 인근에서 거주한 이들로 중국의 역사 서술 특징상 몽골 일대 동쪽에 있어 동호라 불렀으므로 좁게는 퉁구스계나 만주 토속계통, 더욱 넓게는 시베리아 까지도 동호라고 볼 수 있다. 동호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이 되어 중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집단은 중국의 제나라(齊)에게 멸망당하였다. 이들은 이후 선비족(鮮卑)이란 이름으로 다시금 역사에서 만주 일대에 거주하는 이들로 등장한다. 이들은 향후 몽골의 조상이 되어 몽골을 세우고 동몽골 자치주의 조상이 된다.

숙신은 동쪽에 사는 이들이었다. 주나라(周)때 처음 등장하는데, 이들 또한 정주보단 반수렵-농업 생활을 한것으로 추정된다. 정주하는 곳은 여름에는 나무 위, 겨울에는 동굴이라는 기록에서 알 수 있다. 더불어 이들이 농업을 한 증거로는 쌀로 밥을 지어먹었고, 돼지를 기른 점에서 이들이 농업을 하였다고 볼 수 있고, 이들은 현재의 러시아의 극동관구에 속하는 연해주 지역에서 거주하였다. 이들은 이후 고조선에게 멸망당한다. 하지만 숙신은 주된 민족으로, 현대 만주족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역사에서 큰 폭을 차지한다. 이들은 향후 건주여진과 해서여진이 되고, 금나라(金)를 세우고 청나라(靑)를 세우며 만주족의 조상이 된다.

예맥은 만주의 중부나 조선반도의 북부에 거주하던 이들로, 이들은 남쪽의 조선반도에서 살던 이들과 동화되어 향후 조선족이 된다. 이들은 만주 일대에 고대국가 고조선을 세웠고 꽤나 오랜 역사동안 만주의 패자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자취를 남겼다. 현재의 조선족의 직계조상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대체로 조선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학자에 따라선 사실상 고조선과 다를 바가 없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향후 고조선부여, 고려조선을 세우고 현대의 대한제국의 조상이 된다.

중세

근대

현대